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 환유, 제유법

2007.04.04 11:43

성영라 조회 수:740 추천:36

은유법  

'A는 바로 B다.' 식으로 표현 속에 비유를 숨기는 기법. 모양이나 성질의 연관성을 찾아 연상 작용에 의하여 새로운 관념을 지니게 되며, 질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형식 : ···은/는 ···다
* 내 마음은 호수요(원=내 마음, 보조=호수)
* 봄은 천지의 소녀(원=봄, 보조=소녀), 소녀는 인생의 봄(원=소녀, 보조=봄)
*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다(원=오월, 보조=계절의 여왕)
* 침묵은 금이다(원=침묵, 보조=금)

대유법(代喩法) : 사물의 한 모퉁이나 어느 한 특징을 보임으로써 전체를 대신하는 기법. 사물의 일부를 보임으로써 전체를 나타내거나, 소속물로 주체를 나타내는 기법.


  ------제유법

일부로써 전체를 대표하게 하는 경우
   * 빵만으로 살 수 없다 (빵 - 먹을 것의 일부)
   * 약주를 잘 드신다 (약주 - 술의 일부)
-------환유법

어떤 사물을 그와 관련 있는 다른 사물을 빌어 나타내거나, 기호로써  

    나타내는 것을 대신하거나, 소유물로써 주인을 알게 하는 등의 기법.
   * 금테가 짚신을 깔본다. ('금테(안경)'는 도시인의 속성으로 '신사'를, '짚신'은 시골 사람의
     속성으로 '시골뜨기'를 가리킨다. )
   * 샤일록만 사는 마을이다 (샤일록 = 구두쇠)
   * 내가 바지저고리로 보이냐(바지저고리 = 얼간이)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4
어제:
0
전체:
6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