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이 오면 (심훈)

2019.04.04 11:28

박영숙영 조회 수:291

그날이 오면  (심훈)

 

 그 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면은

삼각산(三角山)이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나는 밤하늘에 나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鍾路)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그 날이 와서,

오오, 그 날이 와서

육조(六曹)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을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이 시는 장편 소설 상록수(常綠樹)의 작가 심훈이 쓴 일제강점기의 희귀한 저항시다.

이 시를 '세계 저항시의 본보기'라고 평가할 정도로. 전체의 시상은  그 날을 염원하는 격정과 환희의 정서를 형상화해 보이고 있는데, '그 날'이란 온갖 민족적 수난과 저항 끝에 마침내 죽음을 넘어 획득하게 되는 독립의 날을 뜻한다.

 

작가 : 심훈(沈熏/1901-1936)- 본명은 대섭(大燮).소설가, 시인, 영화인.서울 출생.

경성고보 재학시 3.1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4개월간 복역한 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원강대학에서 3년간 수학하고 귀국하였다


1923년부터 동아일보, 조선일보 기자로 있으면서 시와 소설을 발표하여 문단에 등단하였다. 1926년 영화 <먼 동이 틀 때>를 원작, 각색, 감독하였으며, 1935년 동아일보 창간기념 현상공모 소설에 <상록수>가 당선되었고그 상금으로 충남 당진에 '상록학원'을 설립하였다.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자 신문 호외 뒷면에 <오오, 조선의 남아여!>를 썼고

스 외 <나의 강산이여>, <봄의 서곡>, <돌아가지이다>, <필경> 등이 있고, 대표소설에  <상록수>, <영원의 미소>, <직녀성>, , <황공의 최후> 등이 있다

 

- 참고 -

위의 시는 낭만적이고 서정적이며, 참여적이고 저항적인 색채를 풍미하고 있다.

'그 날'은 조국 광복(光復)의 날을 뜻한다.

 

까마귀 종을 울림으로써 은혜를 갚은 까마귀(또는 까치)의 전설을 생각하며, 암울한 시대를 살아가는 시적 화자의 비장하고 고독하고 자기 희생적 모습을 암시하고 있다.

 

인경(人磬)-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밤마다 치던 큰 쇠 종,   

 

육조(六曹) --- 이조, 예조, 호조, 병조, 형조, 공조를 의미하며 지금의 세종로에 있었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2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84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3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71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33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9
37 "不變(불변)" /학명선사 박영숙영 2014.02.06 575
36 고사(古寺)" /조지훈 박영숙영 2014.05.08 574
35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박영숙영 2013.02.22 574
34 견우의 오래 /서정주 박영숙영 2012.03.12 573
33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박영숙영 2013.02.22 558
32 홍성란 /들길 따라서 박영숙영 2014.05.07 526
31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513
30 靜坐然後知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 박영숙영 2014.02.06 446
29 바다를 가르며(泛海 범해) _ 최치원 박영숙영 2015.05.12 441
28 낙서재(樂書齋) _ 고산 윤선도 박영숙영 2015.05.12 438
27 시조대상 수상작 모음/ 홍성란, 정수자 박영숙영 2014.05.07 438
26 퇴계가 두향에게 보냈다고 전해진 시 박영숙영 2015.05.12 436
25 冬夜(동야) - 金三宜堂(김삼의당) 박영숙영 2014.02.06 430
24 [전남 해남 '땅끝']/김지하 박영숙영 2012.01.21 426
23 잊을 수 없는 일곱 명의 미국인들 박영숙영 2011.07.17 425
22 이황의 풍물시/ 문경새재/ 한벽루/ 정약용/신경림 목계장터 박영숙영 2018.01.27 421
21 不疎亦不親(불소역불친) 박영숙영 2014.02.06 402
20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박영숙영 2013.02.22 390
19 짚신신고 이렇게도 못살았는데 박영숙영 2015.08.04 379
18 꽃등/ 류시화 박영숙영 2015.06.14 378
17 족보의 의의 박영숙영 2011.11.08 376
16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360
15 옛날 옛적의 귀한 이미지 자료 박영숙영 2016.04.09 329
14 따뜻한 슬픔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325
» 그날이 오면 (심훈) 박영숙영 2019.04.04 291
12 遣憂(견우) - 丁若鏞(정약용) 박영숙영 2014.02.06 289
11 > 흰구름 걷히면 청산인 것을 < 박영숙영 2014.09.07 267
10 봄이 오면 산에 들에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265
9 도연명 陶淵明, 중국 晉나라 시인 박영숙영 2014.06.18 250
8 思齋 / <眞樂在閑居 金正國(1485~1541)> 박영숙영 2014.02.06 250
7 춘산에 / 우탁 박영숙영 2014.06.18 249
6 홍성란 /바람불어 그리운 날 박영숙영 2014.05.07 241
5 집착하지 않는 삶 박영숙영 2014.09.07 239
4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박영숙영 2014.06.16 218
3 俊禪子(준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박영숙영 2015.05.12 203
2 <'感興' 중 - 白居易> 박영숙영 2015.05.12 151
1 대상과인식과정 박영숙영 2019.06.06 69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49
어제:
65
전체:
889,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