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와 동우회

2016.08.25 15:41

성민희 조회 수:52


                                                        협회와 동우회      

         

                                                                                        
  매주 금요일마다 모이는 그림 동우회가 있다. 그림에 취미와 소 질을 가진 사람들이 의기투합한 모임이다. 처음에는 미술학원을 빌려 그림을 그렸는데, 그곳은 작 업 능률이 오를 오후 2시쯤이면 접어야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방 과 후 학생들이 몰려오기 전에 비워주어야 했기 때문 이었다.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실컷 그림을 그릴 만 한 장소가 없을까 물색을 하던 중 이웃 교회의 교실 하나를 빌리자는 의견이 나왔다. 고맙게도 문의한 교 회 측에서 연락이 왔다. 빌려주기는 하되, 커뮤니티 에도 개방하여 그림에 관심과 취미가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조건이라고 했다. ‘커뮤니티에 개방하다.’ 그 말이 참으로 신선하게 다가왔다. 


우리 협회도 마찬가지다. 정관에 있는 회원자격은, 등단을 한 정회원과 등단을 위해 공부를 하고 있는 준회원으로 나뉘어져 있다. 준회원은 투표권과 의결 권이 없을뿐더러 협회의 이름으로 작품 발표를 못하 게 되어있지만 회원으로서의 의무나 권리, 혜택 등은 정회원과 동등하다. 협회는 등단 작가들의 모임이기 는 하나, 수필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도와 함께 공부 를 하고 그들이 등단이라는 과정을 거쳐 작가가 되기 까지 도움을 주기도 한다.   등단 작가들이 어찌 동호인들하고 함께 활동을 하느 냐 하는 생각을 가진 분들도 있다는 말을 들었다. 그 런 분들은 마음 맞는 등단 작가끼리 모여서 동우회 활동을 하면 된다. 실제로 지금 엘에이 문단에는 삼 삼오오 모여 글공부를 하며 작품을 나누는 모임도 있 고, 더 적극적인 활동으로 동인지를 출간하는 작가들 도 있다. 그들만의 특별하고 깊은 소통과 교류를 통 하여 좋은 글이 많이 발표된다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 한 일이며, 미주문단의 발전을 위하여 꼭 필요한 일 이기도 하다. 그러나 협회는 그 차원이 아니다. 등단 작가들의 활동 본부가 되는 것은 물론이며, 글을 쓰 고자 하는 작가 지망생들을 도와주고 함께 걸어가 주 는 든든한 후원자다. 척박한 환경에서 글쓰기에 목마른 사람에게 우물이 되어주기도 하고 어떻게 글을 써야할 지 오리무중인 사람에게는 길잡이가 되어주 기도 하는 곳이다. 그것은 곧 한인 사회를 위한 협회 의 봉사활동이며 나눔의 실천이다. 새로 탄생한 수필 가에게 우리 협회가 글쓰기의 영원한 친정이자 고향 이 된다는 것은 보너스로 얻는 보람이기도 하다.  


 얼마 전, 박봉진 전 회장님께서 전화를 주셨다. 이끌 고 계시는 <가든수필문학회>에 참석하여 수필특강 을 해 달라는 말씀이셨다. 수필 강의라니? 전혀 자격 은 없지만 모임 장소가 우리 집과 가까운 곳이기도  하고, 또한 선배 회장님을 오랜만에 뵙고도 싶어 흔 쾌히 응했다.   아담한 건물에는 교실마다 문이 활짝 열려, 서예, 컴 퓨터 등 나이를 상관하지 않는 학생들로 북적였다. 배움의 열기가 햇빛 환한 파킹랏에도 꽉 찬 느낌이었 다. 수필교실에 들어서니 그곳 역시 사춘기 소년 소 녀들의 눈망울을 가진 분들이 앉아 계셨다. 처음 대 하는 얼굴들이었지만 소박한 표정과 글에 대한 때 묻 지 않은 열정에 나도 모르게 마음이 열렸다. 한 시간 여의 대화가 오고가는 가운데 정도 듬뿍 들어버린 느 낌이었다. 우리 집으로 한번 초대하겠다는 말까지 해 버렸다.


어떤 분이 물었다. “수필을 쓰는 목적이 무엇인가요?” 다른 회원이 말했다. “쓰지 않고는 배길 수 없어서요. 목적 같은 건 없어 요.” 묵직한 감동이 가슴에 얹혔다. ‘그래,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사람들. 우리 협회는 이들을 위해 뭔가를 해야 해. 종이 위에 꼭꼭 눌러쓰 여진, 아니 종이에서 툭툭 튀어나와 사람들의 마음밭 을 철벅이며 돌아다닐 그런 좋은 글이 쏟아지도록. 엉덩이가 아프도록 글을 써 댈 ‘글 노동자’들을 위해 서... 그래, 협회는 뭔가를 해야해.’ 나는 속으로 중얼 거렸다. <퓨전수필 2015 여름호  협회장 에세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사랑하는 사람의 무게 [10] 성민희 2018.01.16 242
29 [미주통신]거꾸로 가는 미국의 이민정책 [2] janelyu 2018.03.29 8295
28 아직도 뒤척이는 젊음과 사랑 [2] 성민희 2018.04.25 584
27 쿠바의 혁명세대와 신세대 janelyu 2018.05.03 8468
26 코리아타운 수난 시대 [1] janelyu 2018.06.04 94
25 [메타수필] 노세쿠, 라세쿠 드디어는 헤이마 성민희 2018.07.05 28
24 편견의 깃발을 내리고 성민희 2018.07.05 15
23 은연하게 지키는 내 안의 성城 성민희 2018.07.05 22
22 [이 아침에] 낙동강이 싣고 간 것들 성민희 2018.07.09 39
21 [대구일보] 우리의 ‘음식문화’ 이제는 돌아볼 때 성민희 2018.07.26 9
20 [미주통신]함부로 인연을 맺지 마라 성민희 2018.08.23 31
19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의 변이(變移) 성민희 2018.11.23 72
18 부모들이여, 꿈을 깨자 성민희 2018.11.23 71
17 멕시코 깜뽀 의료선교를 다녀와서 성민희 2018.11.23 73
16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인 후보다 성민희 2018.11.23 62
15 추수감사절 어머니의 축복 기도 성민희 2018.11.23 84
14 재난 속 사람 사는 이야기 성민희 2018.12.26 10
13 [중앙일보] 나를 만든 한 권의 책 - 내 영혼의 완충지대 '쿠션' file 성민희 2018.12.26 21
12 크리스마스 선물 '시바스 리걸' 성민희 2018.12.27 11
11 [이 아침에] '쪼이나 쪼이나' 영옥이 언니 성민희 2019.01.22 58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
어제:
0
전체:
497,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