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은

2016.12.17 08:50

성민희 조회 수:17

11월은 / 성민희

 

 

11월이다. 기교도 없이 뻣뻣이 선 막대기 두 개 11.

2 나 3, 5, 6 8, 9, 0 는 모두 곡선의 운율이 느껴져 부드럽고 4와 7은 비록 곡선은 없지만 완강한 꺾임이 있어서 멋디다. 그런데 1이란 숫자는 참 삭막하다. 사랑스런 곡선도 없고 날렵한 꺾임도 없다. 그저 밋밋한 작대기 하나다. 달력이 한 장씩 떨어져 나가고 마지막 남은 두 장. 삭막한 작대기가 둘이나 서 있다. 11 사이로 찬바람이 숭숭 공기를 휘젓고 나오는 것 같다.

   

11월은 일 년의 잔열(殘熱)을 소중히 보듬는 시간이다. 마치 덜 식은 몸의 열기를 누런 놋그릇에 내어준, 밥공기에 남은 식은 밥 한 덩이 같은 달. 미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여린 사람들이 꾸역꾸역 밀려 온 반쯤은 비어있는 삼등 열차 마지막 칸 같은, 양철지붕 처마 끝에 매달린 빗방울 같은 그런 달이다.

  

11월은 이별하기 좋은 달이다. 누군가를 떠나보낸 빈 가슴을 아무도 눈치 채지 못한다. 속된 유행가 가사에 흐느껴도 아득히 날아간 하늘만 바라보고 있어도 계절 탓이라고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낙엽이 스러진 보도 위를 정처 없이 헤매면 뺨 위로 흐르는 눈물을 닦아주는 바람도 있다. 거리의 나무들은 몸에 지닌 것을 다 내어주고 강제로 무장해제 당한 포로처럼 서 있는데. 바바리코트 깊은 포켓에 담긴 손을 따뜻하게 데워주던 그 손의 감촉쯤이야 바람에 날려간들 뭐가 애석하랴.

  

가을이라고 하기엔 너무 늦었고 겨울이라고 하기에는 이른 계절. 하루로 치면 해가 막 진 어스름한 시간이다. 세월의 모든 물체가 어둠 속으로 사라져가고 하루의 기억이 문을 닫고 가라앉는 시간. 11월은 이런 해 저무는 녘의 잿빛 느낌이라서 좋다. 나는 이 쓸쓸함이 좋다.

 

<사람이 고향이다 201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사랑하는 사람의 무게 [10] 성민희 2018.01.16 242
29 [미주통신]거꾸로 가는 미국의 이민정책 [2] janelyu 2018.03.29 8295
28 아직도 뒤척이는 젊음과 사랑 [2] 성민희 2018.04.25 584
27 쿠바의 혁명세대와 신세대 janelyu 2018.05.03 8468
26 코리아타운 수난 시대 [1] janelyu 2018.06.04 94
25 [메타수필] 노세쿠, 라세쿠 드디어는 헤이마 성민희 2018.07.05 28
24 편견의 깃발을 내리고 성민희 2018.07.05 15
23 은연하게 지키는 내 안의 성城 성민희 2018.07.05 22
22 [이 아침에] 낙동강이 싣고 간 것들 성민희 2018.07.09 39
21 [대구일보] 우리의 ‘음식문화’ 이제는 돌아볼 때 성민희 2018.07.26 9
20 [미주통신]함부로 인연을 맺지 마라 성민희 2018.08.23 31
19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의 변이(變移) 성민희 2018.11.23 72
18 부모들이여, 꿈을 깨자 성민희 2018.11.23 71
17 멕시코 깜뽀 의료선교를 다녀와서 성민희 2018.11.23 73
16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인 후보다 성민희 2018.11.23 62
15 추수감사절 어머니의 축복 기도 성민희 2018.11.23 84
14 재난 속 사람 사는 이야기 성민희 2018.12.26 10
13 [중앙일보] 나를 만든 한 권의 책 - 내 영혼의 완충지대 '쿠션' file 성민희 2018.12.26 21
12 크리스마스 선물 '시바스 리걸' 성민희 2018.12.27 11
11 [이 아침에] '쪼이나 쪼이나' 영옥이 언니 성민희 2019.01.22 58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1
전체:
497,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