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2011.08.02 20:54

박영숙영 조회 수:500 추천:97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2011.08.02 16:49 | 좋은글 |

                         http://kr.blog.yahoo.com/ywoongp/85921





이 이야기는 어느 독일인이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글인데
일본인을 원숭이라고 표현했다는 문제로 일본 유학생 중 한 명이
일본의 어느 게시판에 올렸답니다.

그후 그 독일인의 사이트는 해킹 당하고 작성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당해
일본의 우익들로부터 테러에 가까운 협박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자 한국인 유학생도 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결국 한국어로 그 사이트의 문제가 된 글을 번역해서 올린 것입니다.

** 이하 그 어느 독일인의 글입니다. **

당신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가?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地圖를 펴기 바란다.
아마 당신이 알고 있을 中國과 日本 사이에 韓半島가 있고
그곳에 韓國이라는 나라가 보일 것이다.

이야기는 이 조그만 나라의 어느 마라토너가 中心에 있다.
이 나라는 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武力에 의존하는 나라 사이에서
놀랍게도 2000년간 한번도 自主性을 잃어본 적이 없는奇跡에 가까운 나라이다.
그리고 이럴 경우
이 한국인들은 나라 대신에 '民族'이라는 표현을 쓰기를 좋아한다.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 장의 사진 때문에
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의 굉장한 이야기에 빠져들고 말았다.
1936년 히틀러 통치 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열렸고
그때 두 일본인이 마라톤 경기에서 1位와 3位를 차지하였다.
2位는 獨逸人이었다.
헌데, 시상대에 올라간 이 두 日本人 勝利者들의 表情,
이것은 人間이 表現할 수 있는 가장 슬픈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不可思議한 사진....
무엇이 이 두 勝利者들을 이런 슬픈 모습으로 施賞臺에 서게 했는가?
과거도, 그리고 현재도 가장 人間的인 儒敎라는 宗敎가 지배하는 이 나라
아니 이 民族은 이웃한 日本人(죽음을 찬미하고 성에 탐닉하는)에 대해
'영리한 원숭이'에 不過하다는 價値觀을 가지고 있으며,
불행히도 이 인간적인 품위를 중시하는 自負心 强한 民族이
이 원숭이들에게 '강간'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侵略,
즉 植民地로 떨어지고 말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당시 대부분의 불행한 식민지의 청년들은
깊은 고뇌와 번민에 개인의 이상을 희생하고 말았고,
'孫' 과 '南' 이라고 하는 두 청년들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 두 청년들은 달림으로써
아마도 자신들의 울분을 표출해야만 했는지도 모른다.
이 두 청년들은 많은 일본인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달렸을 것이다.
달리는 내내 이 두 청년들은 무엇을 생각했을까?

그들은 승리했고 시상대에 오를 수 있었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祖國 한국의 太極旗 (이 국기는
대부분의 나라의 그것이 革命이라든가 鬪爭이라든가 勝利
또는 위대한 皇帝의 문양인데 비해
宇宙와 人間과 세상 모든 것의 秩序와 調和를 의미한다)
代身에 핏빛 동그라미의 일장기가 있었고,
스탠드에 역시 이 핏빛 일장기가 올라가고 있었다.

이때 이 두 청년의 표정이란....
그들은 깊게 고개를 숙인 채 한없이 부끄럽고 슬픈 얼굴을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뉴스를 전한 일본 검열하의 한국 신문
eastasia(동아일보를 지칭하는 듯)는
이 사진 속의 일장기를 지워버리고 만다.

이 유니크한 抵抗의 方法,
과연 높은 정신적인 종교 유교의 민족답지 않은가?
그런데 일본 정부는 이 신문사를 廢刊시키고 만다.
이 우습고도 단순하면서 무지하기까지 한 彈壓의 方法으로...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마침내 이 민족은 解放되고
强要당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무서운 또 한 번의 戰爭을 치른 후,

한강의 奇跡!
(한국인들은 지구상에서 일본인들을 게을러 보이게 하는 唯一한 民族이다.)
을 통해 스페인보다도 포르투갈보다도 더 强力한 經濟的 富를 이루고 만다.

그리고는 1988년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데 이른다.
불과 50년!
태극기조차 가슴에 달 수 없었던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이 올림픽을 개최하고 만 것이다.

그리고 開幕式, 聖火를 들고 경기장에 들어선
작고 여린 소녀 마라토너로부터 성화를 이어받은 사람은
그날 너무나도 슬프고 부끄러워했던 勝利者,'孫'(손기정)이었다.
노인이 되어버린 이 슬픈 마라토너는 성화를 손에 든 채
마치 세 살 먹은 어린애와 같이 훨훨 나는 것처럼 즐거워하지 않는가!!

어느 演出家가 지시하지도 않았지만
역사란 이처럼 멋지고도 통쾌한 場面을 보여줄 수 있나 보다.
이 때 한국인 모두가 이 노인에게,
아니 어쩌면 한국인 개개인이 서로에게
얘기할 수 없었던 빚을 갚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극적이게도 서울올림픽 도중에
일본 선수단은 슬픈 소식을 들어야만 했다.
쓰러져 죽음을 기다리는 히로히토 일왕의 소식....

한국인들의 종교 유교는
인간, 심지어는 죽은 조상에게까지 예를 나타내는 종교이다.
이 종교의 보이지 않는 신이
인류 역사상 (예수나 석가도 해내지 못한)기적을 일으킨 것이다.

나는 이 이야기가 여기서 끝이기를 바랐다.
이처럼 굉장한 이야기가 이대로 보존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韓國人들은
(이해할 수 없는 집념과 끈기, 그리고 暴力과 같은 單純함이 아닌)
놀라운 精神力으로 그들이 50년 전 잃어버렸던
金메달을 되찾고 만 것이다.

서울 올림픽이 끝나고 4년 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
'黃'이라고 하는 '孫' 老人과 너무나 흡사한 외모의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日本과 獨逸의 선수들을 따돌리고,
마침내 더 이상 슬프지 않은, 祝祭의 월계관을 따내고 만 것이다.

경기장에 太極旗가 올라가자 이 '黃' 은 기쁨의 눈물과 함께
왼쪽 가슴에 달린 태극기에 경의를 표한다.
그리고는 스탠드로 달려가 비극의 마라토너 '孫' 에게
자신의 금메달을 선사하곤 깊은 예의로서 존경을 표한다.
'황'을 가슴에 품은 '손' 은 말이 없다.

나는 이 이야기를 접하고는
人間에 대한 信賴에 限없이 자랑스러움을 숨길 수 없었다.
인간이란, 이 한국인 아니 이 한국 민족처럼 폭력과 거짓과 다툼이 아니라
천천히 그러나 불굴의 의지로서 자신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것이 悲劇的인 눈물로 시작된 歷史일지라도
歡喜와 高貴한 기쁨의 눈물로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상 어느 민족도 보여주지 못했던
人間과 國家와 民族의 尊嚴을 이 한국인
아니 韓國 民族이 보여주지 않는가!!

도서관에 달려가라!




(인터넷에서 손기정을 검색하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대에 선
두 한국인의 사진을 찾아라...
당신은 그 순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인간이 될 것이다.

-옮겨온 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02
공지 우리나라 국경일 박영숙영 2015.07.06 341
공지 우리나라에는 1년 중 몇 개의 국경일이 있을까요? 박영숙영 2015.07.06 1633
공지 무궁화/ 단재 신채호 박영숙영 2015.06.16 275
공지 무궁화, 나라꽃의 유래 박영숙영 2015.06.16 710
공지 ★피묻은 肉親(육친)의 옷을 씻으면서★ 박영숙영 2014.10.19 442
공지 [펌]박정희 대통령의 눈물과 박근혜의 눈물 박영숙영 2014.06.14 41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눈물 / 머리카락도 짤라 팔았다 박영숙영 2014.05.28 376
»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박영숙영 2011.08.02 500
공지 저작권 문제 있음 연락주시면 곧 지우겠습니다. 박영숙영 2014.02.08 211
233 길 위에서/이해인 박영숙영 2015.12.12 11699
232 행복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17 10765
231 11월에 관한 시모음 박영숙영 2015.06.14 7836
230 씨줄과 날줄의 뜻 / 박영숙영 박영숙영 2020.12.13 6960
229 6월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17 5176
228 11월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6.14 3007
227 문정희의 「한계령을 위한 연가」시 해설 박영숙영 2014.05.08 2979
226 정호승시인의 대표작 박영숙영 2014.06.26 2476
225 바람의 아내 / 문정희 시 모음 박영숙영 2013.03.18 2414
224 곡비(哭婢)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08 1710
223 우물에 관한 시 모음> 윤동주의 '자화상' 외 박영숙영 2014.08.03 1680
222 동백꽃 시모음 / 김용택,용혜원, 유치환,서정주, 최영미,이생진 박영숙영 2014.03.29 1512
221 [펌]돌아가는 길/문정희 시모음l 박영숙영 2013.05.20 1481
220 현충일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455
219 동백꽃 /꽃말 : 기다림, 애타는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1264
218 [펌]가는 길 /김소월 (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224
217 또 기다리는 편지/정호승(시와 해설) 박영숙영 2014.06.18 1150
216 내가 사랑하는 사람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1074
215 죽음 뒤를 볼 수 없다 해도 / 죽음에 대한 ㅡ'시'와 명언 박영숙영 2014.07.02 1014
214 [스크랩] 위장이 튼튼해지는 최고 음식 4가지 박영숙영 2011.03.16 939
213 쑥부쟁이 꽃의전설 박영숙 2009.11.03 889
212 [펌글]ㅡ시에 관한 명언 명구 박영숙영 2014.04.02 838
211 술 지게미 마당귀 맴맴 /이혜선 박영숙영 2013.12.19 816
210 목련 /꽃말 : 아쉬운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806
209 미국예절 문화소개 박영숙 2009.01.26 796
208 난초 / 꽃말 : 애인 박영숙영 2014.02.07 785
207 백일홍 /꽃말 : 애석한 사랑 박영숙영 2014.02.07 780
206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은 흐르고 박영숙영 2013.02.15 768
205 매운고추와 서리맞은 고추/유심조 박영숙영 2010.09.18 680
204 스크랩]도종환시인 미주한국문협 09년 여름문학켐프강연차 LA방문 박영숙 2009.08.24 671
203 남자를 위하여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1 668
202 신 우솝 우화 (춤추는 개미 박영숙영 2011.07.07 618
201 [스크랩]인간의 교양과 성품(9) 박영숙영 2011.04.19 603
200 "나는 시 속에서 자유롭고 용감하고 아름답다" 문정희시인 박영숙영 2014.03.29 597
199 38도선이 생긴 역사 박영숙영 2016.07.02 585
198 마타리(마편초과) /꽃말 : 미인, 잴수없는 사 랑 박영숙영 2014.02.07 581
197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정호승 박영숙영 2014.06.18 565
196 [펌]외로움과 고독의 차이 박영숙영 2014.10.27 563
195 실존적 공허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박영숙영 2010.12.13 563
194 말채나무/꽃말 : 당신을 보호하다 박영숙영 2014.02.07 558
193 호수위의 섬 이니스프리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553
192 어느 날의 커피-이해인- 박영숙영 2013.12.01 549
191 엄마의 염주 /외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박영숙영 2014.05.14 541
190 독서에 관한 명언들 박영숙영 2013.11.29 537
189 서향 /꽃말 : 갑자기 생겨난 행운 박영숙영 2014.02.07 536
188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13 529
187 꽃말과 전설 / 나팔꽃 박영숙영 2014.02.07 523
186 안녕 하세요? 강성재 2009.08.15 518
185 견우의 노래-서정주- 박영숙영 2013.02.22 516
184 [펌글]현직 유명인들이 들려주는 '시의 모든 세계' 박영숙영 2013.09.24 510
183 반갑습니다 김영강 2009.08.09 498
182 감사합니다. 오연희 2010.01.06 494
181 [스크랩 ]自足長樂 자족장락/유심조 박영숙영 2011.04.04 490
180 문학캠프에서 성영라 2009.08.24 485
179 ♧♡ 웹문학동네 입주 황영합니다♡♧ 잔물결(박봉진) 2008.09.09 485
178 안녕하세요. 은방울꽃 2009.10.03 484
177 Merry Christmas~! 이기윤 2011.12.20 481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39
어제:
77
전체:
887,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