4월. 샨티 샨티 샨티!

2020.04.11 16:47

김학천 조회 수:31

  코로나 19으로 정신을 못 차리는 사이에도 어김없이 4월은 찾아왔다. 그러고 보니 아무리 어려운 환란이 덮쳐도 다가오는 세월을 어쩌지 못한다는 말을 절감하게 된다. 시인 박목월은 ’4월의 노래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구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부노라.’
  그런가 하면 이해인 수녀는 ‘4월의 시에서 세상은 오만 가지 색색의 고운 꽃들이/ 자기가 제일인 양/ 활짝들 피었답니다.’ 라고 노래했다. 하지만 올해는 박목월 시인의 낭만도 이해인 수녀의 서정도 모두 빼앗겨 버렸다. 일상의 모든 것을 앗아간 코로나 여파 때문이다.
  대신 4월 하면 마음에 더 무겁게 다가오는 유명한 시구가 있다. 미국태생 영국작가 T. S. 엘리엇이 1922년에 발표한 장시 ‘황무지’의 첫 구절이다. ‘4월은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 꽃을 피우며/ 추억에 욕망을 뒤섞으며/ 봄비로 잠든 뿌리를 일깨운다.
  봄이 시작되는 4월은 부활의 계절이요 생명의 시간인데도 그는 왜 4월을 가장 잔인한 달이라고 했을까? 엘리엇 개인은 자신의 이 시에 대해 인생에 대한 개인적인 불평이라고 했다. 이를 두고 그를 연구하는 작가들은 그가 프랑스 유학 시절 만난 한 의대생을 잃은 슬픔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엘리엇이 좋아했던 그 의대생은 1차 세계대전 때 해군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그러자 이에 충격을 받은 엘리엇은 그 해 한 여인과 쫓기듯 결혼했는데 내내 불행했다. 그리고 몇 년 후 요양 차 들른 스위스 로잔 호숫가에서 이 시를 썼다. 이러한 사연으로 인한 개인적 상심을 나타낸 시라는 거다.
  하지만 이보다 더 통설로 여겨지는 일반적인 해석은1차 세계대전 당시 현실은 부활이 불가능해 보일 만큼 황폐했기에 거기서 오는 상실감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다시말해 부활할 수 없는 봄은 희망고문처럼 잔인하게 다가오기 때문에 그랬을 거라는 이유에서다.  
  아무튼 ‘황무지’ 1부에는 매일매일 출근하러 별 생각 없이 런던 브리지를 지나가는 사람들의 행렬을 단테가 지은 ‘신곡’ 지옥 편의 죽은 자들의 행렬에 비춘 비유가 나온다. 소름 끼치도록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패닉 상태로 몰아가고 있는 이 시기의 모습에 겹쳐 떠오르게 한다
   전쟁은 정신적 박탈감과 황폐함 그리고 참담함을 느끼게 한다. 이 때문에 인류는 생존의 파괴를 경험하고 정신적으로 메마르게 되지만 그럼에도 인류는 전쟁이 끝나면 또 다시 새로운 시작을 위해 다시 일어나 나아간다.
  무기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와의 싸움도 전쟁이다. 지구촌은 어느 샌가 코로나 습격에 대한 전쟁을 선포한 모습이다.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반드시 극복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다. 인간은 언제나 그리해왔다.   
  4월이 잔인하다고 했던 엘리엇 역시 자신의 시를 다음과 같이 마무리했다. ‘샨티(Shantih) 샨티 샨티!산스크리스트 어로 평화를 의미하는 주문이다. 부활에 대한 염원인 것이죠. 인내의 고통이 언젠가는 반드시 기쁨으로 바뀌어 다가온다는 것을 바라면서 머지않아 지구촌에 평화가 다시 찾아오기를 기도하고 또 기도한다. ‘샨티 샨티 샨티!’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2
전체:
53,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