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 아카데미 4관왕 수상

2020.02.12 00:38

김창임 조회 수:49

봉준호 감독, 아카데미 ‘4관왕’ 수상

       신아문예대학 수필창작 금요반 김창임

 

 

 

  이 글감만큼은 남편에게 양보의 미덕을 발휘하고 싶었다. 그런데 남편은 끌리지 않은 주제인 모양이다. 그래서 할 수 없이 내가 밥 한 공기 더 먹어야겠다. 왜냐하면, 나는 아카데미 상에 관심이 조금 있었다. 작년에 꼭 이 무렵에 내가 좋아하는 '보헤미안 랩소디'가 나를 즐겁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영화 기생충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한국 영화 101년의 역사를 새로 쓰게 했다. 여기에 외국어 영화로는 처음으로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까지 4관왕을 차지히여 최다 수상을 기록했다. 아카데미 역사에도 또 한 획을 그었다.

  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9일 오후 5시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시 돌비극장에서 열렸다. 한국 시각으로는 10일 오전 10시부터 TV조선을 통해 이동진 영화평론가와 안현모 통역사의 진행으로 생중계 했었다.

 

  이날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주연 배우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이정은, 최우식, 박소담, 장헤진. 박명훈, 곽신애 대표, 한진원 작가, 이하준 미술 감독, 양진모 편집 감독 등이 레드카펫 행사에 등장했다. 아카데미 각본상을 외국어 영화가 받은 것은 대만 출신 리 안 감독 이후 봉 감독이 두 번째다. 아시아계로는 처음이다. 봉 감독은 이날 감독상 수상자로 무대에 올라  “어릴 때 항상 가슴에 새겼던 말이 있었는데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라는 말이다. 그 말씀을 하신 분은 마틴 스코세이지’라며 거장 선배감독에게 기립 박수를 보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봉 감독과 배우, 제작진에게 “어려움을 함께 이겨내고 있는 국민께 자부심과 용기를 주어 특별히 감사드린다. ” 며 축전을 보냈다 한다.

  ‘기생충’의 경쟁작인 ‘1917’은 3관왕. 조커는 2관왕에 머물렀다. 지난해 하순부터 기생충이 주요 영화제 등의 상을 휩쓸고, 할리우드의 핫이슈로 떠오르면서 세계적으로 다양한 화제를 남겼다. 제시카 징글을 비롯해 짜짜구리도 나라마다 다른 이미지의 포스터를 만들어 붙여 화제가 됐다.

 

  충숙(장혜진)이 박 사장의 아들에게 급하게 요리해준 짜짜구리도 열풍을 일으켰다. 짜짜구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한우를 넣은 짜짜구리의 탄생 배경을 봉준호 감독이 직접 밝혔다. 봉 감독은 지난해 10월 미국 할리우드에서 열린 시사회 직후 간담회에서 “두 개의 인스턴트 누들을 섞은 것이다. 하나는 짜장이고 다른 하나는 매운 라면이다. 부자들은 보통 비싸고 건강한 음식만 먹기 때문에 이런 걸 잘 안 먹지만 아이들에겐 인기가 있다. ‘애는 애’라는 걸 보여 주기 위해 이 장면을 삽입했다”고 한다. 이어 “엄마가 그 위에 부자다운 등심 토핑을 한 것이다. 그 부분은 내 창작”이라고 설명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10일 ‘기생충’이 각본상을 받은 직후 트위터에 축하 인사와 함께, 대사관 동료들과 함께 짜짜구리를 먹으면서 오스카 시상식 관전 파티를 즐겼다. 컵 라면 등 사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 봉 감독에 대한 팬덤을 일컫는 ‘봉 하이브(hive 벌집)란 신조어도 탄생했다. 특히 유명 감독과 배우들이 앞 다퉈 SNS와 인터뷰를 통해 봉 감독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았다.

 

  나는 다행스럽게도 봉 감독이 제작한 기생충, 살인의 추억, 마더도 재미있게 감상했었다. 이제는 우리 집에서 다시 한 번 봐야겠다. 한류열풍 때문에 미국에 있는 내 동생도 어깨가 으쓱하다고 한다.

"봉 감독님, 그동안 매우 많은 노력을 하셨군요. 수고하셨습니다. 존경합니다."

                                                 (2020. 2. 12.)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7 심조람사 홍성조 2020.02.11 48
1006 백서향 백승훈 2020.02.11 49
» 봉준호 감독, 아카데미 4관왕 수상 김창임 2020.02.12 49
1004 굴뚝을 태우는 남자들 홍성조 2020.02.12 50
1003 영화 기생충 이윤상 2020.02.12 62
1002 경주 양동마을 신효선 2020.02.12 50
1001 품격의 언어 두루미 2020.02.12 55
1000 사랑의 콩깍지 한성덕 2020.02.13 15
999 쪽지덕담 박제철 2020.02.13 323
998 가까이서 오래 보면 정근식 2020.02.13 17
997 아, 영화감독 봉준호 김학 2020.02.13 52
996 미륵사지 곽창선 2020.02.13 14
995 베트남 의료봉사의 의미 김용권 2020.02.14 5
994 가족의 기쁨 김용권 2020.02.14 1
993 행복 바이러스 홍성조 2020.02.14 2
992 한 개인의 영화사 한성덕 2020.02.14 1
991 의사와 환자 김창임 2020.02.15 3
990 막내여동생 신효선 2020.02.16 1
989 동전의 위력 홍성조 2020.02.16 3
988 고향 땅 구연식 2020.02.1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