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학바라기
 
 
문학꽃 피워보려 묵정밭 가꿔 일궈
 
글빛 찾아 옹기종기 한 움큼 씩 씨 뿌린다
 
저것 봐 잊혔던 글씨 앗, 지구를 들추네
 
 
김태수(미국 알래스카 주 앵커리지)
 
 
 
 
겨우살이
 
 
무허가 난전 위에 드난살이 하는가
 
오일장 쳇바퀴 돌려 휘감으면 또 오일장
 
허공 속 우듬지 너머 초록 좌판 펼쳤다
 
 
박한규(경북 포항시 대이로)
 
 
 
 

뽑는말


시조의 그릇에 담지 못할 것은 없다. 다만 '무엇을,어떻게'담느냐가 문제일 따름이다. 간혹 시조의 그릇이 너무 작다고 탓하는 이들이 있다. 그릇 탓을 하기 전에 스스로의 역량을 되짚어보는 게 순서가 아닐까.

김태수 씨의 '문학바라기'는 묵정밭의 이미지를 끌고 와서 글쓰기의 지난한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종장에서 보듯 새로운 발견에 대한 희열의 순간을 놓치지 않는다. 이른바 메타시의 한 모습이다.
 
박한규 씨의 '겨우살이'는 신선한 비유가 돋보인다. 나무 꼭대기 허공 속에 초록 좌판을 펼친 겨우살이. 그런 겨우살이의 생태가 오일장 무허가 난전의 드난살이와 결부된다. 그럴 때 시상은 생존의 정서로 바뀐다.

'셋방살이(김이랑),'바다(나대영),'초승달(장영춘)등을 매만지다 놓는다.'무엇을,어떻게'담을 것인가? 좀 더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고 본다.                                       - 박기섭 시조 시인-


?

  1. 김태수 약력

  2. No Image 07Jun
    by 동아줄 김태수
    2013/06/07 by 동아줄 김태수
    in 수필
    Views 586 

    신문이 내 삶의 교재다[2013 신문논술대회 장려상, 맑은누리문학 14년 신년호]

  3. 시작 연습[나성문학, 12년 창간호]

  4. 시인의 자질

  5. 시인들 삶이다[맑은누리 14년 여름호]

  6. 시심[샘터 13년 1월호]

  7. No Image 20Aug
    by 동아줄 김태수
    2016/08/20 by 동아줄 김태수
    in 수필
    Views 39 

    숲에는 푸른 마음이 산다[2016년 재미수필, 맑은누리 2017년 신년호]

  8. 수필은 문이다[2014 재미수필]

  9. 세월호 진도침몰참사

  10. 세월이 가면/첫사랑[12년 사이버 문학공모전 장려상]

  11. No Image 17Jul
    by 동아줄 김태수
    2015/07/17 by 동아줄 김태수
    in 수필
    Views 266 

    설거지[2016 맑은누리문학 신년호]

  12. No Image 22Feb
    by 동아줄 김태수
    2016/02/22 by 동아줄 김태수
    in 시조
    Views 459 

    샘터 시조 2016, 2월호/문학바라기, 겨우 살이

  13. 새해 인사

  14. 새봄이다

  15. 새 봄빛

  16. 삶의 육하원칙[문학의 봄 2016년 봄호]

  17. 산거 도사

  18. 사우나(미주문학 13년 여름호)

  19. 사랑의 오감

  20. 사람의 바람은 거꾸로 고향 숲에 머물고

  21. 사람을 담는 그릇[재미수필 12년 14집]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3
어제:
21
전체:
1,168,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