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가 김학의 수필쓰기

2019.02.04 07:37

김학 조회 수:82

*수필가 김학의 수필 쓰기



나는 1980년 월간문학 8월호에서「전화번호」란 수필로 신인상을 수상하여 수필가로 등단했다. 나는 지금까지 『수필아, 고맙다』『쌈지에서 지갑까지』등 14권의 수필집과 『수필의 길 수필가의 길』등 두 권의 수필평론집을 출간했다.

나는 2001년부터는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2008년부터는 전주안골노인복지관에서, 2011년부터는 전주꽃밭정이노인복지관에서, 2015년부터는 신아문예대학에서 수필창작론을 강의하면서 수강생들에게 솔선수범하여 나를 ‘따르라 정신’을 심어주고자 나 스스로 더 열심히 수필창작에 열과 성을 다해왔다.

지금까지 17년 동안 가르친 문하생들 중에서 5명의 수강생이 신문의 신춘문예 수필부문에 당선하여 이름을 날렸고, 수강생들이 230여 권의 수필집을 출간했으며, 행촌수필‧안골은빛수필‧꽃밭정이수필 등 3가지 수필동인지를 창간하기도 했다. 이것은 우리 고장 전북을 한국수필의 메카로 만들고 싶다는 꿈을 이루고자 노력한 결과다. 나는 ‘수필이란 독자의 마음에 정신적 그린벨트를 만들어주는 언어예술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수필의 소재를 밝고 맑고 희망적이며 낙천적인 데서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것은 날마다 어둡고 슬프고 아프고 괴로운 뉴스 속에서 사는 독자들로 하여금 수필에서 기쁨과 웃음을 찾게 하고 싶어서다.

그런 바람으로 나는 [김학 행복통장(70)]과 [밥상머리교육(54)]을 연작으로 쓰고 있으며, 내가 시도하는 목표에 도달하면 각각 단행본으로 출간할 계획이다.

[김학 행복통장]은 작가인 내가 행복하다고 느낀 일들을 글감으로 삼아 쓰는 글이다. 가정에서 느낀 행복, 직장에서 느낀 행복, 사회에서 느낀 행복, 신문이나 방송을 보며 느낀 행복에서 소재를 선택하여 수필로 빚는다. 흔히들 불행에는 민감하지만 행복에는 둔감한 독자들에게 소중한 행복을 발견할 수 있는 눈을 뜨게 하고 싶어 시도한 연작이다.

[밥상머리교육]은 대가족제도가 핵가족으로 바뀌면서 사라진 자녀에 대한 밥상머리교육의 현대화를 꿈꾸며 시도한 기획이다. 할아버지가 손자손녀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소재로 쓰는 글이다. 지금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식이 함께 식사하기도 어려운 처지다. 더구나 할아버지‧할머니와 손자‧손녀가 한 집에 살지도 않는다. 그러니 언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손자나 손녀에게 밥상머리교육을 시킬 수 있겠는가? 그 틈새를 파고들고자 시도한 것이 [밥상머리 교육]이다

나는 수필이 사회의 목탁구실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려면 음풍농월의 글로서는 불가능하다.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변하면 더불어 사회를 변화시킬 수도 있으리라 확신한다.

나는 앞으로 가능한 한 역사에서 글감을 찾아 수필로 쓰려고 한다. 반만년의 우리나라 역사를 되돌아보면 긍정적인 역사도 있고 부정적인 역사도 있다. 긍정적인 역사에서는 그 맥을 이어가게 하고, 부정적인 역사에서는 그 교훈을 찾아내어 깨달음을 얻도록 하고 싶다. 그렇게 하여 독자로 하여금 우리의 역사를 다시 음미하게 하고자 한다.

나는 우리 고장의 향토사(鄕土史)에서도 더 많은 소재를 찾아 수필을 빚고 싶다. 거기에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삶의 철학이 올올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우리 고장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 기록으로 남겨 후손들에게 전해주는 일이 중요하리라 믿는다. 그런 이야기들은 가정에서, 마을에서, 산에서, 들에서, 강에서, 바다에서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을 줄 안다. 그런 이야기를 수필로 빚는다면 소중한 자료로 남게 될 것이다.

내가 수필가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나의 이목구비(耳目口鼻)는 날마다 수필 소재를 찾아 가동하는 안테나다. 그 안테나에 잡힌 소재는 바로 한 편의 수필로 빚어져 독자에게 제공된다. 내가 첫 수필을 발표한 게 1962년이니 내가 수필과 사귄지는 벌써 57년이 지났다. 그런데도 지금도 수필 한 편을 쓰려면 초심자처럼 조심스럽다.

나는 수필을 쓸 때마다 내 수필이 ‘읽기 쉬운 글인가?’, ‘짧고 간결한가?’, ‘정이 넘치는 글인가?’, ‘즐거움과 재미를 주는 글인가?’, ‘품격을 갖춘 글인가?’, ‘진솔한 글인가?’, ‘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로 씌어졌는가?’ 생각하곤 한다.

수필이 있어서 나는 행복하다. 수필과 동행할 수 있어서 나의 노후는 행복하다. 나는 틈만 나면 “수필아, 고맙다!”라는 주문을 외운다.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 제비 김학 2019.02.06 53
446 침묵이 그리운 세상 임두환 2019.02.06 62
445 목포에서 옛생각에 잠기다 정명숙 2019.02.05 62
444 환갑을 맞이한 얄개전 정명숙 2019.02.05 45
» 수필가 김학의 수필쓰기 김학 2019.02.04 82
442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설날 최연정 2019.02.04 22
441 설날 두루미 2019.02.04 55
440 아버지노릇 김학 2019.02.03 58
439 물은 약이다 두루미 2019.02.02 49
438 인어아줌마의 화려한 외출 김성은 2019.02.02 48
437 고양이 천국 이우철 2019.02.02 2
436 황소를 몰고 온 남자 윤근택 2019.02.01 2
435 손편지 곽창선 2019.02.01 4
434 빈 들녘 소종숙 2019.01.31 5
433 선물로 받은 막내아들 김창임 2019.01.30 4
432 아름다운 마무리 임두환 2019.01.29 4
431 모데미풀 백승훈 2019.01.29 6
430 소록도 기행 박제철 2019.01.29 5
429 독신주의 김세명 2019.01.28 3
428 촌년 10만원 두루미 2019.01.2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