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주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시 부문 가작>
/ 김태수



담금질 벼리고 나와

무서울 게 없어도

다칠까봐 몸을 낮춰

재어 보고 기다린다

언제나

갈림길 앞에선

망설이며 살피고


무르고 무뎌서는

지난 길 묻힐까봐

퍼렇게 얻어맞아

날카롭게 일어서서

칼자루 목을 조이며

허공부터 가른다


멋지게 이루려면

한 번에 끝내야 해

상처가 아물리게

온전히 다시 나게

단면을 들여다보는

날선 시선 품고 산다



------------------------------------

김태수씨의 은 시조 작품인데 언어를 매만지는 솜씨가 그의 작품 제목인 만큼이나 매서웠다.
<나태주 시인 심사평 중에서>

김 태수 님의 은 오랜만에 대하는 시조여서 반가웠다. 정형시의 한계를 뛰어넘어 이 탄생하는 과정과 의 역할을 잘 아우른 점이 돋보였다.
<한혜영 시인 심사평 중에서>


---------------------


수상 소감 김태수

입상되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시조가 시 공모전에서 입상작으로 뽑힌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그동안 낙방을 통해 익히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도 시조는 시가 될 수 있어도 시는 시조가 될 수 없다고 믿어, 시조를 좀 알아봐 달라고, 시 공모전에 시조 포함이라는 한 구절이라도 넣어 달라고, 공모전 때가 되면 시조 응모작을 보내곤 했습니다.


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은 이러한 저에게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시조 응모작이 자유시와 겨뤄 입상작으로 뽑혔다는 것이고, 좋은 시조 작품을 써서 미주 지역에 널리 알려야만 한다는 것을 다짐해보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유구한 역사를 같이해 온 우리 고유의 정형시인 시조는 한국의 혼이요 맥박이라고 합니다. 미주 문단에도 시조의 바람이 일어 시조의 꽃이 활짝 피어 문향이 흩날렸으면 좋겠습니다.


그동안 시 공모전에서 입상이 안 된 것은 시조여서가 아니라 작품 수준이 함량 미달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자유시와 견주어 손색없는 좋은 시조 작품을 써야만 한다고 다시한번 다짐해 봅니다.


나태주, 한혜영 심사위원님이 제 시조 작품을 시 공모전의 입상작으로 기꺼이 뽑아주신 것은 시 못지않은 좋은 시조 작품을 써 보라는 격려의 뜻이 담겨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신 미주문협 시조분과 안규복 위원장님과 늘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조옥동 미주시인협회 회장님께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1. 김태수 약력

    Date2016.11.11 Category소설 By동아줄 김태수 Views609
    read more
  2. 종이 커피 컵

    Date2017.09.19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25
    Read More
  3. 저녁놀은[미당문학 17년 상반기, 미주문학 17년 여름호]

    Date2017.02.11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29
    Read More
  4. 별빛 간이역

    Date2015.03.13 Category행시 By동아줄 Views129
    Read More
  5. 칼[미주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시 부문 가작 수상작]

    Date2017.08.17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30
    Read More
  6. 알래스카의 동지

    Date2017.12.17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33
    Read More
  7. 달빛 그림자

    Date2014.09.11 Category행시 By동아줄 Views137
    Read More
  8. 추석 명절

    Date2014.09.15 Category시조 행시 By동아줄 Views137
    Read More
  9. 신춘문예[17년 문학의 봄 봄호]

    Date2017.01.25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48
    Read More
  10. 잔설[월간 샘터 2015년 4월호]

    Date2015.03.16 Category시조 By동아줄 Views159
    Read More
  11. 당신의 뜻이라면

    Date2017.11.15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70
    Read More
  12. 겸손[17년 문학의 봄 봄호, 2016년 향촌문학]

    Date2017.01.03 Category시조 행시 By동아줄 김태수 Views171
    Read More
  13. 삶의 육하원칙[문학의 봄 2016년 봄호]

    Date2017.01.07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188
    Read More
  14. 엄마의 마음

    Date2017.12.11 Category수필 By동아줄 김태수 Views188
    Read More
  15. 예천 사과 테마 공원

    Date2016.01.21 Category행시 By동아줄 김태수 Views194
    Read More
  16. 얼터레이션, 삶을 마름질하다[미당문학 17년 상반기, 미주문학 17년 봄호]

    Date2017.02.01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205
    Read More
  17. 콩나물[제17회 재외동포문학상 수상작][맑은누리 2016 신년호0

    Date2015.08.28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207
    Read More
  18. 알콩달콩

    Date2018.02.05 Category시조 행시 By동아줄 김태수 Views211
    Read More
  19. 겨울 강[제18회 전국시조공모전 차상 작][맑은누리 2016 신년호]

    Date2015.11.10 Category시조 By동아줄 김태수 Views220
    Read More
  20. 탁발

    Date2014.01.03 Category행시 By동아줄 김태수 Views235
    Read More
  21. 낙엽/가사로 쓴 낙엽

    Date2015.05.22 Category가사 By동아줄 김태수 Views2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1
어제:
19
전체:
1,168,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