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7자시" 쓰기를 시도해 보면서

  오정방
  

  

내가 소속되어 있는 문학포탈 사이트 ‘문학의 즐거움’엔 다른 데서
볼 수 없는 장르들이 많이 있다. 그 어느 장르로도 본인의 능력만
있으면 글쓰기가 가능하다고 본다.
쓴 글에 공감이 가고 안가고는 오직 독자들이 평가할 일이지만
‘왜 그 장르로 글을 썼느냐?’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리고 어떤 장르의 글을 썼던 이미 검증된 장르에 대해서는 전혀
시비의 대상이 될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다른 장르는 그만두더라도 대분류 ‘시’만 보아도 현대시, 현대시조,
이장시조로 부터 내가 좋아하는 시, 미술시, 나의 초기시에 이르기까지
57종으로 소분류 되어 있다.
그 57개 소분류 장르 중의 하나로 ‘17자 시’가 있다.
나는 숫자 가운데 ‘17’이란 숫자를 가장 좋아하는지라 이 장르로도
글을 좀 써보리라 벌써부터 마음 먹었는데 오래토록 미루다가 이제사
습작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사실은 작년 3월에 ‘17자시’ 100편을 지어보았으나 그 때에는
‘17자시’장르로 올리지 않고 ‘테마시’란 장르로 한꺼번에 올렸기
때문에 ‘17자시’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은 새삼스럽고 서먹한 기분이다. 잘 쓰여질지?
글쎄다.

다른 장르는 그만두더라도 대분류 ‘시’만 보아도 현대시, 현대시조,
이장시조로 부터 내가 좋아하는 시, 미술시, 나의 초기시에 이르기까지
57종으로 소분류 되어 있다.
그 57개 소분류 장르 중의 하나로 ‘17자 시’가 있다.
나는 숫자 가운데 ‘17’이란 숫자를 가장 좋아하는지라 이 장르로도
글을 좀 써보리라 벌써부터 마음 먹었는데 오래토록 미루다가 이제사
습작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사실은 작년 3월에 ‘17자 시’ 100편을 지어보았으나 그 때에는
‘17자 시’장르로 올리지 않고 ‘테마시’란 장르로 한꺼번에 올렸기
때문에 ‘17자 시’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은 새삼스럽고 서먹한 기분이다. 잘 쓰여질지?
글쎄다.

                                               <2004. 9. 17>
?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3
어제:
22
전체:
19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