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의 오래 /서정주

2012.03.12 22:47

박영숙영 조회 수:573 추천:90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높았다 낮았다 출렁이는 물살과

물살 몰아갔다 오는 바람만이 있어야 하네.



오! 우리들의 그리움을 위하여서는

푸른 은핫물이 있어야 하네.



돌아서는 갈 수 없는 오롯한 이 자리에

불타는 홀몸만이 있어야 하네.



직녀여, 여기 번쩍이는 모래밭에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



허이연 허이연 구름 속에서

그대는 베틀에 북을 놀리게.



눈썹 같은 반달이 중천에 걸리는

칠월 칠석이 돌아오기까지는,

검은 암소를 나는 먹이고,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있어야 하네.

        → 역설적 표현, 참되고 성숙한 사랑에는 이별의 고통을 감내하는 과정이 있어야한다는 것을 뜻하며,

                          화자는 이러한 고통을 오히려 긍정하는 태도를 보임.

    * 출렁이는 물살과 바람 → 이별의 고통을 형상화한 객관적 상관물.

    * 오! → 영탄적 어조, 새로운 인식에 이르렀음을 토로한 것으로, 새로운 깨달음을 강화하는 효과를 줌.

    * 푸른 은핫물

        → 일차적으로는 견우와 직녀를 단절시키는 사물로, 이별의 상황을 보여주는 상관물임.

            단절을 딱딱한 벽이 아니라 부드럽고 젖은 '물'의 이미지로 나타냄으로써, 물리적으로는 단절이지만

                        정신적으로는 결국 합일하게 하는 대상물이 됨.

            '성숙하고 완전한 사랑'을 전제로 한 일시적인 이별과 단절을 상징함.

    * 불타는 홀몸 → 고독 속에서 지펴지는 사랑의 불길과 인고의 시간

    * 번쩍이는 모래밭

        → '별밭'을 두고 한 말로, '풀싹'과 관련되면서 모래밭으로 형상화됨.

            모래밭에서는 풀이 잘 자랄 수 없고, 견우가 먹일 풀이 많지 않기에, 이것은 견우 앞에 놓인 고난과

                       역경을 상징함.

    *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 만남의 기쁨을 위한 마음의 정성스러운 준비

    * 허어연 구름 → 직녀가 처한 고난과 역경

    * 베틀에 북을 놀리게 → 베틀에서 베를 짜듯 직녀도 사랑을 조금씩 조금씩 짜 올라가는 정성스런 마음.

    * 칠월 칠석 → 아름답고 황홀한 만남의 시간

    * 검은 암소 → 화자의 실체(견우)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말

    * 검은 암소를 나는 먹이고 /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 생활에 충실하면서 그리움을 키워가는 정성.

               각자의 직분에 충실하면서 긴 이별의 시간을 만남의 기약으로 이겨내자는 의미임.



◆ 제재 : '견우와 직녀'의 전설

◆ 주제 : 이별은 사랑을 위한 한 과정

           시련을 극복하며 더 성숙해지는 사랑

           참된 사랑에는 이별과 고통을 이겨내는 성숙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시상의 흐름(짜임)]

◆ 1∼2연 : 사랑의 참된 의미(이별과 고통)

◆ 3∼4연 : 사랑의 참된 의미(단절과 고독)

◆ 5∼6연 : 사랑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정성스런 모습

◆ 7∼8연 : 사랑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정성스런 모습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이별과 재회의 기약을 노래한 작품으로, 이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화자의 태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화자는 견우이며, 견우의 말을 통해 사랑의 참다운 의미가 구체화되고 있다. 1, 2연에서는 사랑의 참된 의미를 규정한다. 이별의 과정이 먼저 주어질 때 더 큰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별의 고통을 감내하는 그 기나긴 인고의 역정이 사랑을 더 진중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오랜 기다림이라는 한국적 정한의 전통이 스며있기도 하다. 그 한의 세계는 고통과 아픔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을 받아들이는 성숙한 자세가 한의 높은 차원이다. 한이 체념과 허무의 패배주의적 속성을 지니기보다는 드높은 세계로 고양되는 정신주의와 연관된다는 점이 한국인의 심성에 오랫동안 뿌리를 드리운 근거가 될 것이다.

'물살'과 '바람'은 이별의 고통을 구체화한 상관물이다. 그것만이 있어야 한다는 진술에서 보듯이 사랑에는 고통이 필수 요건임을 알 수 있다. 고통은 수반되는 것이 아니고, 사랑 자체의 속성이며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자는 그것을 긍정한다.

'은핫물'은 견우와 직녀를 단절케 하는 사물이며, 위에서 말한 이별의 상황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상관물이다. 그러나 둘 사이에 가로놓인 것이 벽이 아니고 물이라는 점에서 정신적으로는 단절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물의 부드럽고 젖은 이미지는 사랑을 갈라놓으면서 이어주는 정감적 사물임을 부각시킨다. 물리적으로는 단절이지만 정신적으로는 합일되어 있는 상황이다. 사랑은 단절과 고독이 또 그 본질이다.

5, 6연은 은하수의 이편과 저편. '번쩍이는 모래밭'은 결국 '별밭'을 두고 한 말이지만, 풀싹과 관련되면서 모래밭으로 형상화된다. 풀을 헤아리는 행위 이전에 씨 뿌리는 행위가 있을 것이며, 그것은 사랑을 뿌리는 일이 된다. 그 돋아나는 사랑을 하나씩 헤아리며 사랑을 내면에 쌓아 간다. 사랑은 이렇게 점진적으로 키워 가는 것이다. 만남의 기쁨을 위한 마음의 정성스런 준비, 그것은 또한 사랑의 본질이다. 화자처럼 직녀 또한 구름처럼 보이는 은하수 저편에서 베를 짠다. 베틀에서 베를 짜듯 사랑도 올올이 짜 올린다.

7, 8연에서는 5, 6연의 반복이다. 칠석날이면 기다리는 만남의 순간이 온다. 나는 검은 암소를 먹이고, 직녀는 비단을 짠다. 생활에 충실하며 그리움을 키워 가는 정성이 보인다. 결국 이 시는 이별을 아픔으로 보지 않고 더 큰 사랑을 위한 성숙한 자세로 보는 태도가 감동의 요인이 된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

  옛날, 하늘 나라에 직녀라는 하늘 나라 임금님의 딸이 있었습니다.  직녀는 마음씨가 비단결같을 뿐 아니라 얼굴도 아주 예쁘게 생겼습니다.  "찰그락, 찰그락" 직녀의 베 짜는 솜씨는 따를 사람이 없었습니다.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날마다 열심히 베를 짰습니다.  너무 베를 잘 싸서 사람들은 직녀라고 불렀습니다.  또한 베만 잘 짜는 것이 아니고, 음식 솜씨도 뛰어나 하늘 나라 궁궐에서 보석처럼 빛나는 공주님이었습니다.  어느 봄날이었습니다.

  그날도 베를 짜던 직녀는 향기로운 봄빛 향내에 취하여 베틀에서 일어섰습니다.  

"참 좋은 날씨로구나.  나와 함께 나들이를 하지 않겠느냐?" "예, 공주님." 직녀는 선녀들과 궁궐 밖으로 나왔습니다.  어디선가 봄빛 향기가 코를 찌르고 새들은 아름답게 지저귀고 있었습니다. 넓은 들판에 이르렀을 때, 소를 몰고 나온 한 청년과 마주쳤습니다.  몸집이 당당하고, 아주 잘생긴 젊은이었습니다.  '저토록 멋진 남자는 처음 보았다.  도대체 어디 사는 누구일까?' 직녀는 이렇게 감탄하며 가던 길을 멈추고 젊은이를 바라보았습니다.

  그 젊은이는 바로 견우였습니다.  견우란 이름은 소를 모는 사람이란 뜻입니다.

  견우도 또한 직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  두 젊은이는 서로 한눈에 반해서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그 뒤, 견우와 직녀는 남몰래 만나서 이야기의 꽃을 피우며 시간 가는 줄을 몰랐습니다.  드디어 결혼까지 약속하게 되었습니다.  이 소문이 하늘 나라 임금님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자, 임금님은 펄쩍 뛰며 버럭 화를 냈습니다.

  "뭐라구, 하늘 나라 공주가 소몰이와 결혼을 해! 하필이면 천한 사내와 그런 약속을 하다니, 안 된다." 직녀는 무릎을 꿇고 앉아 눈물만 하염없이 흘리고 있었습니다.

  "너는 이 나라의 귀한 공주란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만일 끝내 내 말을 거역하려면 차라리 이 궁궐을 떠나거라. 꼴도 보기 싫다." 하고 임금님은 한바탕 호통을 쳤습니다.

  그 뒤, 임금님은 직녀를 불러 여러 번 타일렀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직녀의 가슴에는 견우의 생각으로 꽉 차 있었습니다.  베 짜는 일도 그만두고  하루종일 방안에만 틀어박혀 있었습니다.  그러자 하늘 나라 궁궐 안은 먹구름이 낀 듯 우울한 나날이 계속되었습니다.  "여봐라. 당장 견우를 잡아오너라.  직접 만나서 담판을 지으리라."

  얼마 뒤에 신하들은 견우를 임금님 앞에 꿇어 앉혔습니다.  "너처럼 천한 몸이 어떻게 공주를사랑하느냐? 마음을 바꾸도록 하여라!" 임금님은 매우 노한 목소리로 다그쳤습니다.  그러나 견우는 뜨거운 눈물만 흘릴 뿐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에잇! 고얀지고……." 화가 난 임금님은 대뜸 이렇게 명령을 내렸습니다.

  "여봐라, 견우와 직녀를 멀리 귀양을 보내어라. 견우는 동쪽으로 9만리, 직녀는 서쪽으로 9만리떨어진 곳으로 각각 떠나게 하라!"  임금님은 두 사람이 영원히 만날 수 없게 할 속셈이었습니다.

  이윽고 마지막 이별을 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견우는 눈물을 글썽거리며 직녀의 손을 잡고 맹세를 했습니다.  "직녀! 우리가 다시 못 만나게 되어도 직녀에 대한 나의 사랑은 변함이 없을 것이오." "저도요." 직녀도 흐느껴 울며 대답했습니다.

  견우는 소를 몰고 서쪽을 향해 9만 리 길을 떠났습니다.  직녀도 정든 하늘 나라 궁궐을 떠나 외로운 발걸음을 떼어 놓았습니다.  점점 멀어져 가는 두 사람의 가슴은 찢어질 둣이 아팠습니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은하수라는 깊고 깊은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살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견우는 강가에 나와 사랑하는 직녀의 이름을 목이 터져라고 불렀습니다.

  "직녀……."  견우의 애타는 목소리는 강 건너 직녀의 귀에까지 가늘게 들려왔습니다.

  "아! 견우님이다."  직녀는 미친 듯이 강가로 달려갔습니다.

  너무 멀어서 견우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지만, 견우가 직녀를 부르는 소리는 계속 이어졌습니다.

  "견우님……." 직녀도 목이 터져라 견우를 부르다 그만 울음을 터뜨렸습니다.

  이날이 7월 7일, 그러니까 칠월 칠석날 밤이었습니다. 날이 새면 또 각기 동쪽과 서쪽으로 헤어져야 하는 슬픈 운명이었습니다.

  해마다, 이때 흘린 견우와 직녀의 눈물은 엄청나게 많아 땅 나라에서는 홍수가 났습니다.

  그러면 집과 곡식들이 떠내려가고 동물들도 먹이가 없어서 굶어 죽어 갔습니다.

  하루는 온 동물들이 모여 회의를 열었습니다.  

  "해마다 홍수를 겪으니 괴로워서 못살겠소. 무슨 대책을 세웁시다." "견우님과 직녀님을 만나도록 해 줍시다.  그러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오." 이 때, 까치가 날개를 퍼득거리며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우리 까치와 까마귀가 날갯짓을 하며 줄지어 있는 동안, 견우님과 직녀님이 우리들 머리 위를 걸어가게 해서 만나게 합시다."

  "훌륭한 생각이오!" 모든 동물들은 대찬성을 하였습니다.  이윽고 칠석날이 다가왔습니다.

땅 나라의 까치와 까마귀들이 은하수 강가로 날아들었습니다.  서로 날개를 맞대어 길고 튼튼한 다리를 만들었습니다.  일 년 동안 애타게 그리워하던 견우와 직녀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 놓은 다리를 건너 얼싸안았습니다.  "직녀!" "견우님!" 두 사람의 눈에 기쁨의 눈물이 맺혀 반짝였습니다.  그 동안 밀린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이 가는 줄을 몰랐습니다.

  먼동이 떠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두 사람은 곧 헤어져야 했습니다.  "직녀. 일 년이 지나야 또 만나겠구려.  이대로 함께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소." "견우님, 까치와 까마귀들의 도움으로 해마다 한 번씩 만나는 것도 다행한 일이어요." "그렇소." 견우와 직녀는 까치와 까마귀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거듭하였습니다.  "자, 부디 몸조심하시오." "그럼, 안녕히 가셔요."  견우와 직녀는 아쉬운 듯 이별을 하였습니다.  서로 등을 돌리고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두 사람은 자꾸 뒤를 돌아보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부터, 칠석날에는 홍수가 나지 않고 이슬비가 부슬부슬 내리게 되었습니다.   해마다 칠석날이 지나면 까치와 까마귀들의 머리털이 빠지곤 합니다.  이것은 견우와 직녀가 머리를 밟고 지나갔기 때문이라고 전해지고 있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1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73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0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66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29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96 님의침묵/한용운 박영숙영 2012.01.21 629
95 정선아리랑 박영숙영 2012.01.21 646
94 왕방연/영월로 유배당한 단종에게 사약을 전했던 금부도사 박영숙영 2012.01.21 1340
93 부산 기장]/윤선도 박영숙영 2012.01.21 846
92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길우에/영랑 박영숙영 2012.01.21 864
91 매창 시비 박영숙영 2012.01.21 745
90 [전남 해남 '땅끝']/김지하 박영숙영 2012.01.21 426
» 견우의 오래 /서정주 박영숙영 2012.03.12 573
88 낙화 / 조지훈 박영숙영 2012.03.12 1247
87 껍대기는 가라 /신동엽 박영숙영 2012.03.12 676
86 겨울 바다 / 김남조 박영숙영 2012.03.12 854
85 국토서시 / 조태일 박영숙영 2012.03.12 2148
84 나그네 /박목월 박영숙영 2012.03.12 2185
83 선죽교두혈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645
82 도산월야영매 / 李滉 이황 박영숙영 2012.07.18 1059
81 晩步 만보 저녁무렵 거닐며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768
80 인생무상에 관한 시조 박영숙영 2012.10.21 9991
79 이순신장군 전사 소식~선조의 반응 박영숙영 2013.02.20 1192
78 불멸의 이순신 명랑해전 中 "필생즉사 필사즉생" 박영숙영 2013.02.20 1080
77 어버이 살아신제 - 정철 - 박영숙영 2013.02.22 1178
76 (청산은 나를 보고) - 나옹선사 박영숙영 2013.02.22 1356
75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박영숙영 2013.02.22 990
74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774
73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박영숙영 2013.02.22 390
72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박영숙영 2013.02.22 847
71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박영숙영 2013.02.22 969
70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박영숙영 2013.02.22 678
69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박영숙영 2013.02.22 556
68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박영숙영 2013.02.22 3877
67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박영숙영 2013.02.22 776
66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박영숙영 2013.02.22 882
65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박영숙영 2013.02.22 921
64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박영숙영 2013.02.22 1046
63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베 박영숙영 2013.02.22 736
62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박영숙영 2013.02.22 833
61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박영숙영 2013.02.22 574
60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박영숙영 2013.02.22 988
59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박영숙영 2013.02.22 643
58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513
57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박영숙영 2013.02.22 813
56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박영숙영 2013.02.22 1729
55 한국의 위인, 성웅 이순신 장군의 명언 박영숙영 2013.02.22 694
54 이순신 장군의 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3.02.22 7243
53 (詩)로 보는 이순신의 생각 읽기 박영숙영 2013.02.22 734
52 [스크랩]황진이 시모음 박영숙영 2013.07.05 4189
51 遣憂(견우) - 丁若鏞(정약용) 박영숙영 2014.02.06 286
50 不疎亦不親(불소역불친) 박영숙영 2014.02.06 401
49 思齋 / <眞樂在閑居 金正國(1485~1541)> 박영숙영 2014.02.06 250
48 冬夜(동야) - 金三宜堂(김삼의당) 박영숙영 2014.02.06 430
47 靜坐然後知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 박영숙영 2014.02.06 445
46 "不變(불변)" /학명선사 박영숙영 2014.02.06 575
45 파초우(芭蕉雨)/詩: 조지훈 박영숙영 2014.02.10 828
44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2.10 5817
43 조국의 영웅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ㅡ "딴맘 먹지 말고 죽으라" 박영숙영 2014.02.14 767
42 正月二日立春 [입춘]/ 퇴계 이황 박영숙영 2014.02.16 908
41 시조대상 수상작 모음/ 홍성란, 정수자 박영숙영 2014.05.07 435
40 홍성란 / 명자꽃 박영숙영 2014.05.07 841
39 홍성란 /들길 따라서 박영숙영 2014.05.07 526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76
어제:
94
전체:
887,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