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편소설/호연지기 제1부

2005.06.26 01:40

주현중 조회 수:259 추천:26

style="FONT-SIZE: 20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32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20px; COLOR: #000000; LINE-HEIGHT: 32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중편소설
: 호연지기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ize=2>지은이 / 주현중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6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6px; COLOR: #000000; LINE-HEIGHT: 26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제1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탕!
탕! 탕! 어디서 나는지 영문을 모를 총성이 서쪽하늘 아래서 울렸다. 컴컴한 밤 절대 권력자의 아지트. 그곳은 궁정동 안전가옥이었다. 1979년
10월26일... 1979년은 그렇게 몇 발의 총성으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며 서서히 저물어 갔다. 그리고 대망의 1980년대의 첫해가
어둠의 그림자를 동반하고 세기의 사냥꾼들을 위해 밝아오고 있었다. 절대 권력의 그늘 밑에서 또 다른 권력에 굶주린 후보군들이 호시탐탐 시국을
저울질하며 꿈에 부풀어 갔다. 그러나 시국은 후보군들의 손을 들어주지 않고 죽느냐 사느냐의 운명의 올가미로 여기저기에서 올가미를 씌우고 있었다.
그리고 1980년 5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전두환을
타토하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전두환은
물러가라!”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과도정부는
들어라 우리는 민주주의를 열망한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최규하
대통령은 시국을 바로보라!”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미국이
우리의 손을 들어주러 온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전라남도
광주시 금남로를 중심으로 산발적인 민주화 투쟁이 일고 있었다. 벽돌이 날아들고 화염병이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날아들고
각목과 목봉이 서로 뒤엉키고 무엇 때문에 같은 동지끼리 피를 보아야 하는지 이유도 모르고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서로
때리고 부수고 던지고 방아쇠를 당겼다. 거리란 거리마다 피 흘리는 사람, 눈 빠진 사람, 다리 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러진
사람, 유방이 잘려나간 여인, 이유도 없이 아니 왜 끌려가야 하는지도 모르고 무시무시한 총탄 앞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단
한 마디 괴성도 질러보지 못하고 죽거나 천추의 한을 품고 영원한 불구자가 되어 갔다. 그리고...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0px 0px 13px; COLOR: #000000; TEXT-INDENT: -13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1981년
3월3일. 언제 그랬냐는 듯이 쇼군의 제5공화국을 알리는 애국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전국방방곡곡에서 축포가 터지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하늘이
울고 땅도 울고, 또 한쪽에서는 하늘이 웃고 땅도 웃고, 그 쇼군을 연상하면 하루에도 열 두 번씩 닭살이 돋았다 풀렸다 반복을 한다. 한참 피어
날 아니, 소풍놀이에 즐거워야 할 민주학생들을 가장 잔인한 수단으로 도륙을 하고, 정통성이 부여된 정부도 도둑질 했다. 거만, 거만하지만
대한민국 역사상 이 보다 더 거만한 쇼군은 없다. 故 박정희 대통령은 명분이라도 있었지만 1980년대의 쇼군은 아무런 명분도 찾지 못한 채
총탄으로 온 나라를 통째로 집어 삼키고 만다. 머리카락도 몇 개 없는 백마고지를 가지고 시계가 필요 없었던 오후 정규 아홉시 [땡전뉴스]
지겹도록 보고 보아야 했다. 나이 50세도 안 된 쇼군이 텔레비전 브라운관을 통해 장충체육관에서 취임선서를 하는 모습을 본
시골농사꾼들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이보시오들
새로 취임하는 대통령이 완전한 대머리네 그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이구~
이제 보니 영감탱이구마!”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젊으면
어떻고 늙으면 어떤가. 우리 같은 무지렁이들이야 하루 세 끼 배부르면 장땡일세! 안 그런가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당시엔
민주투사를 투사라 알리지 않고 폭도라 국민들에게 알렸고, 민주화운동을 폭동이라 했으니 그 주동자들은 모두 빨갱이(공산당)이라고 매도해도 세상이야
누구 손에 넘어가든 하루 세 끼 배부르고 등 따시면 그만인 다수의 국민들은 관심조차 없었다.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당시만 해도 강원도
산골 같은 곳은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집이 많았고 전화도 없었고 텔레비전이라고 해 봐야 한 마을에 한두 집 아니면 마을 이장이나 동장 집에 한
대 있을 뿐이었고 라디오는 흔했으나 건전지를 넣고 사용하는 라디오였기에 보름만 사용하면 꿀 먹은 벙어리나 다름없었고 깊은 산간지대에선 안테나를
달아도 방송채널이 잡히지 않았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보름도
못가는 라디오 그만 부숴버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보름은
고사하고 어디 채널이 잡혀야지 빌어먹을....”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남쪽
땅 광주에선 수만 명이 죽거나 불구가 되거나 이유 없이 잡혀가거나 해도 가장 흔했던 정보매체가 신문이 고작이었으니 면, 군, 시, 도의 중심이
되는 소재지에서는 어느 정도 정보를 귀동냥이라도 주어들을 수 있었지만 산간벽촌에는 감감소식이었다. 아니, 폭도는 뭣이고 폭동은 또 뭣인지 혹,
들었다 해도 그 말의 뜻조차 모르는 그저 하루 날품팔이로 연명해가는 무지렁이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이봐
순이 아범 있는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왜
그라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나라에
필시 무신 일이 난겨! 아니고서야 이랄수가 있는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니
도대체 무신 소린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순이
아범 내 말 좀 들어 볼란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네
그라죠. 퍼뜩 말하이소.”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글쎄!
고치 팔 것이 좀 있어 장에 갔다가 오는데 글쎄! 휴~ 순이 아범 목구멍까정 다 타네 그려! 시원한 물 한 사발 먼저 주게.”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네
그라입시더 예.”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이고~
그 물맛이 최고구만!”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
하던 말이나 마저 하이소. 궁금하구마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럼세.
그러니까 무신 말인가 하모 아랫말 철이 아범이 간밤에 다리 건너 정씨네 집에 놀러갔다 오다 백차(경찰차)순사한테 이유도 모르고 잡히 갔다
안하나.”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뭐요!
뭐라하며 잡아갔답디까?”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니
그게 글쎄! 같은 이웃마을이고 이런 촌구석에서 마실(이웃집에 놀러간다는 말)가는데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다니나 어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하모요.
누가 마실다니문시로 주민등록증 가지고 다니겠는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란데
이웃마을이고 시골에 사는 우리네는 먼 거리 아니모 주민등록증 안 가져 다닌다 하니까 덮어놓고 같이 가자고 함서 잡아끌더란
말이라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
그 야그는 어디서 들었는교 어르신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야
철이 아범 마니래(마누라) 한티 들었다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무도
모르게 잡히 갔다믄서 어찌 알았다는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밤
마실 갔다는 사람이 아침까지 오지 않아 정씨네로 가봤디만 왔다가 한 시간 뒤 바로 갔다고 하는디 집엔 안 들어왔으이 면경찰지서로 가봤다지
아마....”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서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자초지종을
설명하이 잠시 기다려보라 하기에 기다려보이 마산경찰서에 가 있다는기라.”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
그랬구마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가
발에 땀이 나도록 마산경찰서로 달려가보이 조사를 받고 있다하더만은 도시(도대체) 무신 일인지 모르겠구마!”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마!
뭐 아무 죄 없이모 곧 안 풀리나겠는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야
그렇지마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랬다.
1980년9월1일과 1981년3월3일(제5공화국 출범일) 이후의 정국은 안정과불안의 연속이었다. 남산에 삼청교육대라는 유령부대를 창설하여 죄가
있든 없는 몸에 작은 문신하나만 있어도 잡아 갔다. 간혹, 새 사람이 되어 나왔다는 말도 전해졌지만 대다수의 수용된 사람들은 거의 폐인이 되어
나왔다. 그리고... 잠잠해져 갔다. 한여름 소낙비가 쏟아진 후 햇살처럼.... 모두가 능청스러웠다. 쇼군을 불신했던 사람도 전 정권에 빌붙어
먹던 이마에 파리가 미끄러지던 사람도 매 한대 맞는 것보다 밥 한 그릇 더 먹는 게 좋았던지 쇼군의 발바닥까지 헗었다. 일부 양심가를 제외하곤
모두가 잘 길들여진 군견처럼... 그리고 1980년 봄으로 다시 거슬러 경상남도 마산시 진전면 평암리(임의적으로 설정함) 시골마을 정씨네 집엔
80년 대한민국의 봄이 아닌 정씨네 봄이 오고 있었다. 80년 봄 4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필승!
해병 대위 정승진 무사히 군복무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예편보고 이상 끝!”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누긴교?
이 아침나절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필승!
어머니 승진입니더 승진이가 돌아왔다 안는교.”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고
마! 이~이게 누기라! 내 둘째 아들 승진이 아이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네
맞습니더. 어무이 둘째 아들 승진이가 돌아왔습니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고
마! 귀신잡니라꼬 고생 많았데이. 그래! 아침은 먹고 떠났드나?”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네
어무이 하지만도 오랜만에 어무이가 해 주는 하얀 쌀밥 한 그릇 먹고 싶습니더 어무이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한
그릇 가지고 되나 인자 왔으이 계속 먹으야제! 퍼뜩 들어가제이 얼는 방으로 들어가제이 내 아들 승진아!”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무이
들어가기 전에 어디 손 한번 만지 보입시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아!
그래 그래라 그 손이 그 손 아니겠나.”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東來정씨
둘째 아들 정승진(가명)은 위관장교 군복무를 무사히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낳아주신 어머니 손부터 어루만져 보았다. 그동안 많이도 거칠어진
모양인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무이
손이 와 이런교 야? 사람 손이 아이고 완전히 두꺼비 손이고만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승진아,
내 아들 승진아! 사람은 누구나 늙어지면 그런기라. 늙어서 손만 고우면 뭐하노 꼽 사납그르!”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무이~~~~”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승진이는
두꺼비가죽처럼 거칠어진 어머니 손을 만져보곤 뭐라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죄송한 나머지 울컥하고 눈물이 솟는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무이~
어무이요. 죄송합니데이 이런 줄도 모르고 지는 군에서 편하게 생활했다 아입니꺼. 어무이 정말로 죄송합니데이 어무이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괘않다.
승진아! 서른이 다 되어가는 사나자슥이 와 이리 싱겁노!”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
고마 됐다. 어여 퍼뜩 들가제이”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네
어무이도 들어가입시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
내 아들 승진이 절은 받아야 않겠나.”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승진이와
승진 어머니는 그렇게 한참을 집 마당에서 만남의 변을 나누고 안방으로 들어갔다. 승진이는 우선 어머니께 절부터 올리고 금세 어머니가 손수 지은
아침 겸 점심을 차려 겸상으로 놓고 두 모자는 그간의 쌓였던 집안 이야기며 하나 밖에 없는 승진이 형에 관한 이야기며 동네사람들 사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래!
승진아 앞으로 뭐 세워놓은 계획은 있는기가?”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어무이
우선 그보다 집안 단도리나 좀 해 놓고 차차 이야기 하겠니더.”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럼
그래라! 하기사 마! 느그 아버지도 안계시고 느그 형은 서울서 보세공장인가 뮛인가 하느라 어데 집 돌볼 사람이 있었더나 우짜 됐던 간에 그래
해라.”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그렇게
모자의 상봉의 정을 나누며 고향에서의 하룻밤을 보내고 난 그 이튼 날부터 승진이는 앞마당 구석구석에 흉스러이 돋은 잡풀들을 제거하는 등 온 집
구석구석을 말끔히 단도리하고 난 그 다음 삼일 째 되는 날부터는 아버지 손 떼가 묻은 지게를 걸머지고 앞산뒷산으로 땔감나무를 해다 날랐다.
일력으로 해다 나르는 나뭇짐이라 많이 해 봐야 하루에 다섯 짐 이상은 무리였다. 쉬엄쉬엄 그렇게 땔감 나무만 해 나른 것이 어느새 한 해
겨우(동절기) 내내 때고도 남을 만치 쌓여갔다. 승진이 어머니의 그만해도 된다는 성화에 못 이겨 땔감나무 하는 일은 그만 접고 난 승진은 장차
무엇을 할까 곰곰이 생각하며 동네 친구를 만나는가 하면 이 동네 저 동네를 하루가 멀다 하고 오가며 돌아가는 정치상황과 경기(경제)상황을 점검해
갔다. 그런 가운데 달력을 힐금 올려다보니 1980년 5월 1일을 가리키고 있었다. 그리고 그날....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제2부에서 계속...

src=http://hjk7148.com.ne.kr/mc1/jayoungTheme-Scat.asf hidden=true
autostart="true" volum="0" loop="-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5 새모시, 꽃기린, 초록섬 님에 대하여 구름나그네 2016.04.12 265
194 You are a great night ABJ 2011.03.26 264
193 허드슨 강을 따라서 임영준 2006.06.23 262
192 밤하늘은 안다 임영준 2006.10.06 262
191 세모의 편지 구름나그네 2005.12.18 261
190 Anne Murray 의 Christmas Album 7곡 박동수 2005.12.13 260
» 중편소설/호연지기 제1부 주현중 2005.06.26 259
188 달의 평등 박성남 2009.10.30 257
187 그리운 봄 月暈 2009.03.02 256
186 삶의 여정[수필] 김형출 2004.09.08 256
185 머언 하늘 수퍼맨 2004.08.07 256
184 늙은이와 어르신 ^^* 2011.12.27 255
183 초우 청학 2005.12.20 253
182 9월 17일을 기다렸는데 정석영 2011.09.26 252
181 향 수(鄕愁) 박동수 2005.09.15 252
180 달무리(月暈) 月暈 2009.02.06 252
179 비 오는 날 유화 2006.07.17 251
178 월광 소나타 月暈 2009.02.07 251
177 현絃 유화 2005.08.22 251
176 밤 비 박동수 2005.05.17 251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3
어제:
20
전체:
479,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