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음과 건강**

2011.04.16 09:28

박영숙영 조회 수:385 추천:125

** 웃음과 건강**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표정하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에 나온 이야기지만,

실제 거리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면
요즘의 사회를 살아가는 게
얼마나 힘겨운 지를 말해주고 있다.

다들 무표정하고 멍한 얼굴에
하루하루 전쟁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 같다.

경제난과 사회의 여러 가지 흉흉한 사건들은
사람들의 얼굴에서 웃음을 앗아가고 있다.
아침 신문을 펴 보기가 두려울 정도이다.

웃음이 사라지면서 홧병처럼
검사상 별 이상은 없는데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두근하며 속에서 열이 치밀어 오르고
목에 뭔가 걸려 있는 것 같이 거북하다고 한다.

머리가 아프다,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없다,
어지럽고 진땀이 난다,만사가 귀찮고 재미가 없다,
항상 우울하고 허망한 느낌이 든다,
불안하고 초조하다, 잠이 잘 안 온다 등등을 호소한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일소일소 일노일노 (一笑一少 一怒一老)’,
‘소문만복래 (笑門萬福來)’ 같은 말은
이제 식상할 지도 모르지만
그러나 항상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유쾌한 웃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건강과 행복의 상징으로 통용돼 왔다.

40년 동안 웃음과 건강을 연구한
스탠포드 의대 윌리엄 프라이 박사는
웃음의 생리적 효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첫째, 자연 진통효과이다.
웃을 때 뇌하수체에서는
엔돌핀과 같은 자연 진통제가,

부신에서는 염증을 낫게 하는
화학물질이 나와서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웃음에 의해 동맥이 이완되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혈압을 낮춘다.

셋째, 웃음은 스트레스와 분노,
긴장을 완화시켜
심장마비와 같은 돌연사를 예방한다.

넷째, 면역력을 높여 감기와 같은
감염질환은 물론 암이나 성인병에 대한
저항력도 높인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칠정(七情), 즉 감정에 따라
인체 기(氣)의 흐름이 달라진다고 한다.

웃음으로 인해서 생기는 즐거운 감정은
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한다.

그리고 슬픈 느낌은
즐거움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좋은 효과가 있는 웃음을
사람들은 세상의 풍파를 겪으며 잃어 간다.

과학적으로 웃음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여섯 살 난 어린이는
하루에 300 번 웃고 정상적인 성인은
겨우 열 일곱 번 정도 웃는다고 한다.

힘든 일이 있을 때 차 한잔과 함께
웃음의 시간을 가지며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보도록 하자.

차에는 온갖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이로운 성분이 들어 있는데
요즘과 같은 세상에 속에서
치밀어 오르는 열을 식혀준다.

대추와 소맥을 같은 분량으로 달여 먹거나
합환피, 자소엽, 죽력, 석창포 등을
차로 달여 마시면 우울증이나 불면증에 좋다.

또 파와 무즙을 먹으면 신경쇠약으로 인한
불면증이나 마음의 불안상태가 호전된다.

억지로 웃더라도 기운차게
온몸으로 웃게 되면
그 효과 역시 동일하다고 한다.

쾌활하게 웃을 때 몸 속의 650개 근육 중에서
231개가 움직인다. 하루에 한 번씩이라도
‘배꼽이 빠질 듯이’ 크게 웃기를 권한다.

그것이 지금 사회를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내가 내릴 수 있는
최선의 처방전이다.

매사에 불평하지 말고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생활 자세를
의도적으로라도 가져서
자신의 삶에 건강과 행복도 추구하고,

이를 지켜보는 주변사람의 마음까지 밝고
즐겁게 해주는 사람이 되도록 하자.

글:강남경희한방병원 이경섭병원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04
공지 우리나라 국경일 박영숙영 2015.07.06 341
공지 우리나라에는 1년 중 몇 개의 국경일이 있을까요? 박영숙영 2015.07.06 1635
공지 무궁화/ 단재 신채호 박영숙영 2015.06.16 277
공지 무궁화, 나라꽃의 유래 박영숙영 2015.06.16 710
공지 ★피묻은 肉親(육친)의 옷을 씻으면서★ 박영숙영 2014.10.19 442
공지 [펌]박정희 대통령의 눈물과 박근혜의 눈물 박영숙영 2014.06.14 41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눈물 / 머리카락도 짤라 팔았다 박영숙영 2014.05.28 376
공지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박영숙영 2011.08.02 500
공지 저작권 문제 있음 연락주시면 곧 지우겠습니다. 박영숙영 2014.02.08 211
113 곡비(哭婢)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08 1712
112 의 자 / 이정록 박영숙영 2014.02.08 199
111 남자를 위하여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1 668
110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3 529
109 요새는 왜 사나이를 만나기 힘든지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3 216
108 멍 /박형준 박영숙영 2014.03.29 446
107 어머니의 동백꽃/도종환 박영숙영 2014.03.29 364
106 동백꽃 시모음 / 김용택,용혜원, 유치환,서정주, 최영미,이생진 박영숙영 2014.03.29 1512
105 동백꽃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3.29 315
104 사람의 가을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3.29 198
103 손의 고백 /문정희 박영숙영 2014.03.29 168
102 가면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3.29 193
101 "나는 시 속에서 자유롭고 용감하고 아름답다" 문정희시인 박영숙영 2014.03.29 598
100 딸아 연애를 하라 /문정희 박영숙영 2014.03.29 264
99 [펌글]ㅡ시에 관한 명언 명구 박영숙영 2014.04.02 839
98 한밤중에 ―문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30
97 문정희의 「한계령을 위한 연가」시 해설 박영숙영 2014.05.08 2979
96 찔레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59
95 내 사랑은/문정희 박영숙영 2014.05.08 381
94 “응”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5.08 457
93 신록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78
92 하늘에 쓰네 /고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48
91 봄비 /고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34
90 사랑법 첫째 / 고정희 박영숙영 2014.05.08 219
89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고정희 박영숙영 2014.05.08 261
88 가을 편지/고정희 박영숙영 2014.05.08 174
87 그리움 속으로 /문정희 박영숙영 2014.05.11 192
86 나는 엄마의 어린 딸 /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4.05.14 480
85 엄마의 염주 /외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4.05.14 542
84 사모곡(思母曲) 아리랑/ 외 박영숙영 2014.05.14 162
83 봄의 시모음/ 노천명 외 박영숙영 2014.05.14 375
82 봄을 위하여 /천상병 외 박영숙영 2014.05.14 314
81 - 스펜서 존슨의 《선물》 중에서 - 박영숙영 2014.05.22 228
80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아하! 이런 글도 있구나 ! " 하고 복사했습니다 박영숙영 2014.05.28 192
79 [펌]가는 길 /김소월 (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225
78 [펌]사랑의 노래 /신경림(시와해설) 박영숙영 2014.06.18 385
77 [ 적멸에게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57
76 내가 사랑하는 사람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074
75 <수선화에게>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98
74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569
73 거짓말의 시를 쓰면서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465
72 아버지의 나이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67
71 술 한잔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370
70 내가 사랑하는 사람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26
69 미안하다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93
68 슬픔으로 가는 길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367
67 또 기다리는 편지/정호승(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150
66 빈 깡통 허공을 날다 / 김용언 박영숙영 2014.06.19 215
65 나무의 / 김용언 박영숙영 2014.06.19 219
64 - 존 로크의 《독서에 관하여》 중에서 - 박영숙영 2014.06.25 131
63 찔레 /문정희 박영숙영 2014.06.26 216
62 정호승시인의 대표작 박영숙영 2014.06.26 2482
61 [펌]이 외수의 글쓰기 비법 박영숙영 2014.06.29 124
60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ㅡ'시'와 명언 박영숙영 2014.07.02 1015
59 늑대/도종환 박영숙영 2014.07.16 162
58 이제 누가 헝클어진 머리 빗겨 주나 박영숙영 2014.07.31 167
57 우물에 관한 시 모음> 윤동주의 '자화상' 외 박영숙영 2014.08.03 1683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6
어제:
133
전체:
888,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