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정해 시편 13편

2016.12.04 15:39

최선호 조회 수:198

 

 

                                                       시편 13편

 


 

비탄에서 찬양으로 바뀐 시이다. 자신이 처한 위기에서 원수들에게 고통을 받고 있는 다윗은 어쩔 수 없어 탄식을 하지만, 결국 그의 믿음을 통하여 주님의 구원을 확신하고 여호와를 찬양함에 이르게 된다.
 
주제: 나를 구원하시는 여호와.
소재: 여호와, 나, 대적.
배경: 다윗이 원수들에게 고통을 받을 때.
수사: 의인, 미화, 인용, 동의대구, 반복.
경향: 탄원(개인적), 구도, 기도, 찬양.
구성: 3 단. 기(1∼2절), 서(3∼4절), 결(5∼6절).
작자: 다윗(시, 영장으로 한 노래).
핵심어: 여호와, 주의 구원.

 

기(起): 탄식으로 애원함

 

1 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나를 영영히 잊으시나이까
  주의 얼굴을 나에게서 언제까지 숨기시겠나이까
2 내가 나의 영혼에 경영하고
  종일토록 마음에 근심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오며
  내 원수가 나를 쳐서 자긍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리이까

 

1∼2절: 1절은 하나님을 애타게 부르는 동시에 불평과 탄원이다. 네 번씩이나 "어느 때까지니이까"를 반복한다. 이것은 자신의 탄식을 강조함이다. "주의 얼굴"은 하나님을 의인화(personification)한 표현. 시각적으로 친밀감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얼굴을 숨기시는 분은 주님이 아니라, 바로 시인 자신의 안타까운 심리상태이다. 내 근심과 원수의 자긍이 가득한데서 오는 탄원이다.

 

서(敍): 여호와의 보호를 원함

 

3 여호와 내 하나님이여
  나를 생각하사
  응답하시고 나의 눈을 밝히소서
  두렵건대 내가 사망의 잠을 잘까 하오며
4 두렵건대 나의 원수가 이르기를
  내가 저를 이기었다 할까 하오며
  내가 요동될 때에 나의 대적들이
  기뻐할까 하나이다

 

3절: 결국 시인은 "나를 생각"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그것은 내 기도의 응답이기도 하다. "사망의 잠"은 미화법(euphuism)의 표현으로 죽음을 의미한다.
4절: 원수(대적)의 횡포에 대한 시인의 절규. "내가 이기었다"는 원수의 입에서 나올 말을 인용하고 있다(원수의 자만을 강조).

 

결(結): 주의 구원과 기쁨을 찬송함

 

5 나는 오직 주의 인자하심을 의뢰하였사오니
  내 마음은 주의 구원을 기뻐하리이다
6 내가 여호와를 찬송하리니
  이는 나를 후대하심이로다

 

5∼6절: 주제절로 핵심어는 "주의 구원"으로 봄이 좋다. 결국 악몽 속의 탄식에서 구원의 확신을 갖고 여호와를 찬송하는 시인(다윗)의 믿음은 만인에게 본이 된다. 5절은 하나님에 대한 신뢰인 동시에 6절에서는 찬양에 대한 맹세를 하고 있다.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 일러두기 최선호 2016.12.04 41
154 시편 편별 주제 최선호 2016.12.04 285
153 여는 말 최선호 2016.12.04 336
152 닫는 말 최선호 2016.12.04 60
151 참고문헌 최선호 2016.12.04 646
150 시편 1편 최선호 2016.12.04 349
149 시편 2편 최선호 2016.12.04 286
148 시편 3편 최선호 2016.12.04 217
147 시편 4편 최선호 2016.12.04 170
146 시편 5편 최선호 2016.12.04 215
145 시편 6편 최선호 2016.12.04 437
144 시편 7편 최선호 2016.12.04 260
143 시편 8편 최선호 2016.12.04 325
142 시편 9편 최선호 2016.12.04 7124
141 시편 10편 최선호 2016.12.04 352
140 시편 11편 최선호 2016.12.04 225
139 시편 12편 최선호 2016.12.04 98
» 시편 13편 최선호 2016.12.04 198
137 시편 14편 최선호 2016.12.04 36
136 시편 15편 최선호 2016.12.04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