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詩語가 들어가면 그 詩는 낙제 수준

2012.08.24 07:28

동아줄 조회 수:514 추천:46


이런 詩語가 들어가면 그 詩는 낙제 수준 ??


                                                                                                          안도현







신중하고 특별한 어떤 의도 없이

아래의 시어가 시에 들어가 박혀 있으면 그 시는 읽어 보나마나 낙제 수준이다.




갈등 갈망 갈증 감사 감정 개성 격정 결실 고독 고백 고별 고통 고해 공간 공허 관념 관망 광명 광휘 군림 굴욕 귀가 귀향 긍정 기도 기억 기원 긴장 낭만 내공 내면 도취 독백 독선 동심 명멸 모욕 문명 미명 반역 반추 배반 번뇌 본연 부재 부정 부활 분노 불면 비분 비원 삭막 산화 상실 상징 생명 소유 순정 시간 신뢰 심판 아집 아첨 암담 암흑 애련 애수 애정 애증 양식 여운 역류 연소 열애 열정 영겁 영광 영원 영혼 예감 예지 오만 오욕 오한 오해 욕망 용서 운명 원망 원시 위선 위안 위협 의식 의지 이국 이념 이별 이역 인생 인식 인연 일상 임종 잉태 자비 자유 자학 잔영 저주 전설 절망 절정 정신 정의 존재 존중 종교 증오 진실 질서 질식 질투 차별 참혹 처절 청춘 추억 축복 침묵 쾌락 탄생 태만 태초 퇴화 패망 편견 폐허 평화 품격 풍자 피폐 필연 해석 행복 향수 허락 허세 허위 현실 혼령 혼령 화려 화해 환송 황폐 회상 회억 회의 회한 후회 휴식 희망




“진부한 말이란 보통 사람들이 일상에서 쓰는 말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모든 경서와 옛사람들이 이미 언급한 말의 대부분이 이른바 진부한 말이다.”(김창협, <농암잡지> 외편)




시는 이런 진부한 시어의 무게를 감당할 수가 없다.

사유라는 것은 원래 그 속성상 관념적인 것이고 추상적인 법이다.


하지만 관념을 말하기 위해 관념어를 사용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학대행위다.

관념어는 구체적인 실재를 개념화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관념어가 시만 좀먹고 있는 게 아니다. 예식장에도 있다.


흔해빠진 주례사가 그것이다.



행복과 공경과 우애와 사랑이라는 말이 들어간 주례사가 귀에 들리면 한시 바삐 밥을 먹으러 가고 싶어진다. 진정한 사랑은 개념으로 말하는 순간 지겨워진다.


황지우의 시처럼 “그대 옷깃의 솔밥이 뜯어주고 싶게 유난히 커 보이는”(<늙어가는 아내에게)> 것, 그게 사랑의 표현방식 인 것이다.


관념어는 진부할 뿐 아니라 삶을 왜곡시키고 과장할 수도 있다.

또한 삶의 알맹이를 찾도록 하는 게 아니라 삶의 껍데기를 어루만지게 한다.


당신의 습작노트를 수색해 관념어를 색출하라. 그것을 발견하는 즉시 체포하여 처단하라. 암세포 같은 관념어를 죽이지 않으면 시가 병들어 죽는다.


상상력을 옥죄고 언어의 잔칫상이어야 할 시를 난장판으로 만드는 관념어를 척결하지 않고 시를 쓴다네, 하고 떠벌이지 마라.



관념어를 떠나보내고 나면 그 휑하니 빈자리가 몹시 쓸쓸하게 보일 것이다.


당신은 그 빈자리를 오래 응시하라. 당신의 상상력이 가동하기 시작할 것이고, 상상력은 이미지라는 처녀를 데리고 올 것이다.


말로 그림을 그릴 줄 아는 그 처녀를 꽉 붙잡고 놓지 마라. 관념어를 떠나보낸 자리에 그 처 녀를 정실부인으로 들어앉혀라.


그래도 관념어의 옛정이 그리워져 못 견디게 쓰고 싶거든 그 말을 처음 쓴 지 30년 후쯤에나 써라. (안도현 시인의 글 중 일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 시 짓는 법 동아줄 김태수 2016.07.31 6890
19 순수를 꿈꾸며-윌리암 블레이크- 동아줄 김태수 2016.08.03 894
18 한편의 시가 되기까지 동아줄 김태수 2016.09.01 408
17 시의 외양을 다 갖췄는데 와 닿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동아줄 김태수 2016.09.09 122
16 미당 서정주 토론방 내용 동아줄 김태수 2016.10.15 589
15 미당문학 신인작품상 선정 기사 모음 동아줄 김태수 2016.10.20 434
14 詩의 묘사와 진술 - 손진은 동아줄 김태수 2017.02.13 1387
13 21세기문학 신인상 폐지 동아줄 김태수 2017.03.14 92
12 미주한국일보 제38회 문예공모전 수상작 발표 동아줄 김태수 2017.06.10 145
11 미주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코리안 뉴스 기사 동아줄 김태수 2017.06.14 118
10 제15회 의정부 문학상 수상자 발표 동아줄 김태수 2017.07.10 238
9 제38회 『미주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시 부문 심사평 동아줄 김태수 2017.08.19 42
8 시조, 이제는 세계의 중심이어야 한다 동아줄 김태수 2017.09.07 76
7 수필 창작 동아줄 김태수 2017.09.09 991
6 제8회 찬강문학상 시조 우수상/정황수 동아줄 김태수 2017.09.12 291
5 제8회 찬강문학상 시조 대상/김환수 동아줄 김태수 2017.09.12 73
4 제8회 찬강문학상 시조 심사평/본심 심사위원 이승하 동아줄 김태수 2017.09.12 45
3 현대시와 현대 시조의 의미구조 탐색/박제천 동아줄 김태수 2017.10.07 343
2 제6회 정형시학 신인작품상 수상 동아줄 김태수 2017.12.14 59
1 2018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심사평 모음 동아줄 김태수 2018.01.04 1386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5
어제:
59
전체:
1,168,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