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04 03:23
삶과 죽음 사이에는 경계가 없다
라만섭
기록에 의하면 고대 희랍인들은 우주의 모습을 둥글다고 여겨 왔다고 한다. 기원전 고대 희랍 철학자들은 지구의 모양도 둥글다고 생각 했다고 한다. 끝없이 광활한 우주의 모양을 인간의 육안으로 확인 할 수는 없는 일이겠으나, 적어도 지구의 모습이 둥근 원형인 것은, 우주 비행사들이 우주 공간에서 촬영한 지구의 사진이 말해 준다.
지구가 완벽한 원형이 아니고 타원형인 이유는, 자전에서 오는 원심력의 영향 이라고 한다. 행성의 공전 궤도도 역시 타원형 이라고 한다. 둥근 원에는 끝과 시작이 따로 없다. 시작은 끝으로, 끝은 시작으로 계속 이어진다. 둘 사이를 갈라 놓는 경계선이 없다.
삶과 죽음도 이와 같은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지 않을 까. 삶은 죽음의 시작이오, 죽음은 삶의 끝이면서 동시에 또 다른 시작을 알려 주는 신호 이다. 생로병사의 연속 이다. 모든 현상은 태어나고 성장 과정을 거쳐 죽음에 이르기 마련이다. 그리고 죽음은 다시 새로운 형태의 삶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쇠퇴(Decay)는 모든 구성물의 속성 이다. 존재 하는 모든 것은 흐름(Flux)과 생성의 연속 이다. 순간순간을 거치면서 끊임없이 변 한다. 매 순간 삶과 죽음의 과정을 반복 한다. 일생 동안 우리 몸 안에서는 세포 분열(Cell Division)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지 않는가. 우리의 몸에는 약 60조에 달하는 세포가 있는데, 1초에 약50만개가 죽고 태어나는 재생 과정을 반복해 가고 있다고 한다. 낡은 세포는 죽고 새로운 세포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한 사람이 일생을 통해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언제나 똑 같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가 없는 일이다. 비 영구성(Impermanence)은 현실에 살아 있는 개념 이라고 하겠다.
죽음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자연의 일부로 태어났다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순환 과정의 일부 이다. 사후의 천당, 지옥을 그대로 믿기에는 설득력이 약하다. 윤회, 전생, 내세 등등의 불교적 개념은 신비스럽기만 하다. 붉게 타오르는 황혼의 길에 서 있는 나 자신을 보면서, 죽음은 완전한 종말이 아니라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여정의 시작이라는 사실을 인정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음 단계에서는 현세에서 겪은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밑거름 삼아, 보다 나은 존재가 되기를 희망 한다. 이렇게 생각 할 때 죽음은 결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숭고하고 엄숙한 현상(순환 과정)으로 인식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 날수 없는 현실 세계에서는, 우리의 삶 또한 제한된 시간과 공간의 테두리 안에서 맴돈다. 인과응보에서 비롯되는 온갖 고통은, 해탈(Nirvana)을 통해서 구제될 수 있는 문제라고 불교에서는 가르친다. 그렇게 되면 죽음이 없는 영원(Eternity)의 길이 열리는 것인가. 이에 대한 영원한 해답은 어디서 찾을 것 인가.
분명한 사실은 우주 안의 만물은, 간단없이 변한다는 것이다.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강물처럼 흐르는 삶의 순간순간이 이어 지면서, 하나의 지속적인 흐름을 이루어 간다. 대지에 뿌려 진 ‘씨’가, 생명을 낳고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며 곧 낙엽이 되어 땅으로 떨어져 흙으로 돌아가서, 또 다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 순환의 과정을 거듭하는 자연의 섭리 안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실감 하게 된다. 우리의 삶과 죽음도 이 같은 과정을 반복할 뿐이다. 삶과 죽음 사이에는 잠시 휴식이 있을 뿐 경계선은 없다.
2016년 5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5 | 구우한담 | 라만섭 | 2018.03.25 | 16 |
34 | '그때는 그랬지'와 '지금도 그래' | 라만섭 | 2018.02.27 | 30 |
33 | 습관은 말한다 | 라만섭 | 2018.02.27 | 23 |
32 | 참된 진보는 위대하다 | 라만섭 | 2018.02.27 | 18 |
31 | 잘난들 무엇하며 못나들 어떠하리 | 라만섭 | 2018.02.25 | 33 |
30 | 모르고 왔다가 모르고 간다 [1] | 라만섭 | 2018.02.22 | 65 |
» | 삶과 죽음사이에는 경계가 없다 [1] | 라만섭 | 2018.02.04 | 78 |
28 | 선물 목록 [1] | 라만섭 | 2018.02.04 | 113 |
27 | 어느 백수의 독백 | 라만섭 | 2018.02.04 | 112 |
26 | 외모 지상주의 | 라만섭 | 2018.02.04 | 7387 |
25 | 한에는 출구가 필요하다 | 라만섭 | 2018.01.23 | 72 |
24 | 단순한 것이 좋다 [1] | 라만섭 | 2018.01.22 | 95 |
23 | 세금과 행복 | 라만섭 | 2018.01.22 | 69 |
22 | 당근도 아니고 채찍도 아니다 [1] | 라만섭 | 2018.01.22 | 84 |
21 | 감정도 진화할까 | 라만섭 | 2018.01.22 | 99 |
20 | 108의 신비 [1] | 라만섭 | 2018.01.16 | 153 |
19 | 조카 사랑 [1] | 라만섭 | 2018.01.05 | 139 |
18 | 백조의 노래 | 라만섭 | 2018.01.05 | 300 |
17 | 계약 효도 | 라만섭 | 2018.01.05 | 91 |
16 | 착각 속에서 | 라마섭 | 2018.01.05 | 85 |
Voice of Korea !
김동길 교수
이제 세상이 바뀌었다.
아들이나 손자들은 데모꾼으로
키워야 대성하는 세상이 되었다.
죽도록 공부해 봤자 취직도 안 되고
항상 피지배적(被支配的) 위치를 탈피할 수 없다.
평생을 데모꾼으로 살아온 백남기를 보라!
그 자식들은 미국으로 유학 보내고 외국여행을
옆집 다니듯 가볍게 살지 않았든가?
김일성을 고무 찬양하고 미군철수를
외치며 화염병 던지고 보도블록 깨서
투석전하면 대통령 비서실장되고....
국회의원 자리쯤은 따 놓은 당상이다.
삐딱하게 정부에 비협조적이며
김정은 정책 및 전략 전술에 협조적이면
어느 날 갑자기 영웅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갑자기 소설 “꺼피탄 리”가 떠오르네,
양손에 태극기와 인공기를 들고
어느 걸 흔들어야 될 건지를 잘 판단만 하면 된다.
이렇게 쉬운 인생을 우리는 왜 그렇게 어렵게 살아 왔던가?
나라를 지키다 죽으면 개죽음이다.
데모를 하다 죽으면 열사가 되고....
그 후대는 돈 걱정 직장 걱정 없이
부귀와 영화를 누릴 수 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살아온 사람은
무조건 매국노 독재자라 외치고
없는 사실도 만들어 음해와
모략으로 일관하면 성공한다.
이제 나는 김일성 배지를 만들고 인공기를 만들어
판매할 사업을 하면 대박이 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순간적으로 떠오른다.
이제 애국가 대신 김일성을 찬양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더 사랑해야지.
흘러간 세월 60년 다가올 세월은 불만과 협잡으로
살아간다면 김대중의 사진 옆에 내사진도 걸리게 될까?
아~ 답답한 세상이여!
진실이 시궁창에 목욕을 하고
거짓이 빛을 말하는 삼천리금수강산!
결코, 빛이 어둠을 내몰지 못했도다.
억장이 무너집니다.
김동길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