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合)이면?

2003.07.02 19:30

강학희 조회 수:508 추천:50

합(合)이면?/강학희

우리는 대개 5월 초에서 8월 말까지 참 많은 청첩장을 받게 된다.
요즈음은 조금 바뀌긴했지만, 예전엔 집과 사무실로 각각 배달 된 똑같은 청첩장,
때론 남편에게 한 장, 내게 한 장, 이렇게 면식만 있으면 동포라는
그리움 때문인지 난발 된 청첩장들을 많이 받곤 했었다.
어떤 땐 보낸이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이름이어서 몹시 당황스럽기도 했다.

그러나 요즈음엔 결혼의 양상이 많이 바뀌어 큰 호텔의 볼룸에서 컨트리 클럽등의
가든 파티식으로 할 수 있는 아늑한 곳으로, 또 초청객도 부모와 면식이 있는
사회적 관계의 손님들보다 아이를 잘 알고 있는 가까운 친척이나 친지로
형식보다 의미의 위주로 바뀌어 가니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일전에 대부님 댁 여식의 결혼식에 참석했는데, 용감히(?) 집에서 가든 형식으로
진행하여 매우 친근감이 가는 결혼식이었다. 어릴 때부터 보아서인지 아이들이 커서
부모의 둥지를 떠나가는 게 마치 우리가 늙어감을 다시금 일깨워 주는 것도 같아
잠시 세월의 무상함에 빠지긴했지만...
주례신부님의 좋은 말씀에 그 것도 잠시 뿐이었다.

신부님께선 결혼은 하나와 하나를 더하여 다시 하나를 만드는(1+1=1),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생활이라시며, 서로 각자가 나의 반쪽을 버리지 못하면 도저히 가능하지않은 공식
[(1-1/2)+(1-1/2)=1]이라하시니, 가히 여기에 우리 결혼 생활의 묘약이 다 들어 있는 듯하다.

하느님은 우리 각자를 완전한 인간으로 만드신 것 같지는 않다. 보시니 참 좋긴하셨지만...
그런데도 우리 주변엔 완벽한 사람을 찾느라고, 혹은 상대를 그렇게 만들려고
아웅다웅하다 서로를 망쳐버리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결혼이 처음부터 두 사람을 합하기 위해서 시작했다는 걸 상기하기만 한다면,
즉 우리 각자가 한 사람으로써 만점에 가까워지려고 하거나 나를 고집하는 아집만 버린다면,
50점짜리 반쪽씩 만의 합만으로도 쉽게 만점짜리(1+1=1)의 人生을 만들어 갈 수 있게 되리라.

-한국일보 여성의 창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위의 글을 쓰고 나서 쓴 시가 하나 더하기 하나입니다.

하나 더하기 하나 / 강학희

하나와 하나 만나 둘이 되는 건
공책 속 답입니다
하나와 하나 만나 하나 되는 건
인생 속 답입니다

하나가 깨져서 소수점이 되면
과학의 계산 혼돈이오지만
하나가 깨져서 소수점이 되면
세상의 계산 용이해집니다

옹근 하나 깨어져야
다른 하나 들어서는데
서로 깨지지 않고 단단한 채
제 것 안 깨뜨리고 하나 되려다

기쁘나 슬프나
잡기로 한 손 밀치고
제 땅 조금 더 넓히기 머리로 셈하다
토라져 붉어진 마음

칼로 물베기 말로 물베기 되어
금그어 놓은 이부자리
하나가 하나 만나 하나가 되지 못하고
둘이 따로 따로 차가운 밤입니다

2

땅 따먹기 싸움
하늘 아래 제일 지겨운 싸움입니다
작은 지붕 밑 땅 따먹기 싸움이 멎어야
큰 지붕 밑 땅 따먹기 싸움이 그치는데

이 아래 집도 들썩
저 아래 마을도 들썩
하루 잠잠하면
다음 날 또 쿵쾅

저 동네, 이 나라, 저 반도, 이 대륙
말로 싸우다 비행기로 싸우다
핵 폭탄이냐 생화학 균이냐
이불 밑 싸움 하늘 밑 싸움 됩니다

서로 미안한 줄은 알아
상도 주고 돈도 주어가며
숨긴 마음 들킬세라
말려가며 부축이며 땅 따먹기 싸움입니다

가만히 지켜 보고 계신 분
처음엔 기가 막혀 달래시다
나중에 정말로 화나셔셔
다시 내쳐버리실지도 모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시집 : 오늘도 나는 알맞게 떠있다 강학희 2012.11.27 1318
63 겉살과 속살의 연관성에 대하여 강학희 2005.11.05 540
62 들녘의 방 강학희 2003.12.28 532
61 여름아! 강학희 2003.08.13 531
60 울어도 괜찮다고 말해줘 강학희 2004.07.26 530
59 전선주, 너를 보면... 강학희 2004.11.23 529
58 마운튼 샤스타에서 강학희 2005.11.05 522
57 돌아 온 고향 강학희 2003.11.06 520
56 심통이 나누나 강학희 2003.06.10 519
» 합(合)이면? 강학희 2003.07.02 508
54 업보(業報) 강학희 2003.06.09 503
53 사슴 강학희 2004.11.23 501
52 짧은 단상(單想)을 나누며... 강학희 2004.07.26 494
51 요즘 나는, 강학희 2004.09.16 492
50 우리 무엇으로 만나리... 강학희 2003.06.15 492
49 굴러가는 것은 강학희 2004.12.27 485
48 앞과 뒤 강학희 2005.03.10 484
47 사랑이여 강학희 2004.01.02 482
46 희망의 뿌리는 어디에도 내린다 강학희 2004.10.30 481
45 꽃눈으로 보면 강학희 2005.08.31 468
44 석류 강학희 2003.12.03 467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40
어제:
59
전체:
61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