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집게를 고치다가

2018.11.02 07:25

윤근택 조회 수:68

 '감집게를 고치다가

 

 

                                 윤근택(수필가/문장치료사/수필평론가)

 

 

 

  내 농장에는 감나무가 많다. 주로씨 없는 쟁반감[씨 없는 반시(盤柴)]’이나, 내가 손수 접붙인 여러 희귀종 감나무도 있다. 해서, 해마다 이때쯤이면, 주렁주렁 달린 감을 따느라 몇몇 날 애를 먹는다. 때로는 그 감들을 쳐다볼 적에 한숨을 짓기도 한다.

저 눔의 감을 언제 다 따노? 그냥 내버려두자니, 이웃들이 게을러터진 농부라고 욕을 할 것도 같고... .’

   해서, 감집게를 들고 감나무 아래에 서게 되었는데, 또 감집게가 말썽이다. 집으면 이내 그 아귀가 헐거워 감이 맨땅에 떨어져 박살나곤 한다. 사실 이미 여러 자루의 감집게가 그렇게 말썽부려, 헛간에는 여벌로(?) 있거늘. 부득이, 농막으로 돌아와 이리저리 궁리해서 고쳐보기는 하는데, 작업능률이 영 아닐 성싶다. , 감집게의 생김새를 소개하고 다음 이야기 이어가는 게 좋겠다. 전정가위처럼 생겼으되, 철제가위에 고무패킹이 겹으로 달렸다. 감의 잔가지를 철제가위가 자르고, 동시에 고무패킹이 감 알을 집어주는 형태로 고안된 것이다. 지혜롭기 그지없는 일본인들에 의해 최초 고안되었다고 한다. 한편, 감집게는 알루미늄 작대기 끝에 집게가 달렸다.

   고장 난 감집게로 하여, 내 이야기는 이제 세상을 움직이는 세 가지 힘에 닿는다. 그 세 가지 힘이란, 각각 작용점, 받침점, 힘점. 감집게를 예로 들면, 작용점은 가위의 아귀, 받침점은 와셔(washer), 힘점은 손가락으로 움켜잡는 곳을 각각 이른다. 일찍이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해낸 지렛대(아르키메데스의 레버)의 원리를 응용한 거라지 않던가. 아르키메데스, 그는 어느 왕 앞에서 아래와 비슷한 호언장담을(?) 했다고 한다.

 “대왕이시여, 나한테 한 없이 긴 장대만 하나 주고, 그 긴 장대를 받칠 작은 굄돌만 주면, 이 지구도 들어올리겠나이다.”

  다시금 이야기하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세 가지 힘은 작용점, 받침점, 힘점이다. 그것들 셋이 조화를 이루지 않으면, 작동이 제대로 아니 된다. 내 감집게가 지금 그러하듯. 어디 이 힘이 감집게에만 그칠라고? 사실 세상만사가 숫자 ‘3’과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우선, 내가 믿는 예수님은 삼위일체(三位一體) , 성부(聖父성자(聖子성령(聖靈). 고구려, 신라, 백제는 숫자 3으로 존재했으되, 정립(鼎立;세 사람 또는 세 세력이 솥의 세 발처럼 서로 대립함.)하였다. 가위·바위·보도 서로 겨루고 견제하는 놀이이다. 아침·점심·저녁도 숫자 3. 입법·사법·행정 삼권 분립. 그리고 트로이카 (troika; 3필이 나란히 달리며 끄는 탈것의 총칭.). 사실 이밖에도 살펴보면, 숫자 3관 관련된 일이 얼마나 많겠는가.

  다시 감집게 이야기로 돌아간다. 도저히 능률이 떨어져 고친 감집게로 작업을 이어갈 수가 없었다. 해서, 내 농장에 오겠다는 분한테, 경산시장 ㅇㅇ철물점에 들러, 내 이름을 달고, 외상으로, 감집게를, 일본제품으로 하나 사다줄 것을 부탁했다.

   작용점·받침점·힘점 세가지 힘이 조화를 이룬 새 감집게로 한 나절 나의 감따기는 이어졌다. 어찌나 능률적이던지. 감을 따는 동안 내내 생각한 것이지만, 우리네 삶 자체도 작용점·받침점·힘점 등 세 가지 힘에 의해 이뤄진다는 것을. 그 가운데 하나만 삐걱대어도 일이 꼬인다는 것을. 다만, 순간마다 어리석게끔 그 조화로움이나 공조협력(共助協力)’을 잊음으로써 내가 일을 곧잘 그르치곤 한다는 때늦은 후회.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프라하에서 만난 카르멘 이진숙 2018.11.12 12
286 칭따오 5.4광장 소순원 2018.11.11 6
285 도담삼봉에 핀 꽃 신팔복 2018.11.11 7
284 무녀도 김윤배 2018.11.10 5
283 짧지만 길었던 어느 늦가을 하루 김삼남 2018.11.10 4
282 프라하에서 아들 내외를 만나다 이진숙 2018.11.09 6
281 추남의 몸부림 홍성조 2018.11.09 7
280 프라하에서 봄을 만나다 이진숙 2018.11.09 5
279 장수와 삼인문년 김길남 2018.11.08 58
278 순교자의 발자국(2) 김금례 2018.11.08 61
277 프라하에서도 통한 경로우대 이진숙 2018.11.08 61
276 매니저사랑 이야기 박제철 2018.11.07 59
275 프라하에 내 발자국을 이진숙 2018.11.07 65
274 하루가 열리면 김학 2018.11.05 60
273 '언어유희'에 관해 윤근택 2018.11.05 65
272 보리누룽지 김순길 2018.11.04 59
271 낭만과 스릴의 출렁다리 양희선 2018.11.04 63
270 새벽을 기다리는 경비원 P씨 홍성조 2018.11.02 53
» 감집게를 고치다가 윤근택 2018.11.02 68
268 사랑과 이별의 경계에서 최인혜 2018.11.02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