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2
어제:
1
전체:
10,709

이달의 작가

가정/박목월

2008.03.27 13:29

정문선 조회 수:163 추천:32

가 정 - 박목월 - 지상에는 아홉 켤레의 신발 아니 현관에는 아니 들깐에는 아니 어느 시인의 가정에는 알전등이 켜질 무렵을 문수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내 신발은 십 구문 반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그들 옆에 벗으면, 육문 삼의 코가 납짝한 귀염둥아 귀염둥아 우리 막내둥아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얼음과 눈으로 벽을 짜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한 삶의 길이여 내 신발은 십구문 반. 아랫목에 모인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강아지 같은 것들아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내가 왔다. 아버지가 왔다. 아니 십구문 반의 신발이 왔다. 아니 지상에는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존재한다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 <경상도의 가랑잎>(1968) - 해 설 ◆ 개관정리 ⑴ 성격 : 독백적, 상징적 ⑵ 중요시구 * 지상 → 삶의 공간(현실세계) * 눈과 얼음의 길 → 얼음판을 걷듯이 아슬아슬하기만 한 고달픈 현실 ⑶ 주제 : 가장으로서의 아버지의 고달픔·연민과 가족에 대한 애정 ◆ 시상의 전개방식(구성) ○ 1연 : 현관에 놓인 아홉 켤레의 신발 ○ 2연 : 고달픈 현실 속에서도 느껴지는 가족에 대한 애정 ○ 3연 : 고달픈 삶 속에서 느끼는 가장으로서의 연민의 자의식 ○ 4연 : 아버지로서의 서글픔 및 가족을 통한 위안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의 화자는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나 또한 고달픈 현실 생활 속에서 힘겨워하고 있다. '눈, 얼음, 연민, 굴욕, 굶주림, 추위' 등 힘겨운 현실을 드러내는 부정적 이미지의 시어와 '귀염둥아, 미소, 강아지' 등 가족에 대한 사랑이 가득 드러나는 시어가 교차되면서 생계를 겨우 유지해 가는 자신에 대한 안타까움과 연민, 그리고 흐뭇한 미소를 짓게 하는 자식에 대한 애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대조적 시어의 배치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비애와 행복이 섞여 있는 현실적 삶의 무게를 느끼게 함으로써 서글픈 정감에 젖어들게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FOOTPRINTS IN THE SAND moonsun 2006.07.30 104
143 가구의 힘 /박형준 정문선 2008.03.27 149
142 가는 길/김소월 정문선 2008.03.27 244
141 가는 길/김광섭 정문선 2008.03.27 145
140 가을에/정한모 정문선 2008.03.27 151
» 가정/박목월 정문선 2008.03.27 163
138 가정/이상 정문선 2008.03.27 183
137 강강수월래/이동주 정문선 2008.03.27 137
136 강강수월래/김준태 정문선 2008.03.27 377
135 개화/이호우 정문선 2008.03.27 153
134 거산호 11/김관식 정문선 2008.03.28 269
133 검은 강 /박인환 정문선 2008.03.28 123
132 겨울 나무로 부터 봄 나무에로/황지우 정문선 2008.03.28 153
131 겨울바다/김남조/ 꽃 영상과 함께 정문선 2008.03.28 112
130 고고 /김종길 정문선 2008.03.28 497
129 고풍의 상/조지훈 정문선 2008.03.28 110
128 고향/정지용 정문선 2008.03.28 231
127 교외 111/박성룡 정문선 2008.03.28 126
126 구두/송찬호 정문선 2008.03.28 218
125 국수/백석 정문선 2008.03.28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