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 시비

2012.01.21 07:51

박영숙영 조회 수:745 추천:92

매창 시비

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 낙엽에 저도 날 생각는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하도다  (매창)

□ 부안군청 뒤 상소산에 자리잡은 서림공원은 우거진 숲과 조촐한 산책길로 부안 사람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공원 안 한쪽에 조선시대 이 지역 여류문인인 이매창의 시비
   가 있다. 아래쪽 거문고를 새겨놓은 시비에 적힌 이 시에는 어느 가을날 그녀의 마음을
   고적하게 표현하고 있다.

□ 부안군청에서 서문안 당산 쪽으로 가다보면 원불교교당 바로 못미처 오른쪽으로 서림공원
   가는 작은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300m 쯤 올라가면 오른쪽에 있다.

□ 당대의 문장이며 임란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유희경을 생각하며 지은 시로 3대시조집의
   하나인 '가곡원류(歌曲源流)'에 실려있다. 매창이 죽은 후 그녀의 글을 사랑하던 이들이
   회자되는 시 61수를 모아 놓은 책이 '매창 집'이다. 훗날 시인 신석정은 이 시집을 번역
   하여 '매창 시집'을 엮었다. 전북 부안의 서림공원안에 '매창 詩碑'가 세워져 있다. 여기
   '梨花雨'란 비 오듯이 흩날리는 배꽃을 말한다.

□ 매창은 조선 선조6년(1573년)에 부안현 아전인 이양종의 서녀로 태어났다. 매창은 호이고
   이름은 계유년에 태어났다고 하여 계생이라고 불리다가 자라면서 계화, 향금이라고도 했다.
   자는 천향이다. 그는 중인 신분인 아전의 서녀로 태어나 기생이 되었으나 얼굴이 예쁘거나
   교태가 흐르는 타입은 아니었고, 시와글, 노래와 거문고 솜씨, 그윽한 성품으로 사람을
   끌던 여성이었다. 당시 매창의 이름은 널리 알려져, 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그녀를 만나러
   부안을 찾았다. 그와 사귀며 정을 나누던 사람 가운데는 시인 유희경이 있었고 또 허균이 있  
   었다. 자주 부안을 찾던 허균은 이곳에서 '홍길동전'을 지었다.

독수공방 외로이 병에 찌든 이 몸
굶고 떨며 사십 년 세월 길게도 살았네
묻노니 사람살이가 얼마나 되는가
어느 날도 울지 않은 적 없네

□ 매창은 사는 동안 사랑과 외로움, 헤어진 임에 대한 그리움 등 자기 삶에서 스며나오는
   정서를 풀어낸 수백편의 시를 지었다. 개성의 황진이와 함께 조선 명기의 쌍벽을 이루던
   그녀도 광해군2년(1610년), 나이 사십을 다 못 채우고 가난과 병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났다.
   그가 죽은지 60여 년이 지난 후, 부안의 아전들이 여기저기 그의 시들을 모았고 그가 생전
   에 자주 찾던 개암사에서 책으로 엮었다. 지금은 시 61수가 전해지며 부안군 봉덕리에 그
   녀의 묘지가 있다.

□ 매창집은 정사신(서기 1558∼1618)의 문집. 사후 약200년 뒤인 1812년 7대손인 정래성이 목판  
   본 5권으로 냈다. 정사신은 병,예조정랑, 수찬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 때는 강원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무찔렀다. 그는 '지봉유설'의 저자 이수광 등과 친했던 당대의 문사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1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76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2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70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32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96 님의침묵/한용운 박영숙영 2012.01.21 629
95 정선아리랑 박영숙영 2012.01.21 647
94 왕방연/영월로 유배당한 단종에게 사약을 전했던 금부도사 박영숙영 2012.01.21 1340
93 부산 기장]/윤선도 박영숙영 2012.01.21 846
92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길우에/영랑 박영숙영 2012.01.21 864
» 매창 시비 박영숙영 2012.01.21 745
90 [전남 해남 '땅끝']/김지하 박영숙영 2012.01.21 426
89 견우의 오래 /서정주 박영숙영 2012.03.12 573
88 낙화 / 조지훈 박영숙영 2012.03.12 1264
87 껍대기는 가라 /신동엽 박영숙영 2012.03.12 676
86 겨울 바다 / 김남조 박영숙영 2012.03.12 854
85 국토서시 / 조태일 박영숙영 2012.03.12 2148
84 나그네 /박목월 박영숙영 2012.03.12 2195
83 선죽교두혈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646
82 도산월야영매 / 李滉 이황 박영숙영 2012.07.18 1060
81 晩步 만보 저녁무렵 거닐며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769
80 인생무상에 관한 시조 박영숙영 2012.10.21 10000
79 이순신장군 전사 소식~선조의 반응 박영숙영 2013.02.20 1192
78 불멸의 이순신 명랑해전 中 "필생즉사 필사즉생" 박영숙영 2013.02.20 1080
77 어버이 살아신제 - 정철 - 박영숙영 2013.02.22 1178
76 (청산은 나를 보고) - 나옹선사 박영숙영 2013.02.22 1356
75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박영숙영 2013.02.22 990
74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774
73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박영숙영 2013.02.22 390
72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박영숙영 2013.02.22 847
71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박영숙영 2013.02.22 969
70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박영숙영 2013.02.22 678
69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박영숙영 2013.02.22 557
68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박영숙영 2013.02.22 3879
67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박영숙영 2013.02.22 777
66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박영숙영 2013.02.22 883
65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박영숙영 2013.02.22 921
64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박영숙영 2013.02.22 1047
63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베 박영숙영 2013.02.22 736
62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박영숙영 2013.02.22 834
61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박영숙영 2013.02.22 574
60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박영숙영 2013.02.22 989
59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박영숙영 2013.02.22 644
58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513
57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박영숙영 2013.02.22 815
56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박영숙영 2013.02.22 1731
55 한국의 위인, 성웅 이순신 장군의 명언 박영숙영 2013.02.22 695
54 이순신 장군의 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3.02.22 7270
53 (詩)로 보는 이순신의 생각 읽기 박영숙영 2013.02.22 735
52 [스크랩]황진이 시모음 박영숙영 2013.07.05 4190
51 遣憂(견우) - 丁若鏞(정약용) 박영숙영 2014.02.06 288
50 不疎亦不親(불소역불친) 박영숙영 2014.02.06 402
49 思齋 / <眞樂在閑居 金正國(1485~1541)> 박영숙영 2014.02.06 250
48 冬夜(동야) - 金三宜堂(김삼의당) 박영숙영 2014.02.06 430
47 靜坐然後知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 박영숙영 2014.02.06 445
46 "不變(불변)" /학명선사 박영숙영 2014.02.06 575
45 파초우(芭蕉雨)/詩: 조지훈 박영숙영 2014.02.10 829
44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2.10 5825
43 조국의 영웅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ㅡ "딴맘 먹지 말고 죽으라" 박영숙영 2014.02.14 767
42 正月二日立春 [입춘]/ 퇴계 이황 박영숙영 2014.02.16 908
41 시조대상 수상작 모음/ 홍성란, 정수자 박영숙영 2014.05.07 436
40 홍성란 / 명자꽃 박영숙영 2014.05.07 848
39 홍성란 /들길 따라서 박영숙영 2014.05.07 526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
어제:
128
전체:
888,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