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문학상

2009.09.12 10:31

강학희 조회 수:452 추천:28





          제15회 가산문학상 시상식에서

          수상작 '밤비'


          밤비 / 강학희

          웬 전언 이리 급한가
          후둑거리는 밤비의 걸음
          줄줄이 하늘 길을 뛰어내려
          뿌연 외등 혼자 지키는 세상 길을 간다
          처마 끝 낭떠러지로, 매끄런 유리 절벽으로,
          폭신한 목련길이든 뾰쪽한 솔松길이든
          뚜룩 뚜룩, 또록 또록 어느 길도 마다 않고 간다

          잘났다 저 혼자 더 빨리 지름길 찾지 않고
          손발을 합쳐 몸을 공 굴리며
          미는 대로, 업힌 채로, 앞서고 뒤따르며
          합하지도 못하고 뒹굴던
          먼지 살마저 안고 간다

          어디도 모난 곳 없는, 어디도 감춘 맘 없는
          환한 속 들여다보니 길이 있어 가는 게 아니라
          제 몸 터트려 물 자리 만들며 가는구나
          토르륵 토록 맑은 게 제 눈물이었구나
          만사 맘 길 안에 갈 길이 있었던 걸
          물길 뚫고 가는 밤, 빗길이 환하다.


          (해외문학 2006년 )에서

          바다 건너에서도 피는 모국어의 꽃
          - 꽃은 아름답고, 별은 신비한 것처럼 시는 여전히 위대하다. -

          (시인 평론가) 박영호

          다음은 자연과 모든 생명의 근원인 되는 물과 빗물의 몸짓을
          통해서 생의 바른 길을 찾아 가는 시인의 가치 있는 영안(靈眼)의
          명상 세계를 밝힌 아름다운 서정시다.

          (전략)
          잘났다 저 혼자 더 빨리 지름길 찾지 않고
          손발을 합쳐 몸을 공 굴리며
          미는 대로 업힌 채로, 앞 서고 뒤따르며
          합하지도 못하고 뒹굴던
          먼저 살마저 안고 간다.

          어디도 모난 곳 없는, 어디도 감춘 맘 없는
          환한 속 들여다보나니 길이 있어 가는 게 아니라
          제 몸 터트려 물자리 만들며 가는구나
          또륵 또르륵 맑은 제 눈물이었구나
          만사 맘 길 안에 갈 길이 있었던 걸
          물길 뚫고 가는 밤, 빗길이 환하다.

          (강학희 '밤비' 일부 『미주문학』2006 겨울)

          어둠 속에서 내리는 밤비 소리를 들으며 물은 덕(德)이고
          길이며 그 덕은 바로 만물의 도(道)라는 노자의 물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는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세계를 표현한 시다.
          물의 순리가 자연의 순리이고 물의 순리를 따라 사는 것이
          인생의 순리일 것이다. 이러한 물의 몸짓을 통한 길 만들기는
          자연과 그리고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생의 가치를 표현한 것이다.
          빗물이 어두운 땅 위에 스스로 길을 내고 흐르는 모습을
          심안(心眼)으로 보면서, 골똘히 사색의 세계에 잠겨 빗물들이
          방울방울 서로를 내 살처럼 끌어안고 하나로 조화되어 스스로
          길을 내면서 바른길을 찾아가는 물길을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시인이 생각하는 우리가 살아가는 생의 바른 도리이며
          바른 몸짓이라는 것이고, 자신도 그 물길처럼 지혜로운 몸짓으로
          살아가리라는 바른 생에 대한 자세를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생도 물의 순리나 도를 따라서 스스로 길을 내면서
          살아야 하겠다는 결의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더욱이나 그것이 자신만을 위한 개인적인 사색보다는 물의 근원적인
          순리인 생명과 사랑과 봉사, 그리고 나아가서는 세계평화나
          인류평화에 대한 염원을 나타낸 것이라고도 할 수 있어서, 시인의
          사색의 세계가 더욱 가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물길 뚫고 가는 밤, 빗길이 환하다.'
          결국 물의 지혜로움으로 인해 내가 속해 있는 현실세계나 다름없는
          이 밤에 빗길이 환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밝은
          미래에 대한 시인의 소망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05.21.2009 L.A., Lotex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 행곡리 소나무 file 강학희 2006.07.17 596
153 묵은 사진첩 file 강학희 2009.09.12 595
152 시낭송/홍인숙시인 file 강학희 2007.11.16 588
151 김용택시인님 강연 file 강학희 2005.08.07 571
150 엘리스 유끼 file 강학희 2009.11.10 555
149 엘리스 유끼 file 강학희 2009.11.10 535
148 가산문학상 file 강학희 2009.09.12 479
147 poets file 강학희 2012.03.25 472
146 시인의 말 file 강학희 2007.11.16 467
145 시집을 읽고 file 강학희 2007.11.16 457
144 축사의 말 file 강학희 2007.11.16 456
» 가산문학상 file 강학희 2009.09.12 452
142 시와정신 문학의 밤 file 강학희 2012.03.24 447
141 '사랑으로'의 합창 file 강학희 2007.11.16 441
140 시낭송/정해정시인 file 강학희 2007.11.16 431
139 김용택시인님 강연 file 강학희 2005.08.07 424
138 시분과 시인님들과 file 강학희 2005.08.25 415
137 박제천시인의 밤 file 강학희 2009.09.12 409
136 잭 런던 스퀘어 file 강학희 2006.01.30 398
135 버클리 2013-2 산행 file 강학희 2013.06.08 395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33
어제:
59
전체:
610,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