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정씨(草溪鄭氏)

2007.02.23 08:41

정용진 조회 수:971 추천:30

      
1> 시조 :  정배걸[鄭倍傑]

2> 본관 및 시조의 유래

     초계(草溪)는 경상남도 합천군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본래 신라의 초팔혜현인데,
     경덕왕때 팔계로 고쳐서 강양군(합천)의 영현 으로 삼았고, 고려때는 초계로 하였다.
     1913년 합천군에 병합하여 지금은 합천군에 속한 초계면으로 남아있다.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는 고려 초에 학자로 이름난 정배걸(鄭倍傑) 이다.
     배걸은 초계 성산 출신으로 고려 문종때 예부상서에 이르렀으며, 사숙(私塾)을 열고 많은
     제자들을 가르쳐 「십이공도(十二公徒)」의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어
     유가(儒家)의 대가(大家)요, 백세(百世)의 존사(尊師)라 일컬어졌다.
     홍문광학추성찬화공신(弘文廣學推誠贊化功臣)으로
     개부의동삼사수태위문하시중상주국광유후(開府儀同三司守太尉門下侍中上柱國光儒侯))에
     이르고 초계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은 초계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배걸(倍傑)의 아들 문(文)이 고려 예종때 형부상서를 거쳐
     정당문학을 지냈고 좌복야에 추증되었다.
     특히 그는 형조에 있는 동안  명판관으로 이름이 높았고, 문장에 능하여 문명을 날렸다.

     조선조에 와서는 진사 유명(惟明)의 아들인 온(蘊)이 성품이 곧고 절개가 높기로 이름났다
     그는 광해군때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설서(說書) . 사서(司書) . 정언(正言) 등을 거쳐
     부사직(副司直)에 올랐으나, 광해군의 비위에 거슬려 제주도에 10년 동안이나
     귀양살이를 하였다. 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이 밖에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삼등공신으로 부총관에 이른 윤겸(允謙)이 뛰어났고,
     숙(淑)의 아들인 종영(宗榮)이 육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고 청백리에 녹선되어 가문을 빛냈다.
     한편 선조와 인조대의 명신 엽(曄)은 인조반정후 대사성(大司成)에 올랐으며,
     여직(汝稷)은 4도의 절도사와 훈련대장을 역임하여 명문인 초계정씨의 대를 이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초계정씨(草溪鄭氏)는 남한에 총 20,215가구,
     83,31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집성촌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궁평리
경북 영일군 청하면 미남리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 풍계리
경북 경산군 남천면 협석동

     충북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
경남 거제군 장목면 대금리

     충남 천원군 성환읍 와룡리
경남 합천군 쌍백면 육리. 평구리

     황해도 벽성군 장곡면 죽동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 한시명편 정용진 2009.02.09 3338
159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두보 2009.07.24 1931
158 역대 장군의 시조 [1] 수봉 2009.08.09 1549
157 자연(自然) 속에 서린 시(詩)의 숨결 정용진 2009.09.23 1105
156 미주 서부문인들의 활돌상황 정용진 2009.08.28 1013
155 죽음의 시학 (詩學) (遺詩에 대한 고찰) 정용진 2009.08.24 995
154 우국(優國)의 시학(詩學) 정용진 2010.04.18 988
»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용진 2007.02.23 971
152 죽음의 詩學 <유시(遺詩)에 대한 고찰(考察)> 정용진 2004.11.16 959
151 이방원 만수산/ 이태백 월하독작. 정용진 2009.02.09 941
150 이 시대의.' 상록수' 이삼우 기청산 식물원장<경북 포항> 문갑식 조선일보 기자 2009.08.28 893
149 입 <정용주 시인> 정용진 2009.02.06 881
148 세종. 효종. 영릉과 신륵사 여주안내서에서 2009.02.09 813
147 <이민 100년을 맞이한> 미주문단의 어제와 오늘 정용진 2009.08.28 761
146 聖詩와 信仰詩에 관한 考察 정용진 2010.04.05 760
145 주역 대가 김석진 옹 정용진 2009.12.02 753
144 庚寅年 秀峯居士 四字成語 자중자애(自重自愛) 정용진 2009.12.17 749
143 미주 문학론/시 속에 드러나는 자기 목적성을 중심으로/강영은( 시인.평론가) 정용진 2010.07.29 716
142 정양숙시인 (단비를 기다리다) 미래시선 정용진의 여동생 정용진 2007.09.23 686
141 草溪 鄭氏 族譜增補를 위한 資料. 정용진 2005.03.08 633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2.14

오늘:
1
어제:
3
전체:
291,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