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71

이달의 작가

파도타기/ 정호승

2008.04.01 09:36

정문선 조회 수:188 추천:19

파도타기 - 정호승 - 눈 내리는 겨울밤이 깊어갈수록 눈 맞으며 파도 위를 걸어서 간다. 쓰러질수록 파도에 몸을 던지며 가라앉을수록 눈사람으로 솟아오르며 이 세상을 위하여 울고 있던 사람들이 또 이 세상 어디론가 끌려가는 겨울밤에 굳어 버린 파도에 길을 내며 간다. 먼 산길 짚신 가듯 바다에 누워 넘쳐 버릴 파도에 푸성귀로 누워 서러울수록 봄눈을 기다리며 간다. 다정큼나무 숲 사이로 보이던 바다 밖으로 지난 가을 산국화도 몸을 던지고 칼을 들어 파도를 자를 자 저물었나니 단 한 번 인간에 다다르기 위해 살아갈수록 눈 내리는 파도를 탄다. 괴로울수록 홀로 넘칠 파도를 탄다. 어머니 손톱 같은 봄눈 오는 바다 위로 솟구쳤다 사라지는 우리들의 발 사라졌다 솟구치는 우리들의 생(生). - <슬픔이 기쁨에게>(1979)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상징적, 의지적, 적극적 ◆ 표현 : 눈의 이미지 변화(겨울눈 → 눈사람 → 봄눈) 평서형 종결어미를 통해 담담하고도 의지적인 태도를 드러냄.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눈 내리는 겨울밤이 깊어 갈수록 → 혹독하고 냉혹한 현실 * 눈 맞으며 파도 위를 걸어서 간다. → 현실의 어려움을 고스란히 맞이하여 겪고 있는 화자의 모습 * 파도 → 눈의 파도 = 거친 눈발 = 냉혹한 현실 * 쓰러질수록 파도에 몸을 던지며 → 눈 위에서 쓰러질수록 오히려 눈 속에 온몸을 던지는 모습 * 가라앉을수록 → 고통이 더해 갈수록 * 눈사람 → 눈을 온몸에 뒤집어 쓴 사람, 고통에 굴하지 않고 희망을 잃지 않고 당당히 맞서 싸우는 사람 * 이 세상을 위하여 울고 있던 사람들 → 불합리와 모순과 폭압적인 권력에 대항하며 싸우던 사람들 * 굳어 버린 파도에 길을 내며 간다. → 냉혹하고 억압적인 현실을 개척하고자 하는 의지 * 바다 → 눈의 바다(눈바다), 눈밭 * 푸성귀 → 봄눈(희망)을 기다리는 화자의 작은 모습 * 봄눈 → 봄이 올 것을 알려주는 눈, '희망'의 상징 * 다정큼나무 → 장미과의 상록 활엽 관목 * 몸을 던지고 → 현실에 저항하다 희생된 모습 * 칼을 들어 파도를 자를 자 → 현실에 대한 극복 의지와 투쟁정신을 지닌 사람 * 저물었나니 → 잠들어 있는 모습 * 인간에 다다르기 위해 → 인간다운 삶에 대한 바람 * 눈 내리는 파도를 탄다. → 한겨울(냉혹한 현실)을 헤쳐나가는 화자의 몸짓 * 어머니 손톱 같은 봄눈 → 생각만 해도 정겨운 봄눈 * 솟구쳤다 사라지는 우리들의 발 → 한겨울을 헤쳐 나온 우리들의 수고는 잊혀질 것이다. * 사라졌다 솟구치는 우리들의 생 → 그러나 그러한 우리의 몸짓은 계속될 것이다. ◆ 제재 : 파도타기 → 폭설이 내리는 한겨울을 헤쳐 나가는 시적 화자의 몸짓 ◆ 주제 : 혹독한 현실의 극복 의지 [시상의 흐름(짜임)] ◆ 1~2행 : 혹독한 현실에 처함. ◆ 3~7행 : 고통의 현실에서 발견한 희망 ◆ 8~10행 : 희망을 기다리며 살아감. ◆ 11~15행 : 현실 극복에 대한 강렬한 의지 ◆ 16~ 끝 :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실의 삶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겨울 눈'이 지닌 혹독한 현실이라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현실 극복의 의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에서 '파도타기'는 폭설이 내리는 한겨울을 헤쳐 나가는 시적 화자의 몸짓을 의미한다. 폭압적인 현실이 밀려와 시적 화자를 가로막더라도 밝은 미래에 대한 믿음과 희망을 가지고 극복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 시에서 말하는 극복된 현실은 바로 '인간에 다다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인간다운 삶과 정의로운 사회를 의미하는 것이다. 현실 상황은 이러한 올바른 사회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어디론가 끌고 가고 있지만, 힘이 약한 자들이나 굳센 의지를 가진 자들 할 것 없이 자신의 모든 것을 내던지고 부조리한 사회와 싸웠음을 기억하며, 시적 화자도 의지를 불사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