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문학>> 1월호 월평

2007.03.01 10:28

도반 조회 수:454 추천:28

영라씨.

<<에세이플러스>>3월호에 실린 <<월간문학>>1월호 월평입니다.
한정된 지면 탓에 깊이 다루지 못해 아쉽습니다.
간략한 평과 더불어 수록 작가 중 한 분을 택해 약력과 사진을 소개했습니다.



                      <<월간문학>> 1월호 월평



   요즘은 무엇이든 시간으로 계산하는 걸 즐겨하는 듯하다. 사랑의 유효기간은 18개월, 친구사이에서 친밀하게 우정을 나누고 지내는 세월이 5년 정도. 이런 식으로 마음의 교감마저 시간놀음, 숫자의 대상이 되니 말이다. 하긴 스튜어드 매크리디가 엮은 <<시간의 발견>>을 보면 시간 자체가 생체의 리듬에서 생겼다고 하니까 상통되는 면이 있기는 하다.
  시간이 돈이 되고 정마저 시간의 정의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대.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예술에서는, 아니 수필에는 시간이라는 금을 긋지 않고 넘나드는 정이 있어 좋다.
  그런 의미에서 1월호에 실린 13편의 작품 중 姜中九의 <찔레꽃>은 세월을 뛰어넘는 정이 물씬 배어있다. 찔레꽃을 보면 생각나는 어릴 때의 동무, 영이. 손잡고 오솔길 따라 초등학교에 함께 다녔던 소녀에 대한 그리움이라 할 옛정이 마치 언 땅을 뚫고 올라오는 새순마냥 푸릇푸릇 놓여있다. 순수라는 말조차 몰랐을 그때의 감정들이 글 속에 고스란히 드러나는 건 나이와 상관없이 작가가 맑다는 것일 게고 일찍 시집가서 19살에 출산하다 죽은 동무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묻어 있어서가 아닐까. 한 편의 동화를 읽는 듯 글을 따라 추억에, 찔레꽃에 빠진다.
  韓石根의 <부적(符籍)>은 근래 수필계에서 원하는 정보가 있는 글이다. ‘해마다 입시때만 되면 애간장이 타는 학부모들은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로 서두를 시작해 부적의 검증되지 않은 효능과 의미를 말하고 부작(符作)과 부적의 다른 점을 설명한다. 두 가지 다 주술적인 것이지만 부작은 어떤 물건을 이용해 일정한 모양을 만들거나 원형 그대로 사용하며 부적은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쓴 것이라는데 그 유래와 종류 등을 기록을 바탕으로 세세히 풀었다.
  인류가 살아온 선사시대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나 고대의 이집트, 그리스인들도 지녔다는, 알게 모르게 한번쯤은 구경하고 또 간직해봤을 부적. 작가의 말처럼 모든 일의 결과는 각자의 마음가짐에 달려있는 것. 믿음이 아니라 위안이나 재미로 받아들여도 괜찮지 않을까 싶은 게 글을 읽은 후 느낀 소감이다. 전체적으로 감성적인 부분이 없어 건조한 느낌이 들지만 지식이 살아있는, 수필이 지향해야할 특징이 있다.
  최상길의 <꼬지래기>는 비를 사랑하는 이야기와 그 이유, 비에 관한 낱말들, 앞으로 남북한 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겨레말 큰사전’을 만들기로 했다는 말미까지가 부드럽게 조화를 이루었다. 게다가 자신을 성찰하고 인생을 골똘히 음미할 수 있어 비를 사랑한다며 찾아낸 많은 낱말은 읊조리고 싶을 만큼 아름답다. 땅에 꽂힐 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꼬지래기. 비가 올 것 같은 징조도 없이 내리는 비, 날비. 이런 단어들은 한 번 읽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살픈 설레지 않는가. 신춘문예에 도전해서 예심을 통과하고 결심에 오른 후 소설가가 되리라 작정했지만 연달아 다섯 번을 실패하자 낱말공부에 전념했다는, 그의 진면목이 이 글만으로도 충분히 드러나지 싶다.
  <<에세이플러스>>의 특징 중의 하나가 월평난이다. 타 잡지사와는 다르게 다양한 수필잡지들을 독자에게 소개하고 좋은 글을 쓰는 수필가를 널리 알린다. 그만큼 수필을 위한 애정이 많다는 이야기다. 모쪼록 심도 있게 봐주었으면 하는 게 바람이다.


정순인(한국수필문학가 협회 이사, 에세이플러스)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9 단풍 이상태 2019.11.04 46
228 한국 장례장 예약 손님 이상태 2019.11.04 81
227 감사드립니다. 최영숙 2015.07.01 85
226 축하해요 정문선 2007.02.10 115
225 봄봄봄 file ,정해정 2007.02.18 121
224 반가워요 이윤홍 2007.02.07 123
223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서용덕 2007.12.29 129
222 전통설 세배 이기윤 2007.02.16 131
221 반갑고, 기뻐요. 정순인 2007.02.10 132
220 더도,덜도 말고 file 달샘 2007.09.23 134
219 이집트 solo 2007.02.09 135
218 새벽 강 박영호 2007.02.14 135
217 찬란한 오월 미상 2007.05.15 136
216 감사합니다. 이 상옥 2008.08.02 136
215 축하해요! file 강정실 2007.02.15 137
214 Merry Christmas & Happy New Year 이기윤 2007.12.11 138
213 어서와요 정해정 2007.02.05 140
212 지상에서의 며칠/나태주 금벼리 2007.05.22 140
21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성민희 2008.01.01 140
210 축하&환영합니다 석정희 2007.02.07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