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이 고마운 이유

2020.11.15 15:51

김학 조회 수:11

수필이 고마운 이유

김학


나는 수필을 쓰면서 늘 참신한 소재를 찾고자 두리번거린다. 내 5감(五感)의 안테나를 언제나 활짝 열어놓고 글감이 걸리기를 기다린다. 거미줄을 치고 먹이를 기다리는 거미에게서 배운 방식이다.

다행히 참신한 소재를 찾으면 그 소재를 참신하게 해석하려고 지혜를 짜내고, 그 참신한 해석을 참신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내가 쓰는 수필 모두가 다 그렇게 쓰인 것은 아니다. 내 뜻에 맞는 한 편의 수필을 건지면 그날은 나의 축제일이다. ‘하루살이’란 수필을 탈고한 날도 그런 기분이었다.

나는 발명가들처럼 언제나 물음표(?)를 달고 살려고 노력한다. 항상 ‘왜’라는 의문부호를 붙이고 깊이 천착해 보면 무엇인가를 찾아낼 수 있다. 수필은 발명이 아니라 발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무슨 일이나 허투루 보면 아무 것도 찾아낼 수 없다, 물음표를 들고 궁구(窮究)하면 내가 구하는 답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기에 나는 그런 자세로 수필을 쓴다. 이 ‘하루살이’란 수필도 나의 그런 방식으로 쓴 글이다.

물음표를 갖고 수필을 쓰다 보면 의문이 의문을 낳고 의문이 의문을 낳아 뜻은 깊어지고, 폭은 넓어져 입체적인 수필이 될 수 있다. 표현은 쉽게 하되 뜻은 깊게 하라는 가르침은 언제나 내 곁에서 나의 이탈을 막아준다. 20대에 만난 수필은 반백년이 넘는 세월동안 깊은 우정을 나누어 왔다.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그래서 나는 언제나 ‘수필아, 고맙다!’란 인사를 한다. 술을 마실 때 건배사를 하라면 나는 ‘수필아’를 예령으로 ‘고맙다!’를 동령으로 활용한다. 수필도 고마워할 것이다.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고향집 감나무 구연식 2020.11.11 9
206 나그네 인생 전용창 2020.11.12 3
205 늦가을의 서정 김재희 2020.11.12 22
204 건강 과보호에 빠져드는 한국인들 이인철 2020.11.12 3
203 간디의 재치와 지혜 김진태 2020.11.13 13
202 인구너이 존중받는 사회에서 살고 싶다 이인철 2020.11.13 1
201 캐나다에서 태어난 손자, 송윤이 신팔복 2020.11.13 1
200 그날이 있었기에 김순길 2020.11.14 6
199 시화전에 대하여 윤석순 2020.11.14 16
198 적선이 아니라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 이인철 2020.11.14 7
197 전하에서 정림으로 전용창 2020.11.14 6
196 세포 재생, 세포 파괴 고도원 2020.11.15 21
» 수필이 고마운 이유 김학 2020.11.15 11
194 공직자답게 사는 세상 이인철 2020.11.15 4
193 고군산군도 여행 파노라마 정석곤 2020.11.16 12
192 신판 효도잔치 김학 2020.11.16 14
191 나는 서울 광화문에서 악마를 보았다 이인철 2020.11.16 14
190 산책길에 만난 제비 두 쌍 김삼남 2020.11.16 12
189 굶주림을 해결해 준 고구마 고안상 2020.11.17 11
188 우리 마을의 '술 메기' 구연식 2020.11.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