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1
전체:
10,707

이달의 작가

뿌리에게/ 나희덕

2008.03.31 23:00

정문선 조회 수:153 추천:26

뿌리에게 - 나 희 덕 -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 때 나는 막 갈구어진 연한 흙이어서 너를 잘 기억할 수 있다. 네 숨결 처음 대이던 그 자리에 더운 김이 오르고 밝은 피 뽑아 네게 흘려보내며 즐거움에 떨던 아, 나의 사랑을 먼 우물 앞에서도 목마르던 나의 뿌리여 나를 뚫고 오르렴, 눈부셔 잘 부스러지는 살이니 내 밝은 피에 즐겁게 발 적시며 뻗어가려무나 척추를 휘어 접고 더 넓게 뻗으면 그때마다 나는 착한 그릇이 되어 너를 감싸고 불꽃 같은 바람이 가슴을 두드려 세워도 네 뻗어가는 끝을 하냥 축복하는 나는 어리석고도 은밀한 기쁨을 가졌어라. 네가 타고 내려올수록 단단해지는 나의 살을 보아라 이제 거무스레 늙었으니 슬픔만 한 두릅 꿰어 있는 껍데기의 마지막 잔을 마셔다오.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 때 내 가슴에 끓어오르던 벌레들, 그러나 지금은 하나의 빈 그릇, 너의 푸른 줄기 솟아 햇살에 반짝이면 나는 어느 산비탈 연한 흙으로 일구어지고 있을 테니. - <중앙일보 신춘문예당선작>(1989)-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 표현 : 비유(의인화)와 영탄적 어조 시간의 흐름에 의한 시상 전개 생명의 탄생과 성장의 순환 구조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밝은 피 → 원관념은 흙속에 있는 '물'을 가리키며, '생명, 희생적 사랑'을 함축함. * 나의 사랑 → 원관념은 '뿌리'이며, '자식, 제자'등의 의미를 함축함. * 먼우물 → 묽이 맑아 먹을 수 있는 우물물(반대말 : 누렁 우물) * 어리석고도 은밀한 기쁨 → 자식을 위해 아낌없이 사랑을 줌으로써 느끼는 기쁨 * 단단해지는 나의 살 → 뿌리가 성장하면서 흙의 연한 본 바탕(기름진 상태)이 거칠어지고 척박해진 상태 * 마지막 잔 → 생명과 몸을 다하면서 줄 수 있는 마지막 사랑 * 내 가슴에 끓어오르던 벌레들 → 뿌리에게 줄 수 있는 영양분, 사랑. * 너의 푸른 줄기 솟아 햇살에 반짝이면 / 나는 어느 산비탈 연한 흙으로 일구어지고 있을 테니 → 뿌리가 성장해서 결실을 맺은 후에는 다시 연한 흙(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여건)으로 일구어짐. * 흙에 대한 보조관념으로 쓰인 말 : 착한 그릇 → 껍데기 → 빈 그릇 ◆ 제재 : 흙과 뿌리 ◆ 주제 : 생명의 탄생과 성장을 위한 어머니의 희생적인 사랑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뿌리와의 만남과 뿌리에 영양분을 주며 즐거워하던 흙 ◆ 2연 : 뿌리의 성장을 기원하는 흙 ◆ 3연 : 뿌리의 성장에 기쁨을 느끼는 흙 ◆ 4연 : 뿌리가 성장할수록 황폐해지는 흙 ◆ 5연 : 뿌리가 성장한 후 다시 연한 흙으로 일구어짐.(생명 '탄생 - 성장'의 순환 구조)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흙과 뿌리의 관계를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에 설정하여, 뿌리가 성장하면서 흙이 거칠어지는 자연 현상에서 자식을 향한 희생적인 모성애를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의인화의기법으로 상징적 의미를 잘 살리고 있는 이 시는 흙이 '착한 그릇 → 껍데기 → 빈 그릇'의 과정을 거쳐 다시 연한 흙이 된다고 하여, 또 다른 생명을 탄생 · 성장시키는 순환 과정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흙과 뿌리의 관계를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로 보는 것과 함께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