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숙의 문학서재




오늘:
7
어제:
47
전체:
458,125


수필
2016.11.10 07:51

소나기 

조회 수 11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나기  /   홍인숙(Grace)
    

  

오랫동안 고국을 떠나 살다보니 새록새록 그 옛날 고국의 정서가 그리워진다. 그 중에도 한여름을 시원하게 적시던 소나기의 정을 잊을 수가 없다. 그 시원함, 그 소리, 30년 가까이 못보는 풍경이지만 아직도 내게 설렘으로 남아있는 것은 내가 사는 곳엔 소나기를 보기가 쉽지 않고, 간혹 소나기를 맞는다해도 고국에서처럼 끈끈한 정서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맑았던 하늘에서 갑자기 쏟아지는 거센 빗줄기.
세차게 창문을 두드리며 내리는 그 신선한 울림.
나뭇잎을 흔들며 춤추듯 떨어지는 경쾌한 빗방울들의 모습.
차창을 부딪치며 긴 꼬리로 흘러내리는 매혹의 여운.
아스팔트를 튀어 오르며 쏟아지는 도발적인 빗방울들의 몸짓.
어느 새 흥건히 고인 빗물을 세차게 튀기며 달리는 자동차의 물결.  

갑자기 쏟아지는 비를 피해 부산히 움직이는 사람들.
부지런히 빨랫줄에 빨래를 걷고, 장독대를 향하여 발걸음을 서두시는 어머니.
가던 길을 멈추고, 남의 집 처마 밑에서 소나기가 멈추기를 기다리는 사람들.
신문지로 머리를 덮고 황급히 뛰어가는 사람.
속살이 훤히 드러나게 젖어 버린 블라우스로 난감해 하는 여학생.
파란 비닐 우산을 겨드랑이에 끼고 빗줄기 사이를 뛰어 다니는 우산 팔이 소년들..

그런 날, 사람들은 커피 냄새가 짙게 배인 찻집으로 옹기종기 모여들고 뮤직 박스에서 흐르는 '노오~란 레인코트에~..' 허스키가 뽀얀 담배 연기 사이로 넘실거린다. 사람들은 어느 새 잠시의 혼란에서 벗어나, 익숙한 모습으로 대지를 적시는 시원한 빗줄기를 바라보며 저마다 짧은 휴식에 들어간다.
  
잠시 후, 언제 다가왔는지 눈부신 태양이 슬그머니 먹구름을 밀어내면 거짓말처럼 금세 소나기가 멈추고, 사람들은 재 빨리 일상 속으로 달려간다.

젖었던 옷을 툭툭 털고 황급히 제 갈 길로 나서는 사람들.
스타킹에 튀긴 빗물자국을 고운 손수건으로 닦아 내곤 경쾌한 하이힐 소리를 남기며 사라지는 여인들.
처마 밑의 짧은 만남을 눈인사로 마치고 헤어지는 사람들...

하늘엔 드높은 무지개가 떠오르고, 아스팔트는 어느 새 말끔한 얼굴로 누워있다. 한순간 거짓말 같은 풍경이 스쳐지나갔다. 이 모두가 1970년대 고국에서 보았던 아직도 내게 그리움으로 남아있는 소나기가 연출한 풍경이다.
  
우리의 삶에도 가끔은 소나기를 바라보는 휴식이 필요할 것 같다. 멈출 줄 모르고 질주하는 일상에서 우리의 정신과 육체는 황폐해지고 가중되는 스트레스는 돌이킬 수 없는 허무와 체념을 싣고 온다. 건전한 사고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가끔은 틀에 박힌 일상을 접고, 한여름의 열기를 식히는 소나기를 바라보는 마음으로 쉬었다 가야겠다고 생각한다.
잠시 빗줄기를 피한 휴식 후, 힘찬 모습으로 다시 희망을 갖고 도약하는 것이다. 소나기 뒤의 하늘은 더욱 푸르고, 눈부신 태양 아래 아름다운 무지개가 떠오르는 것처럼.

    (1999년 한국일보 / 여성의 창 )



  

?
  • ?
    Chuck 2016.11.23 06:03
                                                       소 나 기 +

     

    나뭇잎에 여울지며

    더운 바람 지나더니

    검은 빗줄기 먼 산봉을 밟아

    주름 주름 건너 온다

    갈대 끝 청개구리는

    까치 울 듯 하여라

     

    作者

     

    金正喜(1786~1856, 정조 10~철종 7)

    문신, 실학자, 서화가, 고증학자, 금석학자

    자 元春(원춘), 호 阮堂(완당), 秋史(추사)등 300여개를 사용했다고 전해 온다.

    본관 경주, 대사정, 이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實事求是(실사구시)를 주장한 실학파. 추사체를 대성한 명필, 특히 예서에 특출했다.

    그림은 대나무와 난을 즐겨 그렸고 산수화에도 일가를 이뤘다. 제주 유배지에서 그린

    歲寒圖(세한도)의 작자이기도 하다.

    저서에는 阮堂集(완당집)등 많다.


    "https://www.youtube.com/embed/5xlGm6dMIXA"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홍인숙(Grace)의 인사 ★ 1 그레이스 2004.08.20 1601
229 시인 세계 시집 <사랑이라 부르는 고운 이름 하나> 시평 / 나그네의 향수, 존재의 소외 - 박이도 홍인숙 2004.07.30 1108
228 시인 세계 홍인숙씨의 시집 '사랑이라 부르는 고운 이름 하나' 를 읽으며 / 강현진 홍인숙 2004.07.30 1172
227 시인 세계 홍인숙 시의 시인적 갈증(渴症)과 파장(波長)에 대하여 / 이양우(鯉洋雨) 홍인숙(그레이스) 2004.07.30 1085
226 수필 일본인의 용기 홍인숙 2004.07.31 899
225 수필 슬픈 첨단시대 홍인숙 2004.07.31 903
224 꽃을 피우는 사람들 홍인숙 2004.07.31 1011
223 안개 속의 바다 홍인숙 2004.08.02 900
222 내가 지나온 白色 공간 홍인숙 2004.08.02 921
221 가곡시 서울, 그 가고픈 곳 홍인숙(그레이스) 2004.08.04 1288
220 가곡시 세월 홍인숙(그레이스) 2004.08.04 1196
219 가곡시 꽃길 1 그레이스 2004.08.04 1379
218 마음이 적막한 날 홍인숙(Grace) 2004.08.16 909
217 수필 마르지 않는 낙엽 홍인숙(Grace) 2004.08.17 913
216 단상 마음 스침 : 마음은 푸른 창공을 날고/ 윤석언 홍인숙(Grace) 2004.08.17 1232
215 수필 어거스틴의 참회록 홍인숙(Grace) 2004.08.17 1284
214 ★ 홍인숙(Grace)의 인사 ★ 1 그레이스 2004.08.20 1601
213 시와 에세이 아버지를 위한 기도 1 홍인숙(Grace) 2004.08.27 1176
212 시인 세계 시집 ' 내 안의 바다 ' 서문 / 황패강 홍인숙(그레이스) 2004.09.09 1073
211 시인 세계 홍인숙 시집 '내 안의 바다'를 읽으며 / 강현진 홍인숙(Grace) 2004.09.09 1197
210 수필 아버지와 낚시여행 홍인숙(Grace) 2004.09.15 10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