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

2019.12.30 11:11

두루미 조회 수:25

[꿈과 희망(希望)]


99B3014B5E06C15331DE2B


꿈과 희망(希望)을 잃는 순간 사람은 어떻게 될까요? ‘사람은 일정(一定)한 햇수를 살았다고 해서 늙는 것이 아니라,


이상(理想)을 버리기 때문에 늙는다.’고합니다. 해가 가면 얼굴에 주름이 생기지만 이상을 버리면 영혼(靈魂)이 늙기 때문입니다.


‘더글러스 맥아더’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걱정과 의심(疑心), 두려움과 절망(絶望)은 우리가 죽음을 맞기 전에


우리에게서 천천히  기운(氣運)을 빼앗아가며  먼지로 만들어버리는  작업(作業)이다.”


우리가 희망을 품지 않는 순간 뇌(腦)는 도전(挑戰) 대신 현상유지(現狀維持)를 선택(選擇)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포기(抛棄)하는 순간, 뇌는 늙고 무기력(無氣力)해집니다.


반면에 꿈과 희망을 품은 이들은 은퇴(隱退) 후에도 자신이 원하는 일을 찾아서 열정적(熱情的)으로 활동(活動)하며 활기(活氣)차게 삽니다.


인류 역사상 최고의 발명품(發明品)은 무엇일까요?


오래전에 한 권위 있는 신문사(新聞社)에서 독자(讀者)들에게 과연 ‘인류 최고의발명이 무엇인가?’라는 공고(公告)를 내었습니다.


물론 상당한 상금(賞金)과 부상(副賞)이 그것을 맞춘사람에게 제공(提供)되기로 약속(約束)되어 있었지요.


수많은 응모자(應募者)의 엽서(葉書)와 편지(便紙)가 신문사에 도착하였습니다. 신문사에서는 가장 권위 있는 사람들로

 

심사위원단(審査委員團)을 구성(構成)하였습니다. 그리고  토론(討論)을 거쳐 그것을 결정(決定)하기로 의견(意見)을 모았지요.


심사 당일이 되자 심사 위원단 일곱 명은 차례로 일어나 자신들의 의견을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1.제일 먼저 가장 존경(尊敬)받는 건축가(建築家)가 일어났습니다.


“인류 최고의 발명은 ”집“입니다. 인간이 집을 발명했다는 사실은 곧 문명을발명했다는 사실과 같은 것입니다.” 그의 말에 모두 고개를 끄덕였지요.

 

2.두 번째 심사위원(審査委員)이 일어났습니다.


“집도 위대한 발명입니다만 저는 ”불“(火)의 발견(發見)이라고 생각합니다.인류(人類)가 번갯불에서 불을 발견하고


그것을 자신들이 사용(使用)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 인간에게 지혜(智慧)가 들어오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3.세 번째 위원이 일어났습니다.


 “인간이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법(法)의 발명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양심(良心)의 소리를 법으로 구체화했다는 사실은 우리의 민주주의(民主主義)를가능하게 한 대 발명이자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그의말에 수긍(首肯)하는 눈치였지요.


4.네 번째 위원이 일어났습니다.


 “인류가 오늘날의 모습을 갖게 된 데에는 경제활동(經濟活動)의 근원(根源)이되는 ”돈(金)“을 발명한 데 그 원인(原因)이 있다고 봅니다.

 

돈이라는 것을 생각하여 발전시킨 인간의 지혜는 가장 위대(偉大)하고  탁월(卓越)한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그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그렇군요.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니까요….”


5.그러자 다섯 번째 위원이 일어났습니다.


“인류의 발명 중 가장 위대한 것이라면 저는 ”문자“(文字)를 꼽겠습니다. 문자가있기에 언어를 기록(記錄)할 수 있었고, 언어가 발전함으로써  인간의 생각이 발전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이 침팬지와 인간의 다른 점입니다.” 대문호(大文豪)인 그의 말에 참석자(參席者)들은 아무런 이견(異見)이 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6.여섯 번째 과학자인 심사위원이 일어났습니다.


“인간 역사상 지금의 일 년은 고대(古代)의 일억 년과 같은 것입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컴퓨터“ 때문입니다.


앞으로 컴퓨터가 과연 얼마나,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컴퓨터야말로 미래의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을 인류 최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7.드디어 마지막 위원이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오늘  여러분들의 의견을 들어 보니  모두 인간에게 꼭 필요한 발명, 발견 같군요. 저의 생각으로는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까지는 아니더라도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되어 여러 위원님께 말씀드립니다.”노학자는 앉아 있는 위원들을 둘러보며 말했습니다.


“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은  바로 ”꿈과 희망“이라고 생각합니다. 꿈과 희망을 잃어버리면


인간은 동물이나 다름없습니다.” 참석자들은 노학자의 그 말에  아무런 반론(反論)도 제기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1995년 12월 8일, 프랑스의 세계적인 여성잡지 <엘르(Elle)>의 편집장이며 준수한 외모(外貌)와 화술(話術)로


프랑스 사교계를 풍미하던 43세의 '장 도미니크 보비'(Jean-Dominique Bauby)가 뇌졸중으로 쓰러졌습니다.

 

3주 후, 그는 의식을 회복(回復)했지만  전신 마비가 된 상태에서 유일하게 왼쪽 눈꺼풀만 움직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얼마 후, 그는 눈 깜빡임 신호로 알파벳을 지정(指定)해 글을 썼습니다.  때로는 한 문장 쓰는데 꼬박 하룻밤을 새웠습니다.


그런 식으로 대필자(代筆者)인 ‘클로드 망디빌’에게 20만번 이상 눈을 깜박여 15개월 만에 쓴 책이 ‘잠수복과 나비(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입니다.

 

책 출간 8일 후, 그는 심장마비로 그토록 꿈꾸던 나비가 되었습니다.  그는 서문(序文)에 이렇게 썼습니다. “흘러내리는 침을 삼킬 수만 있다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입니다.”


그는  자연스러운 들숨과 날숨을 가진 것만으로도  우리는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불평(不平)과 원망(怨望)은 행복에 겨운 자의 사치스러운 신음이라는 얘기이지요.


어느 날,  그는 50cm 거리에 있는 아들을 보고도  그를 따뜻하게 안아줄 수 없어서 눈물을 쏟았습니다.

 

동시에 슬픔이 파도처럼 밀려와 목에서 그르렁거리는 소리를 냈는데, 그 소리에 오히려 아들은 놀란 표정을 했습니다.


그때 그는 건강의 복을모르고 ‘툴툴거리며 일어났던 많은 아침’을 생각하며 죄스러움을 금(禁)할 길 없었지요.

 

그녀는 잠수복(潛水服)을 입은 것처럼 갇힌 신세(身世)가 되었지만, 마음은 훨훨나는 나비를 상상(想像)하며 삶을 긍정(肯定)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혼수상태(昏睡狀態)에서 벗어난 직후 휠체어에 앉아  산책에 나섰을 무렵, 우연히 등대(燈臺)를 발견한 것은 길을 잃은 덕분이었습니다.”


길을 잃어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으면 등대를 찾을 수 있습니다. 기회(機會)는 위기(危機) 덕분이고, 고귀(高貴)함은 고생함의 덕분입니다.우리의 삶이 만신창이가 되어도 사는 길은 있습니다.


바로 넘어진 곳이 일어서는 곳입니다. 꿈과 희망은 영혼의 날개입니다. 내일의꿈과 희망이 있으면 오늘의 절망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니까요!<덕산 김덕권 著>


[인생(人生)의 후반전(後半戰)]


마지막에 웃는 사람이 진실로 웃는 사람입니다.  인생의 경우도 전반전보다도 후반전이 좋아야 하겠습니다.


사람은 젊어서보다도 노년기에 건강하고 행복해야만 삶의 여정이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너무 유명한 아버지를 둔 사람이거나 젊은 나이에 돈을 많이 벌거나 일찍 출세를 한사람이나


너무나 지나치게 똑똑한 배우자를 둔 사람은  인생 후반전이 행복하지 못할 확률이 일반인보다도 많아진다고 하지만 이보다도 한층 염려스러운 사람은 인생 후반전에 할일이 없는 사람입니다.


일은 삶을 지탱해 주고 건강을 지키며 삶의 보람과 긍지를 만들어 가는데 가장필요한 요소입니다.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하는 문제는 절로 해결되고  근심과 걱정과 권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휴식의 즐거움과 기쁨을 주는 귀한 보배입니다.


아름답고 멋진 인생의 후반전을 위하여서는 노년이 되어도 계속할 수 있는 일을 가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늙어서 편이 쉬려고 하지만 쉬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기나긴 노년기를 할일없이 지낸다고 하는 것은 축복이 아니고 오히려 저주가 됩니다.

 

인생의 후반전을 글자 그대로의 인생의 황금기로 만들기 위하여  일을 즐기는 습관을 젊어서부터 길들이고 이를 즐기는 인생관을 가져야 합니다.


삶을 즐기는 최선의 방법은 삶을 다하는 날까지 좋아하는 일을하는 것입니다. 일을 즐기는 사람은 삶의 끝자락이 행복하고 아름다울 수밖에 없습니다.

 

일은 하나님이 인간의 건강과 행복과 기쁨과 멋진 보람을 위해 주시는 최고의 귀한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노후에 진실로 만족한 웃음을 웃을 수있는 사람은 삶을 사랑하고 행복했던 기억을 가슴에 품은채로 삶을 마치는 최후의 순간,

 

자신의 영혼을 맞이해 줄 하나님을 미리미리 사귀어 둔 관계로 가벼운 마음으로 후회 없이 세상을 떠날 수 있는 사람입니다.<다래골 著>


[인생(人生) 후반(後半)은 이렇게 살자]


01.일만 하지 마라 ==> 때때로 자신의 인생을 즐겨라.
02.이일 저일 끼어들지 마라 ==> 한 번 실패하면 골로 갈 수 있다.
03.삼삼오오 놀러 다녀라 ==> 인생은 외로운 존재이니 어울려 다녀라.
04.사생결단(死生決斷) 하지 마라 ==> 여유를 갖고 살아라.
05.OK를 많이 하라 ==> 되도록 입은 닫고 지갑은 열라.

06.육체적 스킨십을 즐겨라 ==> 스킨십 없이 홀로 지내면 빨리 죽는다.
07.70%에 만족하라 ==> 올인 하지 말고 황혼의 여유를 즐기면서 살아라.
08.팔팔하게 운동하라 ==> 인생은 짧으니 게으르지 말고, 몸과 마음을 다잡아라.
09.구차한 변명은 삼가라 ==> 변명만 일삼으면 사람이 몹시 추(醜)해 보인다.
10.10%는 동료를 위해 투자하라 ==> 노년에 가장 소중한  자산은 벗이다.


-   좋은 글 중에서   - 德園



162F93524D8ED53E206CCB


crane43%40hanmail.net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7 계란 한 판 정근식 2019.12.29 6
1126 걷기 김세명 2019.12.29 3
1125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이환권 2019.12.29 3
1124 머리카락 소묘 윤요셉 2019.12.29 27
» 꿈과 희망 두루미 2019.12.30 25
1122 웃음은 초콜릿 2,000개의 에너지를 가졌다 두루미 2019.12.30 1
1121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한성덕 2019.12.31 1
1120 잔고마비의 계절 김용권 2019.12.31 2
1119 온가족이 무탈했던 기해년 이윤상 2019.12.31 6
1118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이진숙 2020.01.01 1
1117 작은 행복 이진숙 2020.01.01 1
1116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정석곤 2020.01.01 1
1115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임두환 2020.01.01 3
1114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김성은 2020.01.01 2
1113 콩나물시루 구연식 2020.01.01 56
1112 비빔밥 두루미 2020.01.02 0
1111 보조개 사과 한성덕 2020.01.02 1
1110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정성려 2020.01.02 0
1109 나쁜 것은 짧게, 좋은 것은 길게 가지세요 두루미 2020.01.02 2
1108 2019년 우리 집 10대 뉴스 이우철 2020.01.0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