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6
어제:
4
전체:
10,719

이달의 작가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김영랑

2008.03.30 07:03

정문선 조회 수:207 추천:16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김영랑 -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돋쳐 오르는 아침 날빛이 빤질한 은결을 돋우네.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시문학 창간호>(1930) - 해 설 [ 개관 정리 ] ■ 성격 : 서정적, 낭만적, 유미적, 여성적 ■ 표현 :㉮ 3음보와 각운의 적절한 사용으로 음악적 리듬감 획득 ㉯ 추상(관념)에 지나지 않는 '마음'을 흐르는 강물에 비유함으로 심상화시킴. ㉰ 수미쌍관적 구조 ■ 시어의 의미 * 끝없는 강물 → 개념적 의미를 넘어서는 문학적 언어 시적자아의 아름답고 순수한 정서적 상태를 나타내는 시어 시적자아의 내부에 흐르는 '영혼의 지향' * 돋쳐 → '돋아'의 힘줌말 * 도도네 → '돋우네' *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 가슴과 눈과 핏줄, 어디에든 섬세하고 아름다운 정서가 숨어서 꿈틀거리고 있다. (어떤 이는 '가슴'을 '정서, 생각', '눈'을 '이상, 동경', '핏줄'을 '열정, 열망'을 비유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 도른도른 ― 나지막하고 정겹게 나누는 소리 *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에서 ) → " 여기서 다시금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이란 구절이다. 숨어 있다는 것은 마음이 현실 세계로 펼쳐져 나아가지 않고 내면의 세계로 물러나 들어옴을 뜻한다. 즉, 그는 현실 속에서의 갈등을 피하여 자기만이 가진 속마음의 세계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렇게 돌아왔을 때 맛보게 되는 그윽한 평화, 안정감 그리고 혼자만의 기쁨의 표현이 바로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흐르는 강물이다. 강물은 이러한 자기만의 평화와 그윽한 아름다움의 이미지이다." ■ 주제 ⇒ 내 마음(내면 세계)의 평화와 아름다움 [ 시상의 흐름(짜임) ] ■ 1,2행 : 마음 속에 흐르는 강물 ■ 3,4행 : 흐르는 강물의 아름다움 ■ 5,6행 : 강물의 위치 ■ 7,8행 : 마음 속에 흐르는 강물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동백꽃에 빛나는 마음>이라는 원제목을 지닌 이 시는, 언어와 언어의 조화, 음악성 이외에 사상성이나 깊은 주제의식은 기대하기가 힘든다. 원초적인 시인의 '마음'만 있을 뿐, 현실적 삶의 책임이나 외계의 어떠한 압력도 완전히 제거된 순수문학이다. 많은 비평가들은 '현실세계로 나아가지 않고 내면세계에 머물러 있는' 행위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비판을 가하기도 한다. 문학이 현실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당연한 지적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시인만이 지고 있었던 음악성, 섬세하기 이를 데 없는 말씨, 순수한 내면세계의 표출 등을 두고 힘을 실어주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 시에서 마음이 '강물'로 비유됨으로써 끊임 없이 흐르며 솟아오르는 심리적 동요를 형상해 놓고 있다. "마음=강물=은결=가슴=눈=핏줄"이라는 시상의 전개는 마음 속에 담긴 설움과 그리움을 확대, 심화해 준다. [ 감상을 위한 읽을 거리 ] : 조남익의 『현대시 해설』에서 이 시의 주제는 '내 마음'이다. 내 마음은 불가사의한 형체를 발산하며, 순수 서정의 화려한 진면(眞面)을 드러내고 있다. 영랑의 시가 이른 사람의 마음이란, 어떠한 신선도(神仙圖)에서도 흉내낼 수 없는 생금(生金)으로 빛나는 극치가 있다. 이 시에서 소재가 된 것은 남쪽에 많은 동백나무, 그 잎에 비치는 시인의 마음이다. 동백잎을 보면 시인의 마음이 그 잎(자연)에 접했을 때, 환희의 극광은 어딘 듯 강물이 끝없이 흐르는 것 같고, 아침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돋우고,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신비한 곳을 느끼어 마지 않는다. 그 순백의 마음의 경지, 그것이 시미(詩味)의 실체로써 이 시가 지향하는 바 핵심이다. 매우 미세한 대상에의 시정이면서 동백나무에 햇빛이 비치고, 시인의 마음 또한 비치는, 극명한 세계의 마음, 정열, 분방 등을 한편의 시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