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장군의 시조

2009.08.09 01:35

수봉 조회 수:1549 추천:90

      우리 나라 역대 장군들의 진중시(陣中詩)

  

과거 우리 나라 장군들 중에 전쟁 상황을 시적으로 묘사한 작품은 기록상 많지 않으나, '진중시(陣中詩)'는 제법 상당수 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까지의 역대 유명한 장군들의 '진중시' 작품을 추려 소개하고자 한다.

'진중시'란 전쟁 중에 쓴 시(詩)는 물론이요, 평화로울 때도 진중(陳中), 즉 병영(兵營) 안에서 국방의 의무를 다하며 유사시(有事時)에 대비해 무인(武人)으로서의 소회(所懷)를 담아 표현한 시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用語)이다.

1.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의 오언고시)

        

              ‘여수장우중문시  (與隋將于仲文詩)’


    神策究天文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

    妙算窮地理  오묘한 계획은 땅의 이치를 다했노라.

    戰勝功旣高  전쟁에 이겨서 그 공 이미 높으니

    知足願云止  만족함을 알고, 그만두기를 바라노라.

                                 ※ 출전(出典) : 三國史記 권44 列傳

  

    연대(年代) : 고구려 26대 영양왕 23년(A.D. 612)

      주제(主題) :적장에 대한 야유와 회군(回軍) 유도(誘導)

☞  특기사항 : 억양, 대구, 대조, 과장, 반어, 도치의 다양한 수사 기교와 적장(敵將)에 대한 야유 내지 조롱을 통해 장군의 늠름한 기개를 엿볼 수 있게 하는 고시(古詩) 명작(名作)이다.


2. 최영(崔瑩 : 1316-1388) 장군 시조(時調)

  ‘호기가(豪氣歌)’


      녹이상제(綠駬霜蹄) 살지게 먹여 시내물의 씻겨 타고

      용천설악(龍泉雪鍔)을 들게 갈아 두러 메고

      장부(丈夫)의 위국충절(爲國忠節)을 세워 볼가 하노라.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가람本 442

    

      연대(年代) : 미상(未詳)이나 고려 말로 추정

      주제(主題) : 준마(駿馬)와 보검(寶劍)으로 나라를 지키

                    겠다는 용장(勇將)으로서의 충절(忠節) 포부

                     (기개와 절개)

     ☞ 단점 : 관념적 소재의 나열, 주제(主題)의 직설적 표현,

               평이하고 단조로운 표현.


3. 이지란(李之蘭 : 1331-1402 ; 퉁두란) 장군

  의 시조 ‘개국(開國) 승리가(勝利歌)’


      楚山(초산) 우난 虎(호)와 폐택(沛澤)에 잠긴 용(龍)이

      吐雲生風(토운생풍)하여 幾歲(기세)도 壯(장)할시고

      秦(진)나라 외로온 사슴은 갈곳 몰나 하노라

                                       ※ 출전(出典) : 甁窩歌曲集 513



      연대(年代) :  여말(麗末) 선초(鮮初) 무렵

      주제(主題) : 고려말 개국파(開國派)의 승리 기세(氣勢)

                     와 망국지경을 당하게 된  고려 왕실(王室)에

                     대한 일말(一抹)의 회억(懷憶)



☞ 특기사항 : 진(秦)의 붕괴와 새로운 천하통일을 지향하던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의 고사(故事)에서 제재(題材)를 빌어 와 고려말(高麗末)의 모습을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4. 김종서(金宗瑞 : 1390-1453) 장군 시조

   ‘호기가(豪氣歌)’ 2수

    

1)  朔風(삭풍)은 나모긋태 불고 明月(명월)은 눈속의 찬듸

       萬里邊城(만리변성)에 一長劒(일장검) 집고셔셔

       긴 파람 큰 한소ㄹㅢ에 거칠 꺼시 업세라.

                               ※ 출전(出典) : 海東歌謠 周氏本 21



      연대(年代) : 세종(世宗) 연간(年間) 육진(六鎭) 개척시절

      주제(主題) : 무인(武人)다운 늠름한 기개



☞ 특기사항 :  삭풍이 나무 끝에서 분다는 착상(着想)의 비범함이 놀라울 지경이다.  한기(寒氣) 넘치는 설경(雪景)과 명월(明月)을 공감각적으로 표현하여 무인(武人)답지 않은 멋진 도입(導入) 솜씨를 보여 주고 있다.


2)  長白山(장백산)에 旗(기)를 곳고 豆滿江(두만강)에 말을 싯겨

      서근 져 션ㅂㅢ야 우리 아니 사나희냐
      엇덧타 麟閣畵像(인각화상)을 누고 몬져 하리오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14



      연대(年代) : 세종(世宗) 연간(年間) 육진(六鎭) 개척시절

      주제(主題) : 무인(武人)으로서의 당당한 자부심(自負心)

                        과 일부 비겁한 文臣(문신)들에 대한 멸시


5. 남이(南怡 : 1441-1468) 장군의 한시(漢詩)

   ‘호기가(豪氣歌)’와 시조 2수

    

   白頭山石磨刀盡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豆滿江水飮馬無  두만강 물은 말이 마셔서 다 말라버렸네.

   男兒二十未平國  사나이 스무살 나이에 나라를 평정치 못하면

   後世誰稱大丈夫   후세에 어느 누가 대장부라 일컬으랴  


     연대(年代) : 조선 세조(世祖) 13년(1467) ‘이시애(李施

                    愛)의 난(亂)’과 건주위(建州衛) 야인(野人)

                       들을 평정 후 돌아올 때 지음.

      주제(主題) : 무인(武人)의 넘치는 기개



☞ 특기사항 : 이 한시(漢詩)의 3, 4행 내용으로 인해 역모죄(逆謀罪)의 누명을 쓰고 처형을 당함.


1)  烏騅馬(오추마) 우는 곳에 七尺長劒(칠척장검) 빗꼇는듸

      百二山河(백이산하)는 뉘 따히 되닷말고

      어즙어 八千弟子(팔천제자)를 언의 낫츠로 볼연요

                          ※ 출전(出典) : 海東歌謠 一石本 190



      연대(年代) :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재위 연간

       주제(主題) : 항우(項羽)의 비극적 최후 동정(同情).



   ※ 내면적 주제 :   기력(氣力)만을 믿다가 비참한 최후를

                       초래한 항우와 같은 인물 대신에 지용(智勇)

                       을 겸비한 장수가 될 것을 다짐함.


2)  長劒(장검)을 빠혀들고 白頭山(백두산)에 올라보니

      大明天地(대명천지)에 腥塵(성진)이 잠겨세라

      언제나 南北風塵(남북풍진)를 헤쳐볼고 하노라.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106



      연대(年代) :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재위 연간

      주제(主題) :  남만 북호(南蠻北胡)가 일으키는 병란(兵亂)

                       을 평정(平定)하여 나라의 안녕(安寧)을 이루어

                       놓으리라.



☞ 특기사항 : 청년장군(靑年將軍)으로서의 호기(豪氣)와

  큰 포부를 노래하였다.



6. 의병장(義兵將) 고경명(高敬命 : 1533-

  1592)의 시조(時調)

    

      靑蛇劒(청사검) 두러메고 白鹿(백록)을 디쥴타고

      扶桑(부상) 디는 해에 洞天(동천)으로 도라드니

      仙宮(선궁)에 鐘磬(종경) 맑은 소래 구름밧게 들니더라

                                   ※ 출전(出典) : 花源樂譜 197



     연대(年代) :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주제(主題) : 신선세계에 대한 갈망과 동경(憧憬) → 전쟁

                      이 끝난 후에는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나 선경

                      (仙境)에 가서 살고 싶다.



☞ 특기사항 :  고경명 장군은 금산(錦山)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戰死)한 의병대장이지만, 평소 유생(儒生) 출신으로서 신선세계를 동경하는 도교적인 사상을 지녔던 인물임을 이 시조를 통해 알 수 있다.

   초장 첫 구(句)의 ‘청사검 두러메고’에서는 호방한 기개를 노래하는 듯하다가,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난 청순한 이미지를 지닌 ‘백록(白鹿)’이라는 시어(詩語)를 사용하여, 자칫 강직한 느낌을 줄 뻔했던 초장(初章)을 원만하게 순화시켜, 조화와 균형미를 유지하고 있다. 내용(사상)과 형식(표현)이 잘 조화된 작품이다.    


7. 이순신(李舜臣 : 1545-1598) 장군의 시조

  (時調) ‘한산도야가(閑山島夜歌)’

    

      閑山(한산)셤 달 발근 밤의 戍樓(수루)에 혼자 안자

      큰 칼 녀ㅍㅢ 차고 기픈 시람 하난 적의

      아듸셔 一聲胡茄(일성호가)난 남의 애를 긋나니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111



      연대(年代) : 조선 宣祖(선조)  28년 임진왜란 중

      주제(主題) : 수군(水軍) 지휘관으로서 전투 전야 (前夜)

                       에 느끼는 우국충정(憂國衷情)과 비장(悲壯)

                       한 고독.


   ☞《충무공전서(忠武公全書)》 수록 한역시(漢譯詩)


                           한산도야가  (閑山島夜歌)

  

   閑山島 明月夜 上戍樓 撫大刀 深愁時 何處一聲 羌笛更添愁


☞ 특기사항 : 태풍전야(颱風前夜)의 적막(寂寞)처럼 큰 전투를 앞둔 전야(前夜)에 긴장감 때문에 잠을 못 이루고 수루(戍樓)에 올라 승리를 위한 작전(作戰)을 구상하며,  우국충정 때문에 근심에 잠겨 있는 중 어디선가 들려오는 한 가닥 구슬픈 피리소리 때문에 애를 태우는 장군의 인간적 면모(面貌), 문인(文人) 못지않은 빼어난 감성(感性)이 약여(躍如)하게 드러나는 작품.


8.  정충신(鄭忠信 : 1576-1636) 장군의 시조


      空山(공산)이 寂寞(적막)한듸 슬피 우난 져 杜鵑(두견)아

      蜀國興亡(촉국흥망)이 어제 오날 아니여날

      至今(지금)히 피나게 우러 남의 애를 긋나니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392



      연대(年代) : 조선 인조(仁祖) 재위 연간

      주제(主題) : 인걸(人傑)을 몰라보는 세태 한탄



☞ 특기사항 : 한밤중에 슬피 우는 두견(杜鵑)의 울음소리를 들으며, 작자 자신의 애절한 심정을 두견(杜鵑)에 감정이입을 하여, 인재(人材) 없는 사회를 통탄하였음.



9. 임경업(林慶業 : 1594-1646) 장군의 시조



拔山力(발산력) 盖世氣(개세기)난 楚覇王(초패왕)이 버거이요

  秋霜節(추상절) 烈日忠(열일충)은 伍子胥(오자서)의 우히로다

  千古山(천고산) 凜凜丈夫(늠름장부)난 壽亭侯(수정후)ㅣㄴ가

하노라

                          ※ 출전(出典) : 歌曲源流 東洋文庫本 99


      연대(年代) : 조선 인조(仁祖) 재위 연간

      주제(主題) : 촉한(蜀漢)의 장군 관운장(關雲長) 숭앙

                        (崇仰) 및 추모(追募)

     ※내면적 주제 : 한(漢)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헌제(獻帝)

                       로부터 수정후(壽亭侯) 작위(爵位)를 받았으

                       며, 평생 유비(劉備 : 160-223)에 대한 충의

                       (忠義)가 한결같았던 용장(勇將) 관우(關羽 :

                       ? - 219)를 본받아서 무인(武人)으로서  자기

                       완성의 길을 가려는 마음다짐과 함께, 관우

                      (關羽)와 같은 훌륭한 명장(名將)이 우리 나라

                      에도 많이 나타나기를 바라는 심정을 술회함.



☞ 특기사항 :  내용은 무부(武夫)답게 호방(豪放)하여 좋으나,  한자어(漢字語) 남용으로 품격을 다소 떨어트린 감(感)이 있다.



10. 구인후(具仁垕 : 1578-1658) 장군의 시조


      御前(어전)에 失言(실언)하고 特命(특명)로 내치시이

      니몸이 갈듸 업셔 西湖(서호)를 차자가니

      밤中(중)만 닷드난 소래에 戀君誠(연군성)이 새로왜라

                                 ※ 출전(出典) : 樂府 서울大本 92

    

      연대(年代) :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재위 연간

       주제(主題) : 자연(自然)에 귀의하려 하면서도 억제할

                        수 없이 솟구치는 연군지정(戀君之情)



☞ 특기사항 : 구인후(具仁厚) 장군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2등공신으로, 무인답게 직정적인 성격을 지녀서 직언(直言)을 잘 하는 사람이었지만, 이 시조에서는 신하된 도리로 스스로의 직언(直言)을 실언(失言)을 한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런 표현이 오늘의 관점에서는 다소 이채(異彩)롭게 느껴지기도 한다. 철저한 유교적(儒敎的) 휴머니즘의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11. 이완(李浣 1602-1674) 장군의 시조



      君山(군산)을 削平(삭평)턴들 洞庭湖(동정호)ㅣ 너를랏다

      桂樹(계수)랄 버히던들 달이 더옥 밝을 거슬

      뜻 두고 이로지 못하고 늙기 셜워 하노라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169


     연대(年代) : 조선 효종(孝宗) 승하 후 현종(顯宗) 재위연간

     주제(主題) : 북벌정책(北伐政策) 포기로 인해 뜻을 이루

                       지 못한 늙은 장수의 안타까운 심정



☞ 특기사항 :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국치(國恥)를 씻고자, 어영대장(御營大將) 및 훈련대장(訓練大將)을 맡아 효종(孝宗) 임금의 북벌계획을 최일선(最一線)에서 수행하던 인물이 이완 장군이었다.

  바로 이 시조의 초장(初章)과 중장(中章)은 효종의 북벌책(北伐策)이 옳음을 비유한 표현이고, 종장(終章)은 북벌책(北伐策)이 효종 승하(昇遐)로 인해 물거품이 된 데 대한 애석(哀惜)함을 표현한 것이다.



12. 유혁연(柳赫然 : 1616-1680) 장군의 시조


      닷난 말 셔셔 늙고 드난 칼 본의꼇다

      無情(무정)한 歲月(세월)은 白髮(백발)을 재촉하니

      聖主(성주)의 累世鴻恩(누세홍은)을 못갑흘가 하노라

                                        ※ 출전(出典) : 槿花樂府 122

    

      연대(年代) :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재위 연간

       주제(主題) : 무인으로서 이렇다 할 공(功)을 세우지도

                     못한 채 백발(白髮)이 되어 가는 것을 한탄.

  

  ☞ 특기사항 : 병 자호란 때 안주(安州)에서 전사한 부친 유효걸(柳孝傑)을 잃은 한을 지닌 유혁연 장군은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훈련대장 등을 역임하였지만, 1680년(숙종 6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연좌되어 제주도 등지에 유배(流配)되었다가 사사(賜死)를 당한 남인(南人) 출신으로서, 이 시조는 유배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3. 이택(李澤 : 1651-1719) 장군의 시조


      감장새 쟉다 하고 大鵬(대붕)아 웃지 마라

      九萬里長天(구만리장천)을 너도 날고 저도 난다.

      두어라 一般飛鳥(일반비조)ㅣ니 네오 긔오 다르랴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446


      연대(年代) : 조선 숙종(肅宗) 재위 시절

      주제(主題) : 권위주의와 우월주의에 사로잡힌 옹졸한

                         인간들에 대한 교훈(敎訓)


☞ 특기사항 : 평 안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된 지 석 달 만에 대간(臺諫)과 사이가 나빠 사퇴할 정도로 강직한 인물이었던 장군답게, 사람은 모두 평등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권세나 지위의 고하(高下)에 의해 차별 내지 구분하려는 당시 세태(世態)를 새에게 의탁(비유)하여 풍자하였다.

14. 주의식(朱義植 : 숙종 시절) 장군의 시조 2수



1)  쥬려 죽으려하고 首陽山(수양산)에 들엇거니

       현마 고사리를 먹으려 캐야시랴

       物性(물성)이 구분 줄 애달아 펴보려 캠이라

                                 ※ 출전(出典) : 甁窩歌曲集 385


      연대(年代) : 조선 숙종재위 시절

      주제(主題) : 세상(世上)의 지나친 왜곡(歪曲) 굴절(屈節

                        =屈折) 현상을 풍자(諷刺)



☞ 특기사항 : 사육신(死六臣)의 대표격인 성삼문(成三問) 선생의 시조 절의가(節義歌)에 대한 화답(和答) 형식의 시조이다.

  성삼문 선생이 절의가(節義歌)에서 은(殷)나라 백이 숙제(伯夷叔齊) 형제의 주(周)나라에 대한 소극적 저항을 꾸짖은 데 대한 일종의 변론(辯論) 형식이나, 내용인즉슨 사실상 반박(反駁)이 아니고 이제(夷齊) 형제의 고사(古事)에 빗대어 은연중 세태(世態)의 굴절(屈節=屈折) 현상을 풍유(諷諭)한 것이다.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훗날 칠원(漆原) 현감(縣監)을 지낸 장군답게, 불의와의 타협을 싫어하는 전형적 무골(武骨)의 면모를 보여 주는 글이라 볼 수 있다.  


                ※ 성삼문 선생의 ‘절의가(節義歌)’



                首陽山(수양산) 바라보며 이제(夷齊)를 恨(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採薇(채미)도 하난것가

                아모리 푸새엣거신들 긔 뉘 따헤 낫더니

                                        ※ 출전(出典) : 甁窩歌曲集 62



2)  말하면 雜類(잡류)라 하고 말 아니면 어리다 하내

       貧寒(빈한)을 남이 웃고 富貴(부귀)를 새오난듸

       아마도 이 하날 아레 사롤 일이 어려왜라

                             ※ 출전(出典) : 珍本 靑丘永言 224


      연대(年代) : 조선 숙종 재위 시절

      주제(主題) :  세태 인심(世態人心)과 처세(處世)의 어려

                        움 풍자



☞ 특기사항 : 무인(武人) 특유의 강직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세상 사람들이 나보다 못난 사람을 대하면 업신여기거나 비웃고, 나보다 잘난 사람을 보면 시기(猜忌)하여 모략을 하는 풍토를 비판하고 있다.


15. 김삼현(金三賢 : 숙종 시절) 장군의 시조



      공명을 질겨마라 榮辱(영욕)이 半(반)이로다

      富貴(부귀)를 貪(탐)치마라 危機(위기)를 밥난니라

      우리난 一身(일신)이 閑暇(한가)커니 두려온 일 업세라

                                   ※  출전(出典) : 大東風雅 114


      연대(年代) : 조선 숙종 시절

      주제(主題) : 부귀공명을 즐겨 탐하다가는 자칫 화(禍)

                        를 입을 수도 있으니, 욕망을 버려라.



☞ 특기사항 : 주의식(朱義植) 장군의 사위이기도 했던 김 삼현 장군은 바로 윗 시조의 주제(主題) 그대로 큰 욕심 없이 청빈(淸貧)하게 무관 생활(武官生活)을 하다가, 결국은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官職)을 마지막으로 홀연히 은퇴하여, 장인(丈人)인 주장군(朱將軍)과 함께 산수지간(山水之間)을 노닐며 시작(詩作)으로 일생을 보냈다고 한다. 이 두 장군이야말로 너무나 서로 잘 어울리는 옹서지간(翁壻之間)━━가위(可謂) ‘그 장인에 그 사위’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 한시명편 정용진 2009.02.09 3338
159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두보 2009.07.24 1931
» 역대 장군의 시조 [1] 수봉 2009.08.09 1549
157 자연(自然) 속에 서린 시(詩)의 숨결 정용진 2009.09.23 1105
156 미주 서부문인들의 활돌상황 정용진 2009.08.28 1013
155 죽음의 시학 (詩學) (遺詩에 대한 고찰) 정용진 2009.08.24 995
154 우국(優國)의 시학(詩學) 정용진 2010.04.18 988
153 초계정씨(草溪鄭氏) 정용진 2007.02.23 971
152 죽음의 詩學 <유시(遺詩)에 대한 고찰(考察)> 정용진 2004.11.16 959
151 이방원 만수산/ 이태백 월하독작. 정용진 2009.02.09 941
150 이 시대의.' 상록수' 이삼우 기청산 식물원장<경북 포항> 문갑식 조선일보 기자 2009.08.28 893
149 입 <정용주 시인> 정용진 2009.02.06 881
148 세종. 효종. 영릉과 신륵사 여주안내서에서 2009.02.09 813
147 <이민 100년을 맞이한> 미주문단의 어제와 오늘 정용진 2009.08.28 761
146 聖詩와 信仰詩에 관한 考察 정용진 2010.04.05 760
145 주역 대가 김석진 옹 정용진 2009.12.02 753
144 庚寅年 秀峯居士 四字成語 자중자애(自重自愛) 정용진 2009.12.17 749
143 미주 문학론/시 속에 드러나는 자기 목적성을 중심으로/강영은( 시인.평론가) 정용진 2010.07.29 716
142 정양숙시인 (단비를 기다리다) 미래시선 정용진의 여동생 정용진 2007.09.23 686
141 草溪 鄭氏 族譜增補를 위한 資料. 정용진 2005.03.08 633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2.14

오늘:
0
어제:
3
전체:
29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