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연희의 문학서재






오늘:
3
어제:
10
전체:
1,292,392

이달의 작가

천개의 바람이 되어

2007.05.24 12:44

오연희 조회 수:855



신현림[-g-alstjstkfkd-j-]a thousand winds (author unknown)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I am not there, I do not sleep. I am a thousand winds that blow. I am the diamond glint on snow. I am the sunlight on ripened grain. I am the gentle autumn rain. When you awaken in the morning’s hush, I am the swift uplifting rush Of quiet birds in circled flight, I am the soft stars that shine at night.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cry, I am not there, I did not die. 천 개의 바람이 되어/작자미상 내 무덤 앞에서 울지 마세요 나는 그곳에 없습니다. 나는 잠들지 않습니다 나는 천의 바람, 천의 숨결로 흩날립니다 나는 눈 위에 반짝이는 다이아몬드입니다 나는 무르익은 곡식 비추는 햇빛이며 나는 부드러운 가을비입니다 당신이 아침 소리에 깨어날 때 나는 하늘을 고요히 맴돌고 있습니다 나는 밤하늘에 비치는 따스한 별입니다 내 무덤 앞에 서서 울지 마세요 나는 그곳에 없습니다. 나는 죽지 않습니다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누가 썼을까 12줄의 짧은 이 시는 영어권에서 꽤 알려졌다. 영화감독 하워드 혹스의 장례식에서 존 웨인이 낭독하였고, 여배우 마릴린 먼로의 25기일 때에도 낭독되었다. 그리고 미국 9·11 테러의 1주기에서, 테러로 부친을 잃은 11살의 소녀가 이 시 <천 개의 바람이 되어>를 낭독하여 듣는 이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였다. 그러나 그토록 널리 사랑받고 유명한 시인데도 누가, 언제 썼는지 대해서는 갖가지 설만 무성하였다. 다만 별, 햇살, 바람 등 시 전반에 느껴지는 자연의 이미지를 근거로 아메리카 인디언들 사이에서 전승된 것을 누군가가 영어로 번역했다든가, 1932년 메리 프라이라는 여성의 작품이란 설 등이 있었다. 이처럼 인터넷에 다양한 버전의 시들이 떠돌고 있는 가운데, 이 시가 널리 알려지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슬픈 일화가 있다. 1989년, 스물네 살의 영국군 병사 스테판 커밍스는 IRA(아일랜드 공화국군)의 폭탄 테러로 목숨을 잃었다. 스테판은 생전에 “자신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열어 보세요”라며 한 통의 편지를 남겨 두었다고 하는데, 그 편지에 이 시가 들어 있었다. 스테판의 장례식이 열리던 날, 부친은 아들이 남긴 편지와 이 시를 낭독했고, 이 사실이 영국 BBC에서 방영되어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수많은 이들이 시의 복사본을 구하고자 하였고, 이 시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지난 60년간의 방송에서 가장 많은 리퀘스트를 받은 영시가 되었다. 이 사실은 순식간에 영국 전역과 영어권 나라에 퍼지게 되었다. 그 당시 한 언론에서는 “폭풍우처럼 온 나라를 휩쓴 시”라고 게재했을 정도였다. 그 후 소중한 사람을 잃은 슬픈 자리엔 이 시 <천 개의 바람이 되어>가 함께했다. 마릴린 먼로나 9·11 테러, 우주비행선 챌린저 호에서 사망한 다섯 비행사들의 추도식에서도 읽혀질 정도로, 이 시는 떠나간 사람을 추억하고 남겨진 이들의 마음을 달래주는 ‘생과 죽음의 시’로서 사랑받게 되었다. 사실 나는 이 시를 외국에서 생활하는 후배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내가 시인이다 보니 간혹 원서와 관련된 자료를 부탁하곤 했는데, 어느 날 좋은 시를 알게 되었다며 알려온 것이다. 처음에는 막연히 괜찮다고 느꼈다. 그러다 몸이 몹시 아파 병원에 누워 링거를 맞으면서 읽으니 더욱 가슴 깊이 와 닿았다. 한겨울에 들이닥친 동남아시아 지진해일 재앙으로 인한 많은 사람들의 사망 뉴스로 시끄러웠던 다음이라 삶과 죽음은 더 기이한 모습으로 다가왔다. 더욱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이라크 전쟁과 자살 폭탄 테러 뉴스를 보면서 정말 사는 게 뭘까 깊은 회의에 빠지곤 했다. -신현림의 포토에세이중에서- 1. 우리 자신을 위하여 그늘을 만들기보다는 세상에 피곤한 인생들이 우리 그늘에 와서 쉬어 갈 수 있도록 그늘을 만들어주는 사람이 되자. 2. 태어나서 병들고 늙고 죽어가는 삶을 깊이 생각함으로써 진정 지혜로움과 자유를 얻으리라. 3. 살다보면 가족, 친구나 지인과 의견충돌을 피할 수 없을 때가 있다. 다들 자존심이 철근같이 센 것 같다. 시간 지나보면 그 자존심이란 것도 양파 껍질처럼 아무것도 아닌데 말이다. 4. 오래된 포도주처럼 사람들과의 정을 푸욱 익혀가고 싶은 시간, 측은지심이나 연민의 감정을 갖는다면 용서나, 상대를 받아들이지 못할게 없으리라. 5. 황혼이 어둠에 물들 듯 언제든 서로의 마음이 따뜻이 스미는 관계. 이것은 누구나 꿈꾸는 것 그꿈을 이루기 위해 남다른 시간과 정성이 필요하다. 그 정성의 향기는 숲 냄새와 흡사하다. 나무는 저마다 다른 나무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그건 고독의 거리다. 저마다의 그 고독으로 숲은 평화롭고 안정감을 갖는다. 6. 죽음에 대한 생각은 열렬히 삶을 살겠다는 뜻. 그리하여 자신의삶을 더 아름답고 충실하게 보내겠다는 각오를 다질 것이다. 2007년 5월 24일 -김서경추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친절한 복희씨 file 오연희 2007.12.19 49852
49 기차는 7시에 떠나네 file 오연희 2010.10.21 15334
48 육이죽어 영이 산 사람 '후쿠시게 다카시' file 오연희 2008.02.15 11513
47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 file 오연희 2010.10.02 11204
46 그리스 로마신화 file 오연희 2010.11.15 9482
45 추락하는것은 날개가 있다 file 오연희 2010.10.27 9415
44 간송 전형필 file 오연희 2010.10.19 9350
43 아침의 문 file 오연희 2010.10.06 9304
42 엄마를 부탁해 file 오연희 2010.10.14 9222
41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file 오연희 2011.02.17 9165
40 오두막 file 오연희 2010.11.26 8470
39 Look Great Feel Great file 오연희 2007.01.17 2619
38 빙점 속편 file 오연희 2010.10.02 2341
37 빙점 file 오연희 2010.09.09 1985
36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file 오연희 2007.08.09 1769
35 내려놓음 file 오연희 2008.05.24 1489
34 옳고도 아름다운 당신 file 오연희 2007.11.07 1455
33 2006 이상문학상 작품집 file 오연희 2006.11.15 1425
32 생스빌의 그 언덕 file 오연희 2007.08.09 1398
31 그 사람들은 왜 교회를 떠났을까 file 오연희 2008.03.22 1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