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 피는 풀꽃들

2020.05.02 13:28

최상섭 조회 수:6

4월에 피는 풀꽃들

 신아문예대학 수필창작 금요반 최 상 섭

 

 

 

 삶의 희열을 찾아 나서는 일이 봄바람처럼 살갑게 불어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더욱이 나이가 들어서 소망을 담은 어떤 일을 하고자 할 때 뜻대로 쉽게 이룰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면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사업성의 일로 경제력이 동반되고 모험이 서려 항상 큰 파고를 걱정해야 하는 그런 큰일이 아닌 평소 소소한 씨앗들을 뿌리고 작은 지도를 그려보려는 일조차 쉽지가 않다. 한 알 두 알 심은 알곡이 뿌리를 내리고 뽀드득 언 땅을 뚫고 새싹을 올리는 봄날의 신기함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지는 작은 텃밭을 가꾸는 일조차 쉽지가 않으니 내가 나이를 조금 먹기는 먹었나 보다.

 

 나는 평소 우리 풀꽃에 대한 남다른 애정으로 심고, 가꾸고, 새로운 품종을 찾아 진력한 지가 강산이 두 번이나 변하는 세월이 지났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권의 우리 풀꽃 서적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그 책들처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지 못해 늘 아쉬워했었다. 재직시절에 우리풀꽃전시회를 6, 현 직장에서도 작년에 가을꽃과 다육식물 전시회를 가졌음에도 사진을 찍어두거나 신문기사를 스크랩하는 정도였다. 특별히 2006618일과 19일에는 YTN 방송국에서 한나절을 촬영한 전시회 광경을 216초로 압축해서 뉴스 중간 타임에 18회씩 16회를 방송해 줄 때는 전국의 여러 학교에서 문의가 빛발쳤었다.

 

 절친한 친구였던 Y 교수의 권유도 있었고 그 아름답고 깜찍한 우리 풀꽃들의 사진을 찍어 성장과정과 생육상태에다 문학성을 가미해서 한 권의 책으로 만들어보고 싶었으나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에 이르렀다. 솔직히 말하면 게으른 탓이 그 첫째이고 2년 터울로 시집과 수필집을 낸 내가 책값을 염려한 것이 두 번째 이유다. 그리고 지금 생각해 보니 절실하게 꼭 필요한 소중한 가치라는 판단이 적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던 중 책장을 정리하다 한국문인협회에서 발행한 월간문학의 재작년 호에서 우연히 박정자 시인이 집필한 『꽃탑』이라는 시집 광고면에 눈이 번쩍 뜨이면서 “이것인데!”하고 깜짝 놀랐다. 바로 전화를 해서 어렵게 그 책을 구입했고 저자와도 교감을 가지는 처지가 되었다. 꽃탑 시집의 내용은 우리 풀꽃을 촬영하여 칼라로 인쇄하고 작은 글씨로 풀꽃의 특징과 생육상태를 사진 밑에 표기했으며 오른쪽 면에는 박 시인의 그 꽃에 대한 시가 실려 있었다. 은연중 내가 제작하고 싶었던 그 책을 발견한 것이다. 평상시 예쁘고 기이한 우리 풀꽃을 보면 핸드폰으로 촬영을 했었는데 오늘은 큰맘 먹고 인공관절 삽입 수술을 한 한쪽 다리의 기능도 시험해 볼 겸 높지 않은 산에 오르기로 작정했다. 절친한 친구에게 함께 등산하자고 전화할까 생각하다가 아직은 내가 내 능력을 알 수 없어 혼자 등산을 하게 되었다.

 

 

 

  나는 12년 전 정년퇴임을 하면서 사진작가가 되려는 마음과 우리 풀꽃의 생생한 사진을 찍어 보관하려는 결심을 하고 D300 니콘 카메라에 망원렌즈와 접사렌즈 등을 세트로 갖추었다. 처음 2년간은 열심히 진력했지만 현 직장에서 주야로 근무해야 되는 환경과 조금씩 나태해지는 피로가 쌓이면서 *용두사미(頭蛇尾)가 되어 *초지일관(初志一貫)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말았다. 시방은 다시 시작하려는 각오만 무성할 뿐 아름다운 꿈을 크게 꾸고 부지런히 생활하자는 뜻의 *‘붕몽의생’(鵬夢蟻生)의 사자성어를 가슴 깊이 새긴다. 이 글을 쓰면서 새롭게 활활 타오르는 모닥불처럼 또는 정월 보름날 태우는 달집이 하늘로 오르려는 기상(액운을 떨치고 복을 불러들임)의 화력(火力)같이 그리고 천둥 속에서 번득이는 칼날의 굳은 의지를 세우지만 장담할 수 없는 처지가 더욱 한심하다. 무엇하려고 이 나이를 먹었을까? 정말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것일까, 하는 의구심이 온몸을 휘감고 돈다.

 

 정확하게 말하면 3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 등산하는 큰 결심을 세우고 마침내 산에 오른다. 스틱과 물, 타올 등 기본으로 간략하게 준비한 배낭을 메고 몇 번 오른 적이 있고 춘란이 자생하는 그리 험하지 않은 산을 택했다. 등산하면서도 행여 산짐승이 나타날까 봐 목청이 떠나가게 ‘야호’를 외쳤다. 불안한 마음과 산에 오르는 기쁨을 함께 만끽하며 가시에 찔리고 넘어지기를 여러 번 하면서 천천히 오르다 보니 ‘아 뿔사’ 봄을 찬미하는 풀꽃 천지가 아닌가? 이렇게 반가울 수가 있을까? 근무하는 학교 주변에서 봄까치꽃, 광대나물, 긴병꽃풀, 벼룩나물, 금년에 처음으로 발견한 산자고, 돌나물 등의 풀꽃을 볼 수 있었는데 야생화 천국에 온 느낌이었다. 좁살뱅이, 자주괴불주머니, 솜다리, 골풀, 오이풀, 개발나물, 고수 등의 풀꽃을 발견하고 HP로 촬영하여 갤러리를 만들었다. 전에 계곡에서 보았던 옥잠란은 철이 일러서인지 볼 수가 없었고 그 많던 춘란도 드물게 볼 수 있어 한편으로는 섭섭한 마음이 들기도 했다. 굳이 이유를 말하지 않아도 짐작이 가리라는 생각이 들어 밝히지 않는 게 오히려 궁금증보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리라는 믿음이 앞선다.

 

 

 제자가 운영하는 식당에 가서 산채정식으로 식사를 한 뒤 텃밭을 보니 여러 종의 채소를 심었고 울타리 가에는 더덕 줄기가 오르는 것을 보고 부지런함과 신선함을 함께 말하면서 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더덕 잎줄기가 제법 올라온 것 앞에서 걸음을 멈추고 그 향에 취해 있을 때 제자 K 사장이

 

 “선생님, 더덕 큰 화분에 심어도 잘 사는데 한 번 키워보시겠어요?

내가 우리 풀꽃을 선호함을 미리 알고 하는 말이다.

 “하이고 K 사장, 고맙지. 한 뿌리만 캐어 봐."

 K 사장은 줄기가 잘 올라온 두 무더기를 캐서 이끼와 함께 따로 조심스럽게 싸 주었다.

 ”야, 밥값을 톡톡하게 냈다. 참말로 고맙데이. 잘 심어 네 생각하며 키워 볼란다.

 하고 차 속에 안전하게 넣어두었다가 다음 날 공휴일인데도 새벽같이 출근해서 큰 화분에 정성스럽게 심고 부목을 대어 줄기가 오를 수 있게 해 주고 그늘에 가져다 두었다.

 

 만물이 새롭게 소생하는 잔인한 달 4월의 마지막 날, 산에 올라 상당한 수확을 했기에 몹시 기분이 좋다. 더덕 줄기도 잘 가꾸어야겠다. 마음속의 바람은 날마다 봄바람이 불거나 봄꽃의 해후(邂逅)로 얻는 기쁨과 향기가 오늘 같기를 소원해 본다.

(2020. 4. 30.)

 

* 용두사미(頭蛇尾) :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시작은 거창하고 끝마무리가 부실함을 뜻함.

* 초지일관(初志一貫) : 처음 먹은 마음을 끝까지 밀고 나감.

* 붕몽의생(鵬夢蟻生) : 개미가 봉황새의 꿈을 꾼다는 뜻으로 부지런하게 살면서 아름다운 꿈을 꾸는 것을 뜻함.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7 마음의 빚 정남숙 2020.05.04 0
1466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날이 있다더니 박제철 2020.05.04 1
1465 김상권 후배의 선종을 애도하며 김길남 2020.05.04 0
1464 마음의 거리와 사회적 거리 정석곤 2020.05.03 10
1463 코로나 퇴치의 여왕, 정은경 한성덕 2020.05.03 1
1462 밤을 잊은 그대에게 최상섭 2020.05.02 5
1461 나도 확찐자 정남숙 2020.05.02 0
» 4월에 피는 풀꽃들 최상섭 2020.05.02 6
1459 마스크와 손편지 김길남 2020.05.02 2
1458 춘포다빛소리수목원 구연식 2020.05.02 2
1457 '평범'을 '특별'로 바꾸는 힘 두루미 2020.05.01 2
1456 까치가 물고 온 봄(2) 한성덕 2020.05.01 1
1455 봄 냉이와 주꾸미 맛 최인혜 2020.04.30 3
1454 10분 햇볕 쬐기 두루미 2020.04.30 3
1453 멀어져야 사는 세상 최인혜 2020.04.30 2
1452 할머니의 장갑 두룸비 2020.04.30 5
1451 잠재의식 한성덕 2020.04.29 5
1450 마스크 정남숙 2020.04.28 8
1449 지금이 행복한 때 한일신 2020.04.28 4
1448 가고픈 농촌 최기춘 2020.04.2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