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를 위하여 문정희

2014.02.11 07:52

박영숙영 조회 수:668 추천:54

딸을 낳아 아버지가 될 때


남자를 위하여

문정희


남자들은
딸을 낳아 아버지가 될 때
비로소 자신 속에서 으르렁거리던 짐승과
결별한다.
딸의 아랫도리를 바라보며
신이 나오는 길을 알게 된다.
아기가 나오는 곳이
바로 신이 나오는 곳임을 깨닫고
문득 부끄러워 얼굴 붉힌다.
딸에게 뽀뽀를 하며
자신의 수염이 때로 독가시였음도 안다.
남자들은
딸을 낳아 아버지가 될 때
비로소 자신 속에서 으르렁거리던 짐승과
화해한다.
아름다운 어른이 된다.



문정희는 열일곱 살의 우수가 바스락거리는 가을밤, 여학교 문학의 밤에 초대된 목월을 통해 시인이 되고 싶어 한다.
정확히 말하면 그날 목월이 강연 내용으로 삼은 ‘라이너 마리아 릴케’를 대담하게 독점하고 싶어 시인이 되려고 한다.

"소녀여/ 시인이란 왜 그대들이 고독한지/ 그것을 말할 수 있기 위해/ 그대들한테 배우는 사람들이라오”라고 하는 릴케를 위한 연가「첫 만남」에서 그는 소녀가 아니라 살로메가 되어 그를 독점하려고 한다.
목월은 그런 그녀에게서 시인의“불길한 운명”을 보는 것이다.

살로메는, 신약성경에선 헤롯왕의 계비가 자기의 간음을 질타하는
세례 요한을 죽이기 위해 딸을 꼬여서 평소 그 의붓딸에 대해
음욕을 품고 있는 왕에게 음란한 춤을 추게 한 뒤
그 상으로 요한의 목을 얻는 여자다.

한데 이보다는 오스카 와일드가 쓴 희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바,
여기에선 헤롯왕의 의붓딸인 그녀가 요한을 연모한 나머지
‘7개의 베일’의 춤을 추어 그 상으로 요한의 목을 얻어 입을 맞추나
의붓아버지의 질투를 사서 죽는다.

그런 살로메 같은 시인을 꿈꾸던 이 ‘발칙한’ 소녀는
마침내 화려찬란한 시인이 된다.
그리고는“싱싱하게 몸부림치는 가물치처럼 온몸을 던져오는
거대한 파도를” 제압하는 야생의 사내들과,
페미니스트들이 추방해버린 “진짜 멋지고 당당한 잡놈”들에게 오히려 한평생을 던져버리고 싶어 한다.

“몰래 숨어 해치우는 누우렇고 나약한 잡것들”과 “비겁하게 치마 속으로 손을 들이미는 때 묻고 약아빠진 졸개들” 뿐인 세상에서
눈부신 야생마를 만나려고 애쓴다.

그렇다면 그런 ‘눈부신 야생마’들은 누구인가.
먼저 사마천이다. 그는 투옥당한 패장을 양심과 정의에 따라 변호하다가
남근을 잘리는 치욕적인 궁형(宮刑)을 받고도 방대한 역사책『사기(史記)』를 써서 ‘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규명해낸 사나이다.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란 시를 보면, 세상의 사나이들은
“좀더 튼튼하고/ 좀더 당당하게/ 시대와 밤을 찌를 수 있는 기둥”을 세우기 위해
개고기를 뜯어먹고 해구신을 고아먹고 산삼을 찾아 날마다 붉은 눈을 번득이는데,
그런 꼿꼿한 기둥을 잘리고 기둥에서 해방되어 되레 천년을 얻고
“사내가 된 사내”인 것이다.

또한 지귀다. 머리에 이가 있고 거북 등처럼 손이 튼 계집애나
제 짝이 될 수밖에 없는 신라의 천한 목수인 주제에,
제 주제도 모르고 선덕여왕을 사모했다가
여왕이 오는 다보탑 앞에서 오래오래 기다린 사내,
그러다가 피곤해서 그만 잠이 드는 바람에 지나간 여왕을 보지 못한 사내,

그러나 “세상에 못 맺을 사랑이란 없다는 것”을 무엄하게도 알아버린
이 떠꺼머리를 아름다이 여긴 여왕이
가슴에 금팔지를 던져놓고 가자 그 사실을 알고는
금팔지를 안고 온몸이 불타버려 신라만이 아니라

온 시대 온 나라의 사랑의 사슬을 끊어버린 사내가 지귀다.
하물며 천둥같은 사나이라는 전봉준이며,
대동여지도를 만든 고산자 김정호며,
고흐, 생 텍쥐페리 등 죽음조차 눈부신 사내들은 어떤가.

이런 사내들에 경사되는 이 통 큰 여성시인의 ‘사나이 집착증’은 당연히 사나이다운 사나이가 사라진 이 시대의 ‘남자를 위한 시’이기도 하다.

오늘의 시「남자를 위하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선 약간 벗어난
남자의 욕망론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욕망은 생의 근본적인 추동력이면서도 자본으로
왜곡돼버린 가장 추악한 욕정이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서 남자가 “딸을 낳아 아버지가 될 때”
곧 딸의 아랫도리를 보며 거기가 신이 나오는 곳임을 알게 되면서

남자들이 자신 속에서 으르렁거리는 욕정과 결별한다는데
이는 그냥 여성 시인의 소망사항일 것만 같다.

남자들은 그러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아는 바로는 “딸의 엉덩이가 산처럼 부풀어 여물 때” 정도면 남자의 욕정이 한풀 꺾인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04
공지 우리나라 국경일 박영숙영 2015.07.06 341
공지 우리나라에는 1년 중 몇 개의 국경일이 있을까요? 박영숙영 2015.07.06 1635
공지 무궁화/ 단재 신채호 박영숙영 2015.06.16 277
공지 무궁화, 나라꽃의 유래 박영숙영 2015.06.16 710
공지 ★피묻은 肉親(육친)의 옷을 씻으면서★ 박영숙영 2014.10.19 442
공지 [펌]박정희 대통령의 눈물과 박근혜의 눈물 박영숙영 2014.06.14 41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눈물 / 머리카락도 짤라 팔았다 박영숙영 2014.05.28 376
공지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박영숙영 2011.08.02 500
공지 저작권 문제 있음 연락주시면 곧 지우겠습니다. 박영숙영 2014.02.08 211
233 길 위에서/이해인 박영숙영 2015.12.12 11735
232 행복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17 10779
231 11월에 관한 시모음 박영숙영 2015.06.14 7837
230 씨줄과 날줄의 뜻 / 박영숙영 박영숙영 2020.12.13 7023
229 6월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17 5197
228 11월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6.14 3007
227 문정희의 「한계령을 위한 연가」시 해설 박영숙영 2014.05.08 2979
226 정호승시인의 대표작 박영숙영 2014.06.26 2483
225 바람의 아내 / 문정희 시 모음 박영숙영 2013.03.18 2414
224 곡비(哭婢)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08 1712
223 우물에 관한 시 모음> 윤동주의 '자화상' 외 박영숙영 2014.08.03 1683
222 현충일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559
221 동백꽃 시모음 / 김용택,용혜원, 유치환,서정주, 최영미,이생진 박영숙영 2014.03.29 1512
220 [펌]돌아가는 길/문정희 시모음l 박영숙영 2013.05.20 1482
219 동백꽃 /꽃말 : 기다림, 애타는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1264
218 [펌]가는 길 /김소월 (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225
217 또 기다리는 편지/정호승(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150
216 내가 사랑하는 사람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074
215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ㅡ'시'와 명언 박영숙영 2014.07.02 1015
214 [스크랩] 위장이 튼튼해지는 최고 음식 4가지 박영숙영 2011.03.16 939
213 쑥부쟁이 꽃의전설 박영숙 2009.11.03 889
212 [펌글]ㅡ시에 관한 명언 명구 박영숙영 2014.04.02 839
211 술 지게미 마당귀 맴맴 /이혜선 박영숙영 2013.12.19 816
210 목련 /꽃말 : 아쉬운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806
209 미국예절 문화소개 박영숙 2009.01.26 796
208 난초 / 꽃말 : 애인 박영숙영 2014.02.07 785
207 백일홍 /꽃말 : 애석한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780
206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은 흐르고 박영숙영 2013.02.15 768
205 매운고추와 서리맞은 고추/유심조 박영숙영 2010.09.18 680
204 스크랩]도종환시인 미주한국문협 09년 여름문학켐프강연차 LA방문 박영숙 2009.08.24 671
» 남자를 위하여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1 668
202 신 우솝 우화 (춤추는 개미 박영숙영 2011.07.07 619
201 [스크랩]인간의 교양과 성품(9) 박영숙영 2011.04.19 604
200 "나는 시 속에서 자유롭고 용감하고 아름답다" 문정희시인 박영숙영 2014.03.29 598
199 38도선이 생긴 역사 박영숙영 2016.07.02 585
198 마타리(마편초과) /꽃말 : 미인, 잴수없는 사 랑 박영숙영 2014.02.07 581
197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569
196 [펌]외로움과 고독의 차이 박영숙영 2014.10.27 564
195 실존적 공허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박영숙영 2010.12.13 563
194 말채나무/꽃말 : 당신을 보호하다 박영숙영 2014.02.07 558
193 호수위의 섬 이니스프리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553
192 어느 날의 커피-이해인- 박영숙영 2013.12.01 549
191 엄마의 염주 /외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4.05.14 542
190 독서에 관한 명언들 박영숙영 2013.11.29 538
189 서향 /꽃말 : 갑자기 생겨난 행운 박영숙영 2014.02.07 536
188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3 529
187 꽃말과 전설 / 나팔꽃 박영숙영 2014.02.07 523
186 안녕 하세요? 강성재 2009.08.15 518
185 견우의 노래-서정주- 박영숙영 2013.02.22 517
184 [펌글]현직 유명인들이 들려주는 '시의 모든 세계' 박영숙영 2013.09.24 511
183 반갑습니다 김영강 2009.08.09 498
182 감사합니다. 오연희 2010.01.06 494
181 [스크랩 ]自足長樂 자족장락/유심조 박영숙영 2011.04.04 491
180 문학캠프에서 성영라 2009.08.24 485
179 ♧♡ 웹문학동네 입주 황영합니다♡♧ 잔물결(박봉진) 2008.09.09 485
178 안녕하세요. 은방울꽃 2009.10.03 484
177 Merry Christmas~! 이기윤 2011.12.20 481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35
어제:
133
전체:
888,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