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대기는 가라 /신동엽

2012.03.12 22:53

박영숙영 조회 수:676 추천:93

껍데기는 가라

사월(四月)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東學年)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中立)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漢拏)에서 백두(白頭)까지

향그러운 흙 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성격 : 현실 참여적, 저항적, 직설적, 상징적

◆ 표현 : 단호한 명령조

              반복을 통한 주제의식의 강조(껍데기는 가라)



◆ 중요 시어 및 시구 풀이  

   * 껍데기 → 거짓(가짜), 허세, 외세, 무력, 독재, 불의 등 상징

   * 알맹이 → 순수, 정의, 바람직한 것, 한국적인 것 등

   * 이곳 → 가장 본질적이고 원초적인 민중의 세계

   * 아사달 아사녀 → 껍데기에 전혀 물들지 않은 순수한 한국인(민중)의 표상

                               껍데기가 물러간 뒤에 이 땅의 주인공이 될 사람

   * 중립의 초례청 → 어느 한쪽으로의 치우침이 없는 민족의 대화합의 장(場)

   * 맞절 → 화합

   * 한라에서 백두까지 → 4. 19의 자유와 평등 사상이 통일 문제로까지 확대됨을 알 수 있음.

   * 향그런 흙가슴 → 우리 민족의 통일, 평화

   * 쇠붙이 → 껍데기의 대표적 존재, 총알·전쟁·무력·폭력·군사 등을 상징

                    인간성의 상실과 외세에 의해 더럽혀지는 과학문명을 타고 들어온 독재 및 군사적 긴장



◆ 주제 → 순수한 민족적 삶이 보장되는, 민중 민주 통일 사회에 대한 갈망



[ 시상의 전개(짜임) ]

◆ 1연 : 4월 혁명의 순수성 염원

◆ 2연 : 동학혁명의 순수성 염원

◆ 3연 : 민중(민족)의 대화합

◆ 4연 : 통일 조국의 순수성 염원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껍데기는 가라>는 현실적 과제를 정면으로 문제 삼는 1960년대 참여문학의 대표작이며, 이 후 독재에 항거했던 민중 민족 문학의 지향성에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 시는 1960년대라는 구체적 시대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껍데기'와 '알맹이'라는 이분법적인 대비구도를 통해 순수에 대한 옹호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우리 현대사에 있어 중요한 사건들(4·19, 동학 농민운동)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사건들이 민주·자유를 지향한 운동이었으며, 시인의 시세계 또한 이러한 것을 노래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세월이 지남에 따라 4월 혁명이 보여주었던 순수한 민주화의 열망은 점점 퇴색되어 가고, 동학혁명의 민중적 열망도 소멸되어가고 있는데다가, 현실은 그들의 바람과는 정반대의 군사 정권에 의해 이 강토가 짓밟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에 안타까움을 금하지 않는다. '껍데기는 가라'라는 말의 6번의 단순한 반복이 지루하지 않고 감동을 자아내는 것은, 현실을 그만큼 많이 차지하고 있는 '껍데기'라는 존재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공감대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  시인이 원하는 것은 한마디로 '껍데기'는 이 땅에서 사라지라는 것이다. 그러면 '껍데기'가 무엇인가?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마지막 행에 나오는 '쇠붙이'뿐이다.  다만 '껍데기'와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것들이 바로 '4월혁명의 순수성, 동학혁명의 아우성, 아사달 아사녀의 맞절, 향그러운 흙가슴' 등인데, 이것들을 통해 껍데기의 의미를 유추해 보면 "가짜, 거짓(위선), 불의, 참된 민족의 발전을 가로막는 것, 민족과 국토의 통일을 방해하는 것, 민족을 파멸로 이끄는 외세와 전쟁 따위일 것이다.

이 시는 '알맹이'로 표현되는 여러 시어들과 '껍데기'로 표현되는 시어를 대비시킴으로써 시인의 염원하는 세계를 강조하고 있으며, 추구하는 염원을 더욱 순수하게 승화시키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1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76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2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67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32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94 (백설이 잦아진 골에) - 이 색 박영숙영 2013.02.22 969
93 곳치 딘다 하고/ 송 순 - 박영숙 2009.01.14 945
92 서산대사 시비에서 박영숙 2009.01.14 926
91 귀촉도(歸蜀途)/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921
90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박영숙영 2013.02.22 921
89 正月二日立春 [입춘]/ 퇴계 이황 박영숙영 2014.02.16 908
88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박영숙영 2013.02.22 883
87 녹초청강상(綠草晴江上)에 ~ -서 익- 박영숙 2009.01.14 876
86 마음에 새겨야 할 한국속담 박영숙 2009.08.13 873
85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길우에/영랑 박영숙영 2012.01.21 864
84 겨울 바다 / 김남조 박영숙영 2012.03.12 854
83 홍성란 / 명자꽃 박영숙영 2014.05.07 848
82 (이 몸이 죽고 죽어) - 정몽주 박영숙영 2013.02.22 847
81 부산 기장]/윤선도 박영숙영 2012.01.21 846
80 각시네 오려논이 /풍자 익살 시 박영숙 2010.02.25 836
79 오리의 짧은 다리) - 김 구 박영숙영 2013.02.22 834
78 파초우(芭蕉雨)/詩: 조지훈 박영숙영 2014.02.10 829
77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박영숙영 2013.02.22 815
76 내가 국보 시리즈를 올리게 된 이유 / 유심조 박영숙 2010.03.10 782
75 賦得高原草送別(부득고원초송별)-백거이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780
74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박영숙영 2013.02.22 777
73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774
72 晩步 만보 저녁무렵 거닐며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769
71 조국의 영웅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ㅡ "딴맘 먹지 말고 죽으라" 박영숙영 2014.02.14 767
70 [스클랩] 김소월의 진달래 사투리버전 박영숙 2009.08.11 765
69 [스크랩] 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박영숙 2010.02.14 751
68 매창 시비 박영숙영 2012.01.21 745
67 스크랩]격동의 현장서 역사를 박영숙 2009.01.26 740
66 (삼동에 베옷 입고) - 조 식 베 박영숙영 2013.02.22 736
65 (詩)로 보는 이순신의 생각 읽기 박영숙영 2013.02.22 735
64 > 오만가지 생각이 한 점 눈송이다,< 청허 휴정 선사 박영숙영 2014.07.16 733
63 ㅡ순국직전 여순감옥에서 안 중근 의사가 지은 한시ㅡ 박영숙 2008.08.20 732
62 김택영이 안 중근 의사 의거 직후 지은 시 박영숙 2008.08.20 712
61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이승하 박영숙 2009.11.03 710
60 한국의 위인, 성웅 이순신 장군의 명언 박영숙영 2013.02.22 695
59 (내해 좋다 하고) - 변계랑 박영숙영 2013.02.22 678
» 껍대기는 가라 /신동엽 박영숙영 2012.03.12 676
57 815, 60주년을 지나면서..(1) 박영숙 2010.08.27 674
56 815, 60주년을 지나면서,,(3) 박영숙 2010.08.27 673
55 꿈같은 추억의 노래/이청조(송나라 최고의 여류시인) 박영숙영 2010.09.21 672
54 [스크랩]말 잘하는 50가지 박영숙 2009.07.17 672
53 순국용사 추모가 박영숙 2008.08.21 671
52 [스크랩] 다락에/허난설 박영숙영 2010.11.30 669
51 [스크랩] 김삿갓 (55) 梅花의 고향 鐘城에서 -1- 박영숙영 2010.12.15 668
50 [스크랩]박정희를 매도하는 자들 보아라! / 푸른벌판 박영숙 2009.11.23 668
49 난중일기 /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667
48 815, 60주년을 지나면서,,(2) 박영숙 2010.08.27 651
47 정선아리랑 박영숙영 2012.01.21 647
46 선죽교두혈 李滉 이황 1501~1570 박영숙영 2012.07.18 646
45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김천택 박영숙영 2013.02.22 643
44 님의침묵/한용운 박영숙영 2012.01.21 629
43 [스크랩] 김삿갓 (56) 梅花의 고향 鐘城에서 -2- 박영숙영 2010.12.15 602
42 나옹/ 목은 이색/이규보/ 정철/기대승과 이황의 동호 전별 시 화답시 박영숙영 2018.01.27 599
41 815, 60주년을 지나면서..(4) 박영숙 2010.08.27 598
40 국악의천재 박연/스크랩 박영숙 2010.02.14 586
39 아, 우리나라 국기, 태극기 [스크랩] 박영숙영 2016.06.20 575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89
어제:
133
전체:
888,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