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2015.09.10 09:19

고향은 늘 마음 속에

조회 수 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향은 늘 마음 속에

  오정방
  

동해, 푸른 바닷가 조그만 내고향 마을 어귀에
오늘도 수문장처럼 버티고 서있는 한 그루의 향나무,
가볍게 바람에 날리던 씨앗 하나 어쩌다 거기 떨어져
풍우한설 견뎌내며 끊임없는 파돗소리에 키가 자랐고
쉴 새 없는 바닷바람에 몸이 굵어졌던 그 향나무,
아버지 때에도 있었고 할아버지 때에도 있었고
할아버지의 그 아버지, 그 할아버지 때에도 있었던
어릴 적 아무도 그 수령樹齡에 대해서 말해주지 않아
아직도 내 머리론 그 나이를 좀처럼 가늠할 수 없는
족히 천년을 바라볼 그 늙디 늙은 향나무,
고향을 떠나가는 사람에겐 잘 다녀융?배웅하고
바람처럼 떠돌다 고향에 다시 돌아 온 사람에겐
잘 다녀왔느냐고 미소지으며 반겨맞는 그 향나무
비가 내릴 때는 빗줄기를 피하도록 팔을 벌려서 가려주고
햇빛 쏟아질 때는 그늘 밑으로 불러 주는 고마운 그 향나무,
나무 아래 응달 마당에 돗자리를 펴고 둘러앉아
세상 돌아가는 사정엔 별관심 없는 동네 어르신네들
소일거리로 두는 장기판에 넌지시 훈수까지 하는 그 향나무,
북망산천으로 마지막 떠나가는 수 없는 꽃상여가
갈 길이 아무리 급하다해도 잠시 쉬어가도록
선뜻 자리를 내어주는 너그럽고 참 잘 생긴 그 향나무,
타향에 떠도는 수많은 고향사람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나는 현재 너무 너무 멀리 그를 떠나와 살지만
지금도 나 언제 고향땅에 돌아오나 고대하고 있을
그 늠름한 향나무가 오늘따라 몹시 그리워진다

                           - 졸시 ‘고향의 향나무’ 전문


이곳 미국의 추수감사절인 11월 네째 주 목요일 바로 전날인 25일(수)
낮에 포틀랜드소망한인장로교회(담임 김창의 목사)내 언드우드 도서관이
주관한  ‘시와 음악을 벗삼아’란 테마로 개최된 음악감상과 시낭송회에
초대되어 다녀왔다. 위의 시는 바로 그 시낭송회에서 내가 낭송한 것이다.
주제가  ‘고향’이라고 사전에 연락을 받았기에 내가 쓴 고향에 대한 시들을
검색해보니 10여편이 되었는데 그 중에서 나는 위의 시를 준비해 간 것이다.
성도들이 먼저 만나서 성경공부를 하고 점심으로 친교를 나눈 뒤에 예고된
1시부터 행사가 진행되었는데 먼저 Vltava(The Moldau), Ma Vlast:Bedrich
Smetana(1824-1884’나의 조국 중에서 ‘몰다우 강’을 Dresden State
Orchestra/Paavo Berglund가 지휘했던 것을 듣고 그 다음엔 2nd Movement,
Symphony No. 9, Op. 95 E minor ‘From the New  World’:Antonin Dvorak
(1841-1904) 신세계 교향국 중에서 ‘제2악장’을 Chicago Symphony
Orchestra/Sir Georg Solti가 지휘했던 것을 25분 가량 듣는 동안 얼마나
마음이 편안해졌는지 모른다.
2부 순서엔 그 교회 성도들이 나누어 고향에 대한 시를 낭송했는데 노천명의
‘망향’, 정지용의 ‘향수’ 와 ‘고향’, 이은상의 ‘가고파’와 ‘옛동산에 올라’,  
김상옥의 ‘사향’, 정공채의 ‘망향’, 김재호의 ‘고향의 노래’, Browning의 ‘고향
생각’, 그리고 Eichendorff의 ‘고향’등 10편이었다.
이어서 내 순서가 되어 목사님의 소개를 받고 앞으로 나가서 2004년4월에
이곳에서 고향을 그리며 쓴 위의 시를 직접 낭송하였다. 모두들 내가 낭송
하는 시를 들으며 깊이 감상에 젖었고 나 자신도 마치 고향 마을 어귀에 있는
그 향나무를 눈앞에 보면서 시를 낭송하는듯 했다. 그리고 나서는 누군가
예정에도 없던 1편을 더 낭송해 달라는 주문을 했고 나도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등단시였던 ‘고향집 사진’을 앵콜로 낭송했다.
위의 2편 모두 이민을 나와 살면서 고향을 그리워하며 썼던 것이었음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주관자가 마지막으로 또 나의 작품을 한 편 준비
하여 따로 낭송하였는데 그것은 아래의 시 ‘고향의 꿈’이었다. 조그만 행사에
무려 3편의 졸시가 한 자리에서 소개되어 나에게는 기쁨이었는데 듣는 사람
들에게는 가까이에 시인이 살고 있다는 데에 대하여 고마워하는 느낌을 준듯
했다.

< 2008. 11. 29>
..................................................................

고향의 꿈


고향을 너무 오래 떠나 있는 내가
언제나 조용히 눈을 감으면
고향의 동해바다가 선명히 보이네
파란 바닷물 위에 새겨놓은 내 손자국
이젠 영영 흔적조차 없어도
어릴 적 물장구에 헤엄쳤던 그 모습은
지금도 가슴에서 쉽사리 지워지지 않네
돌아 돌아가리라 내 꿈이 끝나기 전에
돌아 돌아가리라 내 꿈이 끝나기 전에

고향을 너무 멀리 떠나 있는 내가
언제나 살며시 눈을 감으면
고향의 옛동무들이 뚜렷이 보이네
하얀 모랫벌 위에 찍어놓은 내 발자국
이젠 영영 찾아볼 수 없어도
어릴 적 뜀박질에 딩굴었던 그 기억은
지금도 뇌리에서 좀처럼 잊혀지지 않네
돌아 돌아가리라 내 숨이 다하기 전에
돌아 돌아가리라 내 숨이 다하기 전에

<2004. 12. 1>





  
*필자의 고향은
  경북 울진군 울진면 온양1리(양정)


  ⊙ 작품장르 : 시와함께하는이야기 

  오정방
  

동해, 푸른 바닷가 조그만 내고향 마을 어귀에
오늘도 수문장처럼 버티고 서있는 한 그루의 향나무,
가볍게 바람에 날리던 씨앗 하나 어쩌다 거기 떨어져
풍우한설 견뎌내며 끊임없는 파돗소리에 키가 자랐고
쉴 새 없는 바닷바람에 몸이 굵어졌던 그 향나무,
아버지 때에도 있었고 할아버지 때에도 있었고
할아버지의 그 아버지, 그 할아버지 때에도 있었던
어릴 적 아무도 그 수령樹齡에 대해서 말해주지 않아
아직도 내 머리론 그 나이를 좀처럼 가늠할 수 없는
족히 천년을 바라볼 그 늙디 늙은 향나무,
고향을 떠나가는 사람에겐 잘 다녀융?배웅하고
바람처럼 떠돌다 고향에 다시 돌아 온 사람에겐
잘 다녀왔느냐고 미소지으며 반겨맞는 그 향나무
비가 내릴 때는 빗줄기를 피하도록 팔을 벌려서 가려주고
햇빛 쏟아질 때는 그늘 밑으로 불러 주는 고마운 그 향나무,
나무 아래 응달 마당에 돗자리를 펴고 둘러앉아
세상 돌아가는 사정엔 별관심 없는 동네 어르신네들
소일거리로 두는 장기판에 넌지시 훈수까지 하는 그 향나무,
북망산천으로 마지막 떠나가는 수 없는 꽃상여가
갈 길이 아무리 급하다해도 잠시 쉬어가도록
선뜻 자리를 내어주는 너그럽고 참 잘 생긴 그 향나무,
타향에 떠도는 수많은 고향사람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나는 현재 너무 너무 멀리 그를 떠나와 살지만
지금도 나 언제 고향땅에 돌아오나 고대하고 있을
그 늠름한 향나무가 오늘따라 몹시 그리워진다

                           - 졸시 ‘고향의 향나무’ 전문


이곳 미국의 추수감사절인 11월 네째 주 목요일 바로 전날인 25일(수)
낮에 포틀랜드소망한인장로교회(담임 김창의 목사)내 언드우드 도서관이
주관한  ‘시와 음악을 벗삼아’란 테마로 개최된 음악감상과 시낭송회에
초대되어 다녀왔다. 위의 시는 바로 그 시낭송회에서 내가 낭송한 것이다.
주제가  ‘고향’이라고 사전에 연락을 받았기에 내가 쓴 고향에 대한 시들을
검색해보니 10여편이 되었는데 그 중에서 나는 위의 시를 준비해 간 것이다.
성도들이 먼저 만나서 성경공부를 하고 점심으로 친교를 나눈 뒤에 예고된
1시부터 행사가 진행되었는데 먼저 Vltava(The Moldau), Ma Vlast:Bedrich
Smetana(1824-1884’나의 조국 중에서 ‘몰다우 강’을 Dresden State
Orchestra/Paavo Berglund가 지휘했던 것을 듣고 그 다음엔 2nd Movement,
Symphony No. 9, Op. 95 E minor ‘From the New  World’:Antonin Dvorak
(1841-1904) 신세계 교향국 중에서 ‘제2악장’을 Chicago Symphony
Orchestra/Sir Georg Solti가 지휘했던 것을 25분 가량 듣는 동안 얼마나
마음이 편안해졌는지 모른다.
2부 순서엔 그 교회 성도들이 나누어 고향에 대한 시를 낭송했는데 노천명의
‘망향’, 정지용의 ‘향수’ 와 ‘고향’, 이은상의 ‘가고파’와 ‘옛동산에 올라’,  
김상옥의 ‘사향’, 정공채의 ‘망향’, 김재호의 ‘고향의 노래’, Browning의 ‘고향
생각’, 그리고 Eichendorff의 ‘고향’등 10편이었다.
이어서 내 순서가 되어 목사님의 소개를 받고 앞으로 나가서 2004년4월에
이곳에서 고향을 그리며 쓴 위의 시를 직접 낭송하였다. 모두들 내가 낭송
하는 시를 들으며 깊이 감상에 젖었고 나 자신도 마치 고향 마을 어귀에 있는
그 향나무를 눈앞에 보면서 시를 낭송하는듯 했다. 그리고 나서는 누군가
예정에도 없던 1편을 더 낭송해 달라는 주문을 했고 나도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등단시였던 ‘고향집 사진’을 앵콜로 낭송했다.
위의 2편 모두 이민을 나와 살면서 고향을 그리워하며 썼던 것이었음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주관자가 마지막으로 또 나의 작품을 한 편 준비
하여 따로 낭송하였는데 그것은 아래의 시 ‘고향의 꿈’이었다. 조그만 행사에
무려 3편의 졸시가 한 자리에서 소개되어 나에게는 기쁨이었는데 듣는 사람
들에게는 가까이에 시인이 살고 있다는 데에 대하여 고마워하는 느낌을 준듯
했다.

< 2008. 11. 29>
..................................................................

고향의 꿈


고향을 너무 오래 떠나 있는 내가
언제나 조용히 눈을 감으면
고향의 동해바다가 선명히 보이네
파란 바닷물 위에 새겨놓은 내 손자국
이젠 영영 흔적조차 없어도
어릴 적 물장구에 헤엄쳤던 그 모습은
지금도 가슴에서 쉽사리 지워지지 않네
돌아 돌아가리라 내 꿈이 끝나기 전에
돌아 돌아가리라 내 꿈이 끝나기 전에

고향을 너무 멀리 떠나 있는 내가
언제나 살며시 눈을 감으면
고향의 옛동무들이 뚜렷이 보이네
하얀 모랫벌 위에 찍어놓은 내 발자국
이젠 영영 찾아볼 수 없어도
어릴 적 뜀박질에 딩굴었던 그 기억은
지금도 뇌리에서 좀처럼 잊혀지지 않네
돌아 돌아가리라 내 숨이 다하기 전에
돌아 돌아가리라 내 숨이 다하기 전에

<2004. 12. 1>





  
*필자의 고향은
  경북 울진군 울진면 온양1리(양정)


  ⊙ 작품장르 : 시와함께하는이야기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 수필 참전용사 초청 오찬회 후기 오정방 2015.09.14 221
32 수필 물가에 심긴 나무같이 오정방 2015.09.14 230
31 수필 (칼럼)신앙생활과 문학활동 오정방 2015.08.12 234
30 수필 그날에 쓴 시를 읽으며 오정방 2015.09.14 234
29 수필 그리움도 아쉬움도... 오정방 2015.09.14 236
28 수필 어느 여인이 겪은 6. 25 한국전쟁 오정방 2015.09.14 237
27 수필 아호雅號에 대하여… 오정방 2015.09.01 239
26 수필 가을 단풍은 점점 짙어가는데 오정방 2015.08.25 243
» 수필 고향은 늘 마음 속에 오정방 2015.09.10 243
24 수필 신작 찬송가 발표회가... 오정방 2015.09.10 244
23 수필 산 위엔 지금도 흰구름이 떠돌고 오정방 2015.08.18 245
22 수필 이소연, 우주로 올려보낸 시편들... 오정방 2015.09.08 248
21 수필 다시 태어나는 詩 1 오정방 2015.09.10 256
20 수필 희한한 농구籠球시합 이야기 오정방 2015.09.01 260
19 수필 어머니와 임연수어林延壽魚 오정방 2015.08.25 285
18 수필 세상에서 한 권 뿐인 책 오정방 2015.09.01 287
17 수필 불루베리를 따면서 오정방 2015.09.01 301
16 수필 축시祝詩와 조시弔詩 오정방 2015.09.08 303
15 수필 불지 않으면 바람이 아니다! 오정방 2016.02.03 304
14 수필 우리집 소(牛) 이야기 오정방 2015.09.24 3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3
어제:
5
전체:
19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