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시조짓기 첫걸음 (장순하 "시조짓기 교실")


                원본 : 맑은샘(깨비)의 새벽에 쓰는 시 (깨어 날개를달고 비상을 꿈꾸는 사람)애칭:꽃비깨비

시조짓기 첫걸음 (장순하 "시조짓기 교실")

시조는 시의 한 갈래이므로 고도의 지성과 섬세한 감성, 그리고 치열한 창조 정신이 요구된다.

시조에 첫 발을 내딛은 신입생들에게 어울리는 경시조 짓기부터 시작하기로 한다.

경시조란 비전문가인 아마추어를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1. 경시조 짓기 : 가벼운 기분으로 짓는 시조이다.

   1)  글짓기의 첫걸음 : 맨 먼저 눈에 보인 사물이나 귀에 들린 소리등을 나타내는 말, 또는
        첫번째로 떠오른 단어가 그것이다.

        예를 들어 '시조'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하자. 첫줄에 "시조"라고 쓴다.

   2) 3장 얽기

       시조란 말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 다음 따라올 말들이 생각날것이다.
       시조의 기본 음절 따라 3, 4조 또는 4, 4조로 구를 만들어 보면 자연히 거기에
       알맞은 말들이 이어져서 어렵잖게 초장이 만들어진다.


       시조란 무엇인가 우리의 정형시다                                           (3, 4, 3, 4)
       시조 한수 못 지으면 한국이니 될 자격 없다                               (4, 4, 4, 4)
       시조를 잘 지으면 자랑스런 시인 된다                                      (3, 4, 4, 4)
       시조는 초,중,종장 3장으로 이뤄진다.                                      (3, 4, 4, 4)


       시조란 무엇인가 우리의 정형시다                                           (초장, 3, 4, 3, 4)
       시조의 정형은 3장과 12구다                                                 (중장, 3, 3, 3, 4)
       우리도 정형을 익혀 시조 짓기 힘쓰자                                      (종장  3, 5, 4, 3)

  3) 작품 다듬기
      바로 위 초.중,종장으로 지은 시조엔 시조란 말이 세번, 정형이란 말이 세번씩이나 겹쳐
      쓰여 있는 것이 거슬린다.

      그러면 여기서 '시조'란 말과 '정형'이란 말을 솎아내야 하겠는데 작품이 전체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렇게 손댈바엔 구석구석을 다 살펴 허술한 데를 모조리 손을 보아 좀더 완벽한 시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렇게 손을 보다 보면 처음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작품이 되기도 한다.

     시조는 자랑스런 한민족의 전통시다                                         (초장, 3, 4, 3, 4)
     정형은 평시조가 3장에 12구다                                               (중장, 3, 3, 3, 4)
     우리도 힘써 익혀서 고유 문화 빛내자                                       (종장  3, 5, 4, 3)


2. 경시조를 많이 익혀 작시의 역량이 충실해지면 본격시조에 도전해 보면 좋을 것이다.

   담을 막 넘으려는데
   개가 몹시 짖어댄다
  
   "짖는 개는 안 문다네
   염려말고 어서 넘게"

   하지만 그런 속담을
   개가 알고 있을지?"
   (장순하 경시조집 '후일담' 중의 '밤손님의 대화')

   경시조는 진지한 작품만이 아니라 이렇게 즉흥시로도 코믹한 시로도 지을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1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76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2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67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32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154 장부가 / 안중근 박영숙 2008.08.20 1260
153 ㅡ순국직전 여순감옥에서 안 중근 의사가 지은 한시ㅡ 박영숙 2008.08.20 732
152 김택영이 안 중근 의사 의거 직후 지은 시 박영숙 2008.08.20 712
151 순국용사 추모가 박영숙 2008.08.21 671
150 가마귀 눈비 마자 ~ 박영숙 2009.01.13 2612
149 서산대사 해탈 시 박영숙 2009.01.14 2060
148 서산대사 시비에서 박영숙 2009.01.14 926
147 야설/ 서산대사 박영숙 2009.01.14 1991
146 가마귀 싸호는 골에 ~ - 정몽주 어머니 - 박영숙 2009.01.14 3733
145 가마귀 검다하고/ 이직 박영숙 2009.01.14 8424
144 간밤의 부던 바람에 / 유응부 박영숙 2009.01.14 5274
143 간밤에 우던 여흘 /원호 박영숙 2009.01.14 2506
142 금생여수(金生麗水)라 한들 - 박팽년 - 박영숙 2009.01.14 2041
141 꿈에 뵈는 님이 - 명 옥 - 박영숙 2009.01.14 1027
140 곳치 딘다 하고/ 송 순 - 박영숙 2009.01.14 945
139 내 마음 버혀내여- 정 철 - 박영숙 2009.01.14 2676
138 노래 삼긴 사람- 신 흠 - 박영숙 2009.01.14 1215
137 녹양이 천만사ㅣ들 / 이원익 - 박영숙 2009.01.14 1054
136 녹초청강상(綠草晴江上)에 ~ -서 익- 박영숙 2009.01.14 876
135 이순신장군의 시모음 박영숙 2009.01.26 1846
134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명언/ 펌 박영숙 2009.01.26 1371
133 스크랩]격동의 현장서 역사를 박영숙 2009.01.26 740
132 [스크랩]말 잘하는 50가지 박영숙 2009.07.17 672
131 [스크랩]각설이(리)의 진정한 의미를 아십니까? 박영숙 2009.08.11 1300
130 [스클랩] 김소월의 진달래 사투리버전 박영숙 2009.08.11 765
129 마음에 새겨야 할 한국속담 박영숙 2009.08.13 873
128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이승하 박영숙 2009.11.03 710
127 최초의 조선 유학생의 비극 /아시안의 서부 개척사 -한국인 유학생- 박영숙 2009.11.05 1456
126 [스크랩]박정희를 매도하는 자들 보아라! / 푸른벌판 박영숙 2009.11.23 668
125 귀거래사- 도연명 박영숙 2010.02.02 1565
124 도연명~귀거래사 /펌글 박영숙 2010.02.02 1700
123 음악의 귀재, 박연 박영숙 2010.02.14 1032
122 국악의천재 박연/스크랩 박영숙 2010.02.14 586
121 [스크랩] 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박영숙 2010.02.14 751
120 [스크랩]황진이의 삶과 사랑과 시 박영숙 2010.02.14 2215
119 각시네 오려논이 /풍자 익살 시 박영숙 2010.02.25 836
118 내가 국보 시리즈를 올리게 된 이유 / 유심조 박영숙 2010.03.10 782
117 815, 60주년을 지나면서..(1) 박영숙 2010.08.27 674
116 815, 60주년을 지나면서,,(2) 박영숙 2010.08.27 651
115 815, 60주년을 지나면서,,(3) 박영숙 2010.08.27 673
114 815, 60주년을 지나면서..(4) 박영숙 2010.08.27 598
113 꿈같은 추억의 노래/이청조(송나라 최고의 여류시인) 박영숙영 2010.09.21 672
112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우국가> 박영숙영 2010.11.30 1618
111 진중음 1,2,3,/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1058
110 난중일기 /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667
109 금신전선 상유십이 /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1216
108 [스크랩] 다락에/허난설 박영숙영 2010.11.30 669
107 [스크랩] 김삿갓 (56) 梅花의 고향 鐘城에서 -2- 박영숙영 2010.12.15 602
106 [스크랩] 김삿갓 (55) 梅花의 고향 鐘城에서 -1- 박영숙영 2010.12.15 668
» 스크랩] 시조짓기 첫걸음 (장순하 "시조짓기 교실") 박영숙영 2010.12.22 1510
104 잊을 수 없는 일곱 명의 미국인들 박영숙영 2011.07.17 425
103 蘭溪 朴堧(난계 박연1378-1458) 박영숙영 2011.11.08 1475
102 족보의 의의 박영숙영 2011.11.08 376
101 성씨유래 설명 박영숙영 2011.11.08 1078
100 개성 김씨 외 박영숙영 2011.11.08 1645
99 나주,김씨 외 박영숙영 2011.11.08 2030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42
어제:
133
전체:
888,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