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난로 앞에서

2020.01.08 16:08

윤근택 조회 수:74

나무난로 앞에서

                                -여든 세 번째, 여든 네 번째 이야기-

           윤근택(수필가/수필평론가/문장치료사)


  83.

  나무난로 앞에서 따뜻한 불기운에 의자에 앉은 채 깜박 잠이 들었던가 보다. 맞은편 접의자에 앉은 외손주녀석이 외마디소리를 한다.

  “손!”

  깜짝 깨어나 녀석을 보니까, 왼손 검지손가락에 피가 흘러내린다. 내가 따스한 난롯가에서 여러 과일나무에 봄날 접을 하고자, 접도(椄刀)며 전정가위며 톱이며 온갖 연장을 숫돌, 사포, 줄 등으로 갈고 쓸고 있었는데, 녀석이 자발없이 그 접도로 이 할애비가 접수(椄穗)를 깎듯 연필을 깎듯 나뭇가지로 시늉을 하다가 벌어진 일. 녀석의 피나는 손가락 부위를 꼭 눌러 쥐고 피가 멈추게 한 다음, 데리고 농막 안으로 들어선다. 얼른 ‘후시딘연고’를 찾아 바르고 일회용 밴드로 상처 난 부위를 처매준다. 그나마 다행히, 상처가 그리 깊지 않다.

  조손은 다시 나무난로 곁. 안정을 되찾은 듯 녀석이 말한다.

  “한아버지, 그러고 보니 으뜸이의 손가락도 이젠 접(接)이 된 거네? 접하는 칼로 벴고, 테이프도 탱탱 감았으니깐.”

  녀석의 연상력(聯想力)도 알아줘야겠다.

  “으뜸아, 그래 상처를 아물게 하는 과정은 똑 같지. 그 이야기는 잠시 후에 마저 들려주겠는데, 그러기에 우선은 ‘후시딘연고’이야기부터.”

  나는 녀석한테 후시딘연고에 관해 아래와 같은 요지로 설명해준다.(아래 단락의 이야기는 ‘상처치료제에 관해’라는 본인의 수필에서 일부 그대로 따온다.)

  후시딘’은 일본식 표기인 듯하다. 이 후시딘은 어느 일본인이 최초 원숭이 똥에서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원숭이가 먹은 식물을 거꾸로 추적해본즉,‘비단초(땅빈대)’.후시딘은 ‘Fusidin’을 일컫고, 이는 다시 ‘Fusidin acid natrium(푸시딘산나트륨)’에서 왔음을 알게 되었다. 푸시딘산나트륨이 몸속에 침입한 병균을 죽이는 효능이 있어, 이를 주성분으로 해서 종기나 상처에 바르는 약제로 개발한 것임을.

  ‘마데카솔’은, ‘madecassic acid(마데카식산)’에서 온 말. ‘동국제약’은 그 주성분을 약제명으로 약간만 변형해서 쓴 셈이다. 이 마데카솔은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라는 학명(學名)을 지닌 식물의 추출물에서 얻었다는데... . ‘centella’는 ‘병풀[甁草;병 모양으로 생겨서(?) ’병꽃나무‘에 대응한 말로 쓰인 듯.)]’을 일컫고, ‘asiatica’는 ‘아시아의’를 의미한다. 그러니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아시아에서 주로 나는 병풀’인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 남쪽 지방을 비롯한 인도, 중국 등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임을 알게 되었고, 그 생김새도 식물도감을 통해 익혔다. 이 ‘병풀’은 ‘호랑이풀’이라고도 일컬어지며,‘피막이풀’이란 식물과 함께 그 추출물이 마데카솔의 주성분인 셈인데, 인간들이 그 상처치유의 효능을 어떻게 알았을까? 그 비밀은, 인도의 호랑이가 풀어주었다니, 흥미롭지 아니한가. 인도에 사는 호랑이들 가운데 상처를 입은 호랑이들이 그 병풀숲에 자주 뒹구는 걸 그쪽 사람들이 목격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호랑이들이 얼마 아니 가서 상처가 치유되는 걸 보고서... . 꼭히 마데카솔은 아니지만, 내가 추측컨대, 중국 여행에서 다녀오는 분들이 가끔씩 나한테 선물로 건네주는 그 ‘호랑이고약(병에는 호랑이 그림까지 붙어 있다.)’도 실제로는 호랑이한테서 얻은 게 아니라 병풀에서 얻은 게 아닐까 싶다. 사실 내가 근지러운 신체 부위에 그 ‘호랑이고약’을 바르기만 하면 따끔거린다 싶을 만치 시원하였고, 상처가 잘 낫기도 하였다. 그런 까닭에 그 ‘호랑이고약’을 즐겨 쓰는 편이다.(이상 본인의 수필, ‘상처치료제에 관해’에서 따옴.)

  제법 장황한 위의 후시딘과 마데카솔 이야기를 듣던 녀석이 나름대로 요점정리를(?) 잘도 한다.

  “ 한아버지, 후시딘은 원숭이가 즐겨먹는 땅빈대풀에서, 마데카솔은 호랑이가 상처를 부빈 병풀에서 얻는다?”

  이 할애비는 미뤄뒀던 ‘상처 아물기 메커니즘’ 이야기를 녀석한테 아래와 같이 들려준다.

  손가락이든 나뭇가지든 상처가 나면, ‘삐오!삐오!삐오!’ 119구급차가 그곳으로 달려가야 하는 이치. 우리네 상처 난 부위가 욱신거리는 것은, 호르몬 등 상처 아물기에 유용한 물질이 그곳에 집중되는 생리현상이다. 마찬가지로, 식물들도 상처 난 부위에 그렇듯 ‘옥신’ 따위의 호르몬이 집중된다. 이 할애비의 나무접하기, 휘묻이 하기, 꺾꽂이 하기 등은 그 메커니즘을 그대로 응용한 것이다. 식물도 인위적이든 자연적이든 상처 난 부위를 아물게 하고자 영양분을 그곳에 보내 물사마귀 모양의 조직(組織)을 만들어 낸다. 그걸 ‘유상조직(癒傷組織;상처 아물게 하는 조직)’ 혹은 ‘칼루스(callus)’라고 부른다. 이 유상조직의 능력은 부정아(不定芽)·부정근(不定根)·형성층(形成層 ;부름켜)를 만들어낸다는 점. 이 할애비가 왕보리수와 왜철쭉을 꺾꽂이하여 개체수를 늘리는 것은 부정아를 얻는 일, 이 할애비가 슈퍼뽕나무와 왜생사과나무의 발치 등걸에 상처를 내어 휘묻이와 더북나기를 일삼는 일은 부정근을 많이 얻는 일.

  위와 같은 이야기를 듣던 녀석은 대체 누구 새끼인지 모르겠다.

  “한아버지, 그라뭐(그러면) 상처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네?”

  정말로 학습능력이(?) 뛰어난 녀석이다.

  “옳은 이야기야! 나무는 상처 난 곳을 속히 아물게 한다는 것이, 그만 새로운 개체로 그 수효가 늘어나게 되는 거야! 이는 종족번식의 본능과 맞닿아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녀석의 반응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한아버지, 어른들은 아가야들이 넘어져 무릎을 깨면 늘 하는 말씀이 있었어. ‘오냐,우리 아가 쑥쑥 잘도 큰다!’하고서 말이야!”

  녀석의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

 

  * 제 84화는 보아가며 한밤에 적어서 보태 부칠 게요. 닭들과 염소들과 강아지들이 밥 달라고 요란을 떨고 있는데다가 아직도 과일나무 전정을 끝내지 못한 관계로.

 

 

(다음 호 계속)

 

 

 

* 이 글은 본인의 블로그, 이슬아지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한국디지털도서관 본인의 서재,

   국디지털도서관 윤근택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본인의 카페 이슬아지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7 취학통지서 이진숙 2020.01.15 32
1146 작은 일 하나라도 김학 2020.01.14 3
1145 장수매 백승훈 2020.01.14 13
1144 KBS앵커와 볼펜 한성덕 2020.01.14 4
1143 [김학 행복통장(80)] 김학 2020.01.13 54
1142 잘 걸으면 운명이 바뀐다 김경록 2020.01.13 31
1141 눈 눈 눈 김학 2020.01.12 22
1140 마음씨 고운 며느릿감들 구연식 2020.01.11 58
1139 데이트합시다 박용덕 2020.01.11 43
1138 대중목욕탕에서 생긴 일 정석곤 2020.01.11 57
1137 들꽃에 담은 사랑 한성덕 2020.01.10 65
1136 이안에게 최윤 2020.01.09 45
» 나무난로 앞에서 윤근택 2020.01.08 74
1134 나는 내가 좋은 엄마인 줄 알았습니다 두루미 2020.01.08 44
1133 언어의 품격 한성덕 2020.01.08 55
1132 개쑥갓 백승훈 2020.01.07 52
1131 내 고향 부안 신효선 2020.01.06 33
1130 때늦은 후회 김학 2020.01.06 55
1129 전라감영 복원 조석창 2020.01.06 49
1128 친구의 기도/한성덕 한성덕 2020.01.0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