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4
전체:
10,742

이달의 작가

겨울바다/김남조/ 꽃 영상과 함께

2008.03.28 00:56

정문선 조회 수:112 추천:17

겨울 바다 김남조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미지(未知)의 새,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그대 생각을 했건만도 매운 해풍(海風)에 그 진실마저 눈물져 얼어 버리고 허무의 불 물 이랑 위에 불 붙어 있었네. 나를 가르치는 건 언제나 시간……. 끄덕이며 끄덕이며 겨울 바다에 섰었네. 남은 날은 적지만 기도를 끝낸 다음 더욱 뜨거운 기도의 문이 열리는 그런 영혼을 갖게 하소서. 남은 날은 적지만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인고(忍苦)의 물이 수심(水深) 속에 기둥을 이루고 있었네 - 시집 <겨울바다>(1967) - 해 설 [ 개관 정리 ] ◆ 성격 : 명상적, 회고적, 주지적, 상징적 ◆ 심상 : '물(생성, 차가움)'과 '불(소멸, 뜨거움)'의 대립적 심상 ◆ 표현 : 회상 시제 표현 → 감각적 체험을 시적 정서로 승화시켜 줌. 자기 응시적 독백체 ◆ 중요 시구 * 겨울 바다 → 상징적 공간, 부재의 현실, 생성과 소멸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간 * 인고의 물 → '부재의 현실'을 초극하려는 자아의 내면적 신념의 표상 ◆ 주제 : 삶의 허무 극복 의지 진실과 사랑에 대한 소망 [ 시상의 전개(구성) ] ◆ 1∼3연 : 소멸의 공간, 허무의 현실 ◆ 4연 : 깨달음과 삶에 대한 긍정으로의 전환 ◆ 5∼6연 : 허무의 극복을 위한 간구(주제) ◆ 7∼8연 : 현실의 고뇌를 극복하는 성숙한 의지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소멸 이미지로서의 '불'과 생성 이미지로서의 '물'이 대립을 이루는 가운데, 이 시는 부정과 좌절, 대립과 갈등을 통해 깨달음과 긍정에 이르는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이다.'겨울 바다'의 소멸과 생성으로 대표되는 관념적이고 이중적(二重的)인 이미지와 물과 불의 대립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극적 긴장감을 환기시킨 다음, 수심 속의 물 기둥을 통한 초극 의지를 시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겨울'은 4계절의 끝으로 만물이 무(無)로 돌아간 때이지만, 한편으로는 만물이 재생하는 봄을 잉태하는 때이기도 한데, 이것이 바로 '겨울'이 갖는 모순의 이미지이다. 마찬가지로 '바다'도 물의 순환이 끝나는 종착지면서 동시에 시발지라는 모순의 이미지를 갖는다. 그러므로 '겨울 바다'는 죽음과 생성, 절망과 희망, 상실과 획득, 이별과 만남의 복합 이미지의 상징어가 된다. 시적 화자는 바로 그러한 이미지의 겨울 바다에서 '미지(未知)의 새'가 죽고 없음을 발견한다. '미지의 새'는 곧, 그 어떤 진실의 실체로 시적 자아가 체험하지 못한 성스러움을 표상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것이 상실된 겨울 바다는 죽음과 절망의 공간일 뿐이다. 그 때 살 속을 파고드는 매운 해풍까지 불어 대기에 그간 자신을 지켜 주고 지탱하게 했던 사랑마저도 실패로 끝나는 삶의 좌절을 체험하는 것이다. 절망적인 현실 공간에 매운 해풍이라는 현실적 고난이 닥쳐옴으로써 화자는 더욱 비극에 빠지는 것이다. 그러나 삶의 고뇌에 몸부림치며 삶과 죽음 사이에서 선택의 갈등을 겪던 그는 사람은 누구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시간 속의 유한적(有限的) 존재라는 것과 지금 겪고 있는 괴로움은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치유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통해 긍정적 삶을 인식하기에 이른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자신의 삶에 대해 경건한 자세를 가지게 된 화자는 허무와 좌절을 이겨내기 위한 뜨거운 기도를 올리며 영혼의 부활을 소망한다. 그러므로 유한적 존재임을 분명히 자각하며 다시금 겨울 바다에 섰을 때, 그 곳은 이미 죽음의 공간이 아닌 소생의 공간이 되어 삶에 대한 뜨거운 의지가 커다란 물기둥같이 솟구쳐 오르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 이 시는 그 핵심이 물과 불의 긴장력 또는 부정과 긍정의 변증법에 놓여 있는 것이다. 삶이란, 사랑이란 바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생성과 소멸, 이성과 감성, 정열과 허무, 육신과 정신, 신성과 세속, 희망과 절망의 대립 또는 화해 속에서 전개되어 가는 것이 아니겠는가. 어쩌면 이러한 대립과 화해는 "새들은 죽고 없었네 / 진실마저 눈물져 얼어 버리고"와 같은 부정의 인식으로부터 시작되어 "허무의 / 불 / 물이랑 위에 불붙어 있었네"와 같은 갈등을 겪고, 마침내 "나를 가르치는 건 / 언제나 / 시간… / 끄덕이며 겨울 바다에 섰었네."처럼 깨달음 또는 긍정의 정신에 도달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이 시의 의미는 분명해진다. 그것은 좌절과 절망 끝에 육지가 끝나고 바다가 시작되는 대립적인 것의 경계선에서, 참회와 정죄를 겪으면서 새롭게 자기 극복과 부활을 성취해 가는 안타까운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러기에 이 겨울 바다는 뉘우침과 속죄의 장소이면서 동시에 부활과 소생의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실상 우리는 한 생애를 살아가면서 잃을 수 있기에 얻을 수 있고, 헤어질 수 있기에 새롭게 만날 수 있고, 또한 죽을 수 있기에 새로운 탄생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이 시는 삶의 거듭 태어남 또는 사랑의 거듭남을 '겨울 바다'라는 부활의 동굴, 또는 무(無)의 통과과정을 토애서 성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FOOTPRINTS IN THE SAND moonsun 2006.07.30 104
143 가구의 힘 /박형준 정문선 2008.03.27 149
142 가는 길/김소월 정문선 2008.03.27 244
141 가는 길/김광섭 정문선 2008.03.27 145
140 가을에/정한모 정문선 2008.03.27 151
139 가정/박목월 정문선 2008.03.27 163
138 가정/이상 정문선 2008.03.27 183
137 강강수월래/이동주 정문선 2008.03.27 137
136 강강수월래/김준태 정문선 2008.03.27 377
135 개화/이호우 정문선 2008.03.27 153
134 거산호 11/김관식 정문선 2008.03.28 269
133 검은 강 /박인환 정문선 2008.03.28 123
132 겨울 나무로 부터 봄 나무에로/황지우 정문선 2008.03.28 153
» 겨울바다/김남조/ 꽃 영상과 함께 정문선 2008.03.28 112
130 고고 /김종길 정문선 2008.03.28 497
129 고풍의 상/조지훈 정문선 2008.03.28 110
128 고향/정지용 정문선 2008.03.28 231
127 교외 111/박성룡 정문선 2008.03.28 126
126 구두/송찬호 정문선 2008.03.28 218
125 국수/백석 정문선 2008.03.28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