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연재되었던 [윤태영의 글쓰기 심화를 위한 노트] 를 모아보았습니다.

찬찬히 목록을 보시면서 마음이 가는 꼭지부터 다시 시작해보셔도 좋을 것입니다.



1. 감성이 담긴 글을 쓰자. 메시지를 부드럽게 전달하자.

http://acase.co.kr/2014/09/15/deepwriting01



2. 시작이 중요하다. 첫 문장으로 독자를 긴장시키자.

http://acase.co.kr/2014/09/16/deepwriting02





3. ‘눈물’이란 표현이 독자를 슬프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http://acase.co.kr/2014/09/17/deepwriting03



4. 하나의 장면을 한 꼭지의 글로 만드는 연습을 하자.

http://acase.co.kr/2014/09/18/deepwriting04



5. 캐릭터를 당당하게 드러내자. 단점도 강점으로 승화된다.

http://acase.co.kr/2014/09/19/deepwriting05



6. 하찮은 것까지도 기록하자. 입체적인 글을 만들 수 있다.

http://acase.co.kr/2014/09/22/deepwriting06



7. 기승전결, 완벽하지 않아도 좋다. 구성으로 커버하자.

http://acase.co.kr/2014/09/23/deepwriting07



8. 시간순 서술은 대체로 진부한 느낌을 준다. 구성에 변화를 주자.

http://acase.co.kr/2014/09/24/deepwriting08



9. 핵심을 묘사하는 데 집중하자. 의미 없는 설명은 과감히 생략하자.

http://acase.co.kr/2014/09/25/deepwriting09



10. 만담이 아닌 대화를 살리자. 핵심 메시지를 담아보자

http://acase.co.kr/2014/09/26/deepwriting10



11. 솔직하게 쓴다. 의도적 과장은 역효과를 낸다.

http://acase.co.kr/2014/09/29/deepwriting11



12. 가급적이면 객관적인 3인칭 관찰자 시점을 유지하자.

http://acase.co.kr/2014/09/30/deepwriting12



13. 까다로운 마무리, 여운을 남기는 방법도 좋다.

http://acase.co.kr/2014/10/01/deepwriting13



14. 모든 것을 설명하지 말자. 욕심이 글을 지루하게 만든다.

http://acase.co.kr/2014/10/02/deepwriting14



15. 이야기를 풀어가는 한마디를 생각하자. 키워드를 만들자.

http://acase.co.kr/2014/10/06/deepwriting15



16. 메시지를 강요하지 말자. 담담한 묘사로도 전달이 가능하다.

http://acase.co.kr/2014/10/07/deepwriting16



17. 쉽게 쓰자. 글은 생각을 다수에게 전달하는 수단이다.

http://acase.co.kr/2014/10/08/deepwriting17



18. 명문에 집착하지 말라. 쓰다보면 명문이 나온다.

http://acase.co.kr/2014/10/10/deepwriting18



19. 한 편의 글에서는 한 가지 메시지만을 전달하자. 욕심내지 말자.

http://acase.co.kr/2014/10/13/deepwriting19



20. 인물의 생생한 워딩은 최대한 살리자. 현실감이 풍부해진다.

http://acase.co.kr/2014/10/14/deepwriting20



21. 사물의 양면성을 잘 관찰하자. 글 쓸 재료가 풍부해진다.

http://acase.co.kr/2014/10/15/deepwriting21



22. 기억이 가물가물해도 대충 쓰지 말자. 최대한 정확한 팩트를 찾자.

http://acase.co.kr/2014/10/16/deepwriting22



23. 결말이 알려진 이야기는 과정을 묘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http://acase.co.kr/2014/10/17/deepwriting23



24. 반문(反問)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자. 독자를 깨어있게 하자.

http://acase.co.kr/2014/10/20/deepwriting24



25. Fade-in & Fade-out, 새로운 단락으로 부드럽게 넘어가자.

http://acase.co.kr/2014/10/21/deepwriting25



26. 가정과 전제를 남발하지 말자, 주장이 불투명해진다.

http://acase.co.kr/2014/10/22/deepwriting26



27. 글에도 양념이 필요하다. 재밌는 이야깃거리를 발굴하라.

http://acase.co.kr/2014/10/23/deepwriting27



28. 주장글에서는 예화를 적극 활용하자. 인물에 관한 글은 예외다.

http://acase.co.kr/2014/10/24/deepwriting28



29. 얼마나 과감히 삭제하느냐에 따라 글의 품질이 결정된다.

http://acase.co.kr/2014/10/27/deepwriting29



30. 타깃을 분명히 하자. 독자가 앞에 있다고 생각하자.

http://acase.co.kr/2014/10/28/deepwriting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사랑의 시 써보기 동아줄 2012.11.13 730
79 시는 어디서 오는가? - 시적 발상 동아줄 2012.11.20 372
78 김태수 씨 “8만 시간 디자인 공모전” 에세이 최우수상에 뽑혀(앵커리지 한인신문 기사 내용,11/28/2012) 동아줄 김태수 2012.11.30 428
77 우리가 알아야할 수필정석 13 가지 동아줄 2013.02.20 234
76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나탈리 골드버그 동아줄 2013.03.28 368
75 수필의 여섯 가지 등급 동아줄 2013.04.23 400
74 좋은수필 101가지 읽기 동아줄 2013.04.23 2174
73 소재와 표현 동아줄 2013.04.26 197
72 합평회 하는 방법에 대하여 동아줄 2013.04.30 1820
71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 1 동아줄 2013.05.04 250
70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2 동아줄 2013.05.04 287
69 시조 자수고(字數考) 동아줄 2013.05.06 304
68 수필 공부 동아줄 2013.05.25 809
67 김태수 씨, 신문논술대회 장려상(Korean News 기사내용, 06/05/2013) 동아줄 2013.06.09 216
66 문예지별 등급 동아줄 2013.07.16 2110
65 좋은 시를 쓰려면 동아줄 2013.09.07 955
64 Korean News 기사-김태수 씨, 낙동강 세계평화문학대상 특별상 수상(9/11/13) 동아줄 2013.09.15 207
63 서북미문인협회 제9회뿌리문학상 수상자 발표(시애틀 N 뉴스 기사 내용 8/22/13)/심사평 동아줄 2013.09.23 444
62 신춘문예 심사위원이 한국문학을 죽인다 동아줄 김태수 2013.10.28 353
61 '전국 가사.시조 창작 공모전'에서 김태수 씨 장려상 입상 [앵커리지 한인신문 기사 10/30/13] 동아줄 2013.11.01 241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32
어제:
43
전체:
1,169,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