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송상옥 선생을 추모함
                              정용진(시인. 전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

한국 문단의 거목 송상옥 선생은 조국의 격동기인 1938년 일본 부산현(富山縣)에서 출생하여 경남 마산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그 이후 한국 문단의 작가 산실인 서라벌예술대학에서 문학수업을 하였고 1959년 단편 ‘검은 이빨’로 동아일보에 입선한 후 단편 ‘4악장’으로 사상계지 추천을 받았고 1969년 현대문학지 신인 문학상을 필두로 76년 제2회 한국 소설문학상 95년 서라벌 문학상, 제7회 미주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82년에는 문학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미주땅에 미주학국문인협회를 탄생시키는 산파의 주역을 담당하였고 초대회장을 비롯하여 14, 15, 16대 회장을 연임하면서 미주문단의 초석을 쌓았다.
그는 가정을 사랑한 사랑의 사람이요 문학을 사랑한 문학의 대부이며 미주문학을 사랑한 문학의 태두다.
송 선생은 일생을 살면서 청렴하고 겸허하며 정확하고 분명한 삶을 살다 가신 만인의 귀감이다.
불의를 보면 분노할 줄 알았고 정의를 보면 박수를 보낼 줄 알았으며 악을보면 나의 갈 길이 아니라고 돌아갈 줄도 아는 분별의 사람이었다.
나는 미주문협 창간 때부터 그와 더불이 시와 수필을 쓰면서 문인의 길을 동행하였고 문단의 책임을 맡았을 때에는 서로 의논하고 염려하면서 동도겸행의 길을 걸어왔다.
인간은 누구나 지상에 한번 왔다가 언젠가는 죽는다. 사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바로 사는 것이 문제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는 천품이 인하였고 선비의 풍모를 지녔으며 붓을 인생의 보배로 간직하고 일생을 살다 가신 분이다. 잠시 언론에 몸을 담기도 하였으나 많은 시간들을 창작활동에 할애하였다.
장편으로 ‘환상살인’ ‘어두움의 강’ ‘겨울무지개’ ‘세 도시 이야기’ ‘들소사냥’ ‘순결한 여인’ ‘인터넷 전자책방 등을 연속적으로 발표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중편 소설로는 ’흑색 그리스도‘ ’성 바오로 신부‘ ’바다와 술집‘ ’작아지는 사람‘ ’마의계절‘ ’우리 어머니를 아시나요‘ ’떠도는 심장‘ ’소리‘ ’광화문과 햄버거와 파피꽃‘ 그리고 꽁트집으로 ’토요일 아무도 없다“를 펴냈다.
송상옥 선생은 미주문협 고문으로서 2010년 2월5일 73세로 영면 할 때까지 한결같이 부인과 자녀를 사랑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권경자 여사와 송인준 송규영 남매가 있다. (미주 중앙일보 1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 앞서가는 사람들/정용진 시인/코리안 저널 정용진 2014.12.02 435
159 '문장의 향기'/샌디에고 문장교실/정용진 시인 운영(2) 수봉 2013.04.27 426
158 ' 문장의 향기'/샌디에고 문장교실/정용진 시인 운영(1) 수봉 2013.04.27 549
157 멋진시 * 눈 오는 날의 단상 * 정다래 2012.04.12 434
156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시 * 함박눈 * 고지연 2012.04.11 410
155 알라스카의 만년 빙하의 모습 file Kiyoon Lee 2010.08.23 543
154 미주 문학론/시 속에 드러나는 자기 목적성을 중심으로/강영은( 시인.평론가) 정용진 2010.07.29 716
153 秀峯居士 鄭用眞 詩人의 詩에 관한 語錄 정용진 2010.06.04 514
152 우국(優國)의 시학(詩學) 정용진 2010.04.18 988
151 聖詩와 信仰詩에 관한 考察 정용진 2010.04.05 760
150 정용진 시인 '산중춘우. 정용진 2010.02.15 626
149 哀悼 故 宋相玉 先生 (추모시) 정용진 2010.02.10 514
» 고 송상옥 선생을 추모함 (미주 중앙일보 10.2.10) 정용진 2010.02.10 554
147 호랑이의 기백으로 (경인년 신년시) 정용진 2009.12.30 555
146 庚寅年 秀峯居士 四字成語 자중자애(自重自愛) 정용진 2009.12.17 749
145 샌디에고 '문장교실' 송년파티 정용진 2009.12.16 550
144 주역 대가 김석진 옹 정용진 2009.12.02 753
143 해질 무렵 여강에 배를 대다 (서산대사 : 1520-1604) 정용진 2009.12.02 512
142 <에세이> 시인과 농부 (코리아 헤럴드 고문 이선주) 정용진 2009.11.30 501
141 山中問答 李白 정용진 2009.11.10 431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2.14

오늘:
3
어제:
1
전체:
29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