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아내와 한잔을

2016.07.10 08:00

김학천 조회 수:293

  얼마 전 한 지인으로부터 근래에 와서 아내와 저녁에 술을 한두 잔씩 하는 것이 일과가 되었다는 얘기를 들었다. 자녀들이 다 성장하여 각자 제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자 마음의 준비 없던 둘만이 덩그러니 남겨진 채 적막감이 홀연히 다가왔단다. 그렇게 오래 살았건만 왠지 익숙지 않은 어색함이라고 했다.

  흔히 부부를 가리켜 비익조 혹은 연리지라 한다. 비익조는 날개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두 마리가 서로 몸을 맞대고 함께 날개 짓을 해야만 나를 수 있고 연리지는 뿌리는 따로 있으나 몸통이 하나여서 갈라놓을 수 없는 나무다. 그러니 부부는 한 몸이 되어 서로 돕고 살아가야 하고 그렇게 하면서 부부화이(夫婦和而), 화합하여 서로 닮아가고 화목해 진다는 말일게다. 

  그렇지만 그게 어디 말처럼 쉬운가? 뛰는 가슴으로 서로 만나 백년가약을 하고 한 몸 한뜻으로 살아가기로 다짐하지만 종종 갈등을 빚으며 때론 가볍게 때론 격하게‘장미의 전쟁’을 치른다. 그럼에도 세월과 함께 그러려니 하면서 애틋한 관계라기 보단 덤덤한 사이로 지내기 일쑤여서 예의나 배려는 잊은 채 그냥 살아가기 쉽다. 그래도 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타성에 젖어서.
  그래서 그랬나? 지인 자신도 퇴근 후엔 TV로 소일하고 아내는 아내대로 집안일 이것저것하면서 얼굴 한번 제대로 마주칠 일 없고 나눌 이야기도 별로 없이 무덤덤한 것을 알게 됐다. 그러다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동네산책을 시작하게 됐다.
  처음엔 그저 아무 말 없이 무심코 걸었는데 점차 단둘이 같이 해야만 하는 시간이 어색해 이런 저런 얘기를 주고받던 것이 자못 진지한 대소사로도 이어졌다.
그런 연후 돌아오면 술을 한두 잔 나눈다. 그 날의 먹거리에 따라 어느 날은 와인으로 어느 날은 소주로 하며 다 못 끝낸 대화를 이어가다보니 전에는 미처 맛보지 못했던 새로운 감정을 느끼게 되었단다.
  술상 앞에 마주 앉으면 뭐가 그리 바빴는지 남편은 그 동안 외유에만 정신없어 따뜻한 말 한마디 자주 못해준 것에 대한 후회를, 그리고 아내는 서운하기만 해서 쌓였던 원망을 서로 미안해하며 하루의 피로를 잊고 새로운 정이 새록새록 쌓여가는 느낌이라 했다. 이제 앞으로 남은 생에 그 누구보다도 서로가 든든한 동행인임을 재확인하면서. 그러면서 왜 이런 것을 예전엔 몰랐는지 모르겠다며 아내와의 이 시간이 그렇게도 기다려진단다. 아니, 자신보다도 오히려 아내가 더 즐기는 것 같은 눈치란다.

  예로부터 주봉지기음(酒逢知己飮)하고 시향회인음(詩向會人吟)이라 했다. 술은 자신을 알아주는 벗과 만나서 마시고, 시는 이를 이해하는 사람들과 만나서 읊조린다고 했던가. 벗과 하는 술이 더 제 맛이 나는 것은 거기엔 언제나 담론이 제격이기 때문이다. 헌데 벗 중의 제일은 아내가 아닐는지. 평생 내조자이면서 반려자이기도 하지만 그것보단 언제나 어려움을 함께 해온 친구이기 때문이리라.
  해서 고려시대 이태백이라 불렸던 백운 이규보 선생도‘어려움을 겪고서야/세상물정 알았어라/문을 닫아걸어 찾아오는 사람 물리치고/술을 빚어 아내와 마주 앉아 마시네!’라고 읊었는가 보다. 오늘도 아내와 한잔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이브여 그대는.. 김학천 2012.05.26 451
86 아리랑 김학천 2012.06.20 425
85 안경 김학천 2012.06.22 591
84 다윗과 조나단 김학천 2012.08.01 747
83 이 땅에 사는 우리 김학천 2012.08.01 371
82 영곤이 이야기 김학천 2012.08.08 549
81 다르다와 틀리다 김학천 2012.08.08 477
80 우아하게 여행하는 법 김학천 2012.08.11 401
79 커피 김학천 2012.09.26 439
78 천사들의 도시 김학천 2012.09.26 429
77 생전의 장례식 김학천 2013.02.22 347
76 삶과 박자 김학천 2013.05.03 321
75 눈동자 김학천 2013.05.25 320
74 버킷리스트 김학천 2013.07.05 270
73 무명과 유명 김학천 2013.07.26 341
72 어느 라디오 앵커맨의 사모곡 김학천 2013.08.30 304
71 Liberty와 Freedom의 차이 김학천 2013.10.04 1337
70 죄수아버지의 여름캠프 김학천 2013.10.28 287
69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자의 죽음 김학천 2013.12.17 419
68 생존을 넘는 삶 김학천 2014.03.11 320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0
전체:
5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