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연희의 문학서재






오늘:
26
어제:
24
전체:
1,292,469

이달의 작가

인생의낙

2013.04.11 05:02

최무열 조회 수:116 추천:39

                오연희 시인님

     인생의낙 무엇으로..
     고전과현대의 글

     ♣ 人生三樂 ♣



孔子가 太山에서 유유자적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노(魯)나라의 '성'이란 마을 어귀에서
영계기(榮啓期)와 마주치게 되었다.

영계기는 사슴의 털가죽을 두르고
노끈을 허리에 두른 허술한 차림으로
거문고를 타면서 흥겹게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공자가, "당신은 뭐가 그리 즐겁소?"
하고 묻자 영계기가 대답했다.


"내게는 즐거운 일이 수없이 많소.

우선 하늘이 만든 만물 가운데서
나는 그 사람으로 태어났으니
이것이 첫째로 즐거운 일이오.

남자와 여자 사이에 남자가 더 귀하지 않소..
그런데 나는 그 남자로 태어났으니
이것이 둘째로 즐거운 일이오.



또 사람으로 태어나더라도 햇빛도 못 보고 죽거나
배내옷을 벗기 전에 죽기도 하는데
나는 아흔까지 살았으니 이것이 셋째 즐거움이오.

가난한 것은 선비의 본분 종착점까지 걸어가고 있는데
또 무엇이 못마땅해 마음을 괴롭힌단 말이오."

공자는 그가 하는 말을 듣고,
"대단한 인물이로군. 참으로 마음에
여유를 지니고 있는 사람이다."하고 감탄했다.

* 申欽의 인생삼락(人生三樂)

문 닫으면 마음에 드는 책을 읽고
문 열면 마음에 맞는 손을 맞이하며,
문을 나서면 마음에 드는 산천경계를
찾아가는 것이 삼락이라고 한다.


조선 중기의 문인이며 정치가인 申欽의
문집상촌집(象村集)에 나오는 삼락(三樂)이다.

* 孟子의 三樂
첫째, 부모형제가 무고한 것이요,
둘째, 하늘 우러러 부끄럼 없는 것이요.
셋째,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라 했다.

* 秋史 김정희(1786-1856) 三樂

一讀이라, 책 읽고 글 쓰고 항상 배우는 선비정신을,
二色이라, 사랑하는 사람과 변함 없는 애정을 나누고,
三酒라, 벗을 청해 술잔 나누며 세상과 인간사 얘기하며
가무와 풍류를 즐겼음을 말하는 것 아니겠는가?

* 내가 생각하는 三樂

첫째는 건강이다.
건강하지 못하면 인간사 끝장이다.
한숨이고 눈물일뿐 기다리는 건 고통이고 죽음뿐이다.



두번째는 벗(친구)이다.
친구 하나 없이 외톨이로 외롭게 지나는 노인을 생각해 보라.
그 무료함, 그 외로움은 죽음 보다 더 큰 아픔이 아닌가?


세번째는 가정이다.
내 인생의 터전, 보금자리, 우리들의 가난한 왕국,
좀 뛰어나지 못하고 덜 가졌으면 어떤가?


착한 아내가 있고, 정진하는 아이들이 있고,
자라나는 꿈나무들이 있는데 무엇이 부족한가!

            독자 최무열올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연희시인-2 최무열 2013.10.05 628
공지 오연희시인-1 최무열 2013.10.05 570
642 In The Rain file 최무열 2013.08.11 103
641 Line Dance file 최무열 2013.08.12 103
640 삶의길에서본 인생 file 최무열 2013.09.10 105
639 좋은글 file 최무열 2013.06.17 107
638 Who are You ? file 최무열 2013.08.20 107
637 돈 돈 돈 file 최무열 2013.09.11 108
636 함부로 인연을맺지마라 file 최무열 2013.08.09 109
635 Bar Bar Bar file 최무열 2013.09.17 110
634 뚝딱하면~~~ file 최무열 2013.08.11 111
633 California Dreamin file 최무열 2013.04.15 112
632 시인은.. file 최무열 2013.04.15 112
631 동영상 file 최무열 2013.08.16 112
630 Season Greeting Chuck 2016.12.18 112
629 탈출 file 최무열 2013.05.27 113
628 WeII - Being file 최무열 2013.09.09 113
627 Ode to Joy file 최무열 2013.09.05 115
» 인생의낙 file 최무열 2013.04.11 116
625 가는세월 file 최무열 2013.04.13 116
624 걱정 file 최무열 2013.04.17 116
623 부부란 file 최무열 2013.04.13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