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1
전체:
10,707

이달의 작가

항해 일지/ 김종해

2008.04.01 01:42

정문선 조회 수:148 추천:15

항해 일지 1 - 무인도를 위하여 - 김종해 - 을지로에서 노를 젓다가 잠시 멈추다. 사라져 가는 것, 떨어져 가는 것, 시들어 가는 것들의 흘러내림 그것들의 부음(訃音) 위에 떠서 노질을 하다. 아아, 부질없구나. 그물을 던지고 낚시질하여 날 것을 익혀 먹는 일 오늘은 갑판 위에 나와 크게 느끼다. 오늘 하루 집어등(集魚燈)을 끄고 남몰래 눈물짓다. 손이 부르트도록 날마다 을지로에서 노를 젓고 저음이여 수부(水夫)의 청춘을 다 바쳐 찾고자 하는 것 삭풍 아래 떨면서 잠시 청계천 쪽에 정박하다. 헛되고 헛되도다. 무인도여 한 잔의 술잔 속에서도 얼비치는 저 무인도를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다. 그러나 눈보라 날리는 엄동 속에서도 나의 배는 가야 한다. 눈을 감고서도 선명히 떠오르는 저 별빛을 향하여 나는 노질을 계속해야 한다. - <문학세계사>(1984)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의지적, 희망적 ◆ 표현 : 연작시의 하나, 의지적이고 희망적인 목소리 인생을 '항해'에, 삶의 목표를 '무인도'에 비유함. 1~13행(기본형의 어법 구사, 화자가 노출되지 않음) →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상황 14~16행(당위적인 표현, 화자의 등장) → 주관적 판단과 태도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사라져 가는 것 ~ 노질을 하다. → 바다(인생의 터전)에 대한 시인의 부정적(비극적) 인식 * 그물을 던지고 낚시질하여 날 것을 익혀 먹는 일 → 살아가는 방식과 행위로 삶의 허망함을 느끼게 함. * 집어등 → 고기를 잡기 위해 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켜놓은 등불 * 오늘 하루 집어등(集魚燈)을 끄고 남몰래 눈물짓다. → 삶에 대한 비극적 성찰 * 수부 → 뱃사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신 * 삭풍 아래 떨면서→ 암울한 현실의 조건 * 얼비치는 → 반사되어 비치는 * 무인도 → 절망적 현실에서 소망하는 진정한 삶의 공간 * 별빛 →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희망 ◆ 제재 : 항해일지 ◆ 주제 : 현실 극복 의지와 삶에 대한 희망 [시상의 흐름(짜임)] ◆ 1 ~ 3행 : 삶에 대한 인식 (인식) ◆ 4 ~ 6행 : 삶의 허무함 (허무) ◆ 7 ~ 10행 : 삶의 비애 (비애) ◆ 11~13행 : 무인도에 대한 소망 (소망) ◆ 14~16행 : 현실 극복 의지 (의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항해일지'라는 연작시 중 첫 번째 시로, 절망적인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겠다는 건강함과 따스함, 희망이 상징적인 표현 기법을 통해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