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수, 김재진, 고재종, 박현덕, 김영랑

2006.01.23 00:22

김동찬 조회 수:436 추천:59

*** 86

빈대를 잡으려다 진짜로 초가를 태운 사람이 뒷집에 산다. 두고두고 동네 웃음거리가 되어버린 그 사람이 봄날 죽었다. 상여 나가기 전날 밤 술 마시고 윷 놓던 사람들 눈물 대신 웃음 참느라고 죽을 지경이다.

     이창수 (1970  -   ) 「好喪」전문 

 복받은 사람임에 틀림 없다. 비명횡사하지 않고 천수를 누리다 고향 사람들의 전송을 받으며 꽃피는 봄날에 떠나는 것이다. 고인은 빈대를 잡으려다 초가를 태운 적도 있어서 상여 나가기 전날 밤까지 그 일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눈물 대신 웃음을 선사한다.  술마시고 윷을 놀면서 밤을 보내는 조객들의 왁자한 웃음소리가 들린다. 전구알이 못 미치는 뒷뜰의 한 구석에는 봄꽃이 지고 있다. 빈대보다 못한 것을 잡기 위해 자신과 이웃을 죽이고 눈물과 증오만 가득 주고 떠나가는 사람들에 비해 고인은 얼마나 인간적인가. 얼마나 즐거운가. 

*** 87

당신 만나러 가느라 서둘렀던 적 있습니다.
마음이 먼저 약속 장소에 나가
도착하지 않은 당신을 기다린 적 있습니다.
멀리서 온 편지 뜯듯 손가락 떨리고
걸어오는 사람들이 다 당신처럼 보여
여기에요, 여기에요, 손짓한 적 있습니다.
차츰 어둠이 어깨 위로 쌓였지만 
오리라 믿었던 당신은 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입니다.
어차피 삶 또한 그런 것입니다.
믿었던 사람이 오지 않듯
인생은 지킬 수 없는 약속 같을 뿐
사랑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실망 위로 또다른 실망이 겹쳐지며
체념을 배웁니다.
 (하략)  

         김재진 (1955 -     )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분

잔인한 달이라는 4월이 가고 계절의 여왕 5월의 문턱입니다. 돌이켜보
면 4.3과 4.19 그리고 4.29 엘에이 폭동 또 최근의 중동과 룡천에 이르기
까지, 4월의 꽃향기 사이에는 피냄새가 묻어있습니다. 그 격동의 시간에 
당신은 왜 오지 않으셨는지요? 다시 당신을 만나기 위해 5월로 나갑니다.
"잦은 실망과 때늦은 후회,/부서진 사랑 때문에 겪는/아픔 또한 어득해
질 무렵/비로소 깨닫습니다./왜 기다렸던 사람이 오지 않았는지,/갈망하면
서도 왜 아무 것도 이루어지는 것이 없는지,/사랑은 기다린 만큼 더디 오
는 법/다시 나는 당신을 만나기 위해 나갑니다 ."(위 시의 하략된 나머지 
부분)

*** 88

그토록 흐르고 흐를 것이 있어서 강은 
우리에게 늘 면면한 희망으로 흐르던가. 
삶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는 듯 
굽이굽이 굽이치다 끊기다 
다시 온몸을 세차게 뒤틀던 강은 거기 
아침 햇살에 샛노란 숭어가 튀어오르게도 
했었지. 무언가 다 놓쳐버리고 
문득 황황해하듯 홀로 강둑에 선 오늘, 
꼭 가뭄 때문만도 아니게 강은 자꾸 야위고 
저기 하상을 가득 채운 갈대숲의 
갈대잎은 시퍼렇게 치솟아오르며 
무어라 무어라고 마구 소리친다. 그러니까 
우리 정녕 강길을 따라 거닐며 
그 윤기나는 머리칼 치렁치렁 날리던 
날들은 기어이, 기어이는 오지 않아서 
강물에 뱉은 쓴 약의 시간들은 저기 저렇게 
새까만 암죽으로 끓어서 강줄기를 막는 
것인가. 우리가 강으로 흐르고 
강이 우리에게로 흐르던 그 비밀한 자리에 
반짝반짝 부서지던 햇살의 조각들이여, 
삶은 강변 미루나무 잎새들의 파닥거림과 
저 모래톱에서 씹던 단물 빠진 수수깡 사이의 
이제 더는 안 들리는 물새의 노래와도 같더라. 
흐르는 강물, 큰 물이라도 좀 졌으면 
가슴 꽉 막힌 그 무엇을 시원하게 
쓸어버리며 흐를 강물이 시방 가르치는 건 
소소소 갈대 잎 우는 소리 가득한 세월이거니 
언뜻 스치는 바람 한자락에도 
심금 다잡을 수 없는 다잡을 수 없는 떨림이여! 
오늘도 강변에 고추멍석이 널리고 
작은 패랭이꽃이 흔들릴 때 
그나마 실낱 같은 흰줄기를 뚫으며 흐르는 
강물도 저렇게 그리움으로 야위었다는 것인가. 

     고재종 (1957 -  ) 「앞강도 야위는 이 그리움」 전문

고재종 시인은 흔히 농촌시인이라 불리운다. 김용택 시인과 마찬가지로 
농촌인 고향을 떠나지 않고 그 농촌의 사람과 풍경들을 주된 소재로 시를 
써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그를 농촌시인이라 한정하고 싶지 않다. 우
리 모두의 고향이 농촌이 아니었던가. 그 산과 강, 땅이 아니었던가. 그는 
자연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우리 삶의 뿌리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시
인이다. 
농촌에 강이란 단순히 풍광 좋은 휴양지 같은 곳이 아니라 곡식을 기
름지게 만드는 삶의 원천이다. 그 강이 야위고 있다. 결국 농촌만 야위어
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도 병들고 허약해지고 있다는 증거가 아니겠
는가. 강변에 파닥이는 미루나무 잎새와 물새들의 노래, 그리고 그 아래로 
쏴아하고 흐르는 큰 물줄기에 대한 그리움으로, 강도 나도 야윈다. 

*** 89

송정리역 앞 1003번지 
맨몸으로 버티는 

방직공장 
그만 둔 
스물 넷 
언니가 산다 

밤마다 
환장하게 피어 
쪽방 밝힐 
자궁꽃 

      박현덕 (1967 - )「송정리 시편 1」 전문 

만개해있는 꽃이 처연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시들 날이 얼마 남지 않
았다는 걸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방직공장을 그만 둔 스물 넷의 언니꽃이 밤마다 활짝 피어난다. 가장 
화려하고 행복해야 할 시기에 송정리역 앞 쪽방을 밝히는 자궁꽃이란다. 
아가씨나 여자가 아닌 언니라는 호칭에 묻어있는 따뜻한 시선이 화자가 
왜 환장하는 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 90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 1903 - 1950 ) 「모란이 피기까지는」전문

모란이 피기까지는 아직 봄이 온 것이 아니다. 모란이 지고 나면 봄이 
사라짐은 물론 내 한 해도 다 가고 만다. 시쳇말로 모란이 없는 세상은 
고무줄 없는 빤쓰란다. 그런데 그렇게 기다리고 기다리는, 모란이 피어있
는 봄을 왜 기쁨이 아니고 슬픔의 계절이라고 했을까. 그리고 왜 그 슬픔
이 찬란하다고 했을까. 
인생의 봄, 청춘, 사랑도 아름답다. 그러나 결국 곧 사라지고 만다는 것
을 알기에 더욱 찬란하게 느껴진다. 모란도 그래서 그냥 모란이 아니다. 
유한한 인생을 살다가는 시인이 마음속에 담고 싶어 하는 지고한 아름다
움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닐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박목월, 나희덕, 함민복, 김준철, 정수자 김동찬 2006.05.16 343
101 조오현, 문정희, 임보, 정일근, 김남조 김동찬 2006.05.16 328
100 홍채염 앓으며 새해를 맞다 김동찬 2006.03.23 491
99 구상, 이성복, 김소월, 이육사, 노천명 김동찬 2006.01.23 365
98 방정환, 최석봉, 도종환, 문무학, 오영근 김동찬 2006.01.23 372
» 이창수, 김재진, 고재종, 박현덕, 김영랑 김동찬 2006.01.23 436
96 김호길, 황인숙, 고시조, 김영수, 유안진 김동찬 2006.01.23 426
95 김광규, 최승호, 황동규, 이정록, 박화목 김동찬 2006.01.23 428
94 이장희, 박영희, 박시교, 정찬열, 이조년 김동찬 2005.12.21 324
93 신동엽, 권대웅, 이의, 강중훈, 이상 김동찬 2006.01.20 241
92 서정춘, 김금용, 박남철, 조운, 석상길 김동찬 2006.01.20 386
91 반병섭, 조옥동, 이정환, 김용택, 지인 김동찬 2006.05.16 306
90 김제현, 고시조, 나호열, 루미 김동찬 2006.01.20 465
89 정완영, 이수복, 이시영, 이선관, 한하운 김동찬 2005.12.21 342
88 정양, 백선영, 고현혜, 김희현, 김상헌 김동찬 2005.12.21 301
87 고형렬, 기영주, 윤준경, 최영미, 정지용 김동찬 2005.12.21 359
86 오규원, 이영도, 정지상, 장태숙, 이탄 김동찬 2005.12.21 252
85 김종길, 이생진, 최경희, 서정주, 한용운 김동찬 2005.12.21 374
84 높은 곳과 낮은 곳 김동찬 2005.12.16 349
83 정인보, 문인귀, 임혜신, 박정순, 유치환 김동찬 2005.12.05 288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1
어제:
2
전체:
36,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