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2015.09.24 07:34

사투리 ‘마카’

조회 수 3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투리 ‘마카’
오정방


유독 사투리만 자주 쓰는 사람들은
표준어에 서투르다
일상 표준말만 쓰는 사람들은
반대로 사투리에 약하기 마련이다
바다 건너 제주도 방언은
대부분의 본토 사람들이
얘기의 줄거리조차 찾기 어렵고
평소 표준말만 쓰던 사람에게서
툭툭 튀어나오는 사투리만 들어도
어느 지방 사람인지 금방 알 수 있다

갓 시집 온 서울출생 새 며느리에게
무뚝뚝한 경상도 시어머니가 던진
‘이게 마카나?’라는 말*
당연히 알아듣지 못한 새색시는
쪼르르 신랑에게 달려와 답을 얻는다
당신은 “마카”란 말 들어본 적 있소?
있다시면 혹시 그 말뜻 아셨습니까?
듣고도 그 뜻을 이내 몰랐다면
적어도 당신은 경상도 분은 아니신데
어떻습니까, 내 말 틀렸습니까?

< 2012. 7. 3>
…………………………………………….
*마카:모두, 다, 전부 이런 뜻으로 경상도지역과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음.
  
?

  1. 祝詩 / 그 때는 점점 가까이 다가 오고

  2. 독도가 자국땅이 아니라 말한 용감한 일본 노신사

  3. 독도는 최일선最一線이다

  4. 그 첫 번째 보름달

  5. 친환경親環境

  6. 독도, 2012임진외란 壬辰外亂

  7. 대나무 돗자리

  8. 판단判斷

  9. 사투리 ‘마카’

  10. 아름다운 금자탑金字塔!

  11. 음률에 실린 고국의 정

  12. 콜롬비아 강에 어둠이 덮일 때

  13. 은상가은恩上加恩

  14. 강물은 흘러야 제 맛이다!!

  15. 막말

  16. 손수조, 한 번 겨뤄볼만하지 않은가?

  17. 봄에 내리는 겨울 눈

  18. 소망은 오직 하늘에…

  19. 잊을 수도 없고 잊어서도 안되는…

  20. 2월 29일, 윤년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4 Next
/ 54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6
어제:
8
전체:
193,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