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서정주/출처 다움 고요

2009.01.14 14:36

박영숙 조회 수:335 추천:114

동천 /서정주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은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겨울 밤하늘을 올려 본다. 얼음에 맨살이 달라붙듯 차갑고 이빨은 시리다. 문득 궁금해진다. 미당(未堂) 서정주 시인은 왜 한천(寒天)에 사랑의 일과 사랑의 언약과 사랑의 얼굴을 심어 두었을까. 손바닥으로 쓸어보아도 온기라고는 하나 없는 그곳에 왜 하필 사랑을 심어 두었을까. 매서운 새조차 '비끼어 가'는 사랑의 결기를 심어 두었을까.

생심(生心)에 대해 문득 생각해본다. 처음으로 마음이 생겨나는 순간을 생각해본다. 무구한 처음을, 손이 타지 않아서 때가 묻지 않은 처음을. 부패와 작파가 없는 처음을. 신성한 처음을. 미당이 한천을 염두에 둔 것은 처음의 사랑과 처음의 연민과 처음의 대비와 처음의 그 생심이 지속되기를 바랐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심어 놨'다고 한 까닭도 생심 때문이 아니었을까. 심는다는 것은 생육(生育)한다는 것 아닌가. 여리디 여린 것, 겨우 자리 잡은 것, 막 숨결을 얻은 것, 젖니 같은 것 이런 것이 말하자면 처음이요, 생양해야 할 것들 아닌가. 미당은 초승달이 점점 충만한 빛으로 나아가듯 처음의 사랑 또한 지속되고 원만해지기를 기도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미당의 시에는 생명 없는 것을 생장시키는 독특한 영기(靈氣)가 서려 있다. 그는 시 '첫사랑의 詩'에서 '초등학교 3학년때 / 나는 열두살이었는데요. / 우리 이쁜 여선생님을 / 너무나 좋아해서요. / 손톱도 그분같이 늘 깨끗이 깎고, / 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 / 그러면서 산에가선 산돌을 줏어다가 / 국화밭에 놓아 두곤 / 날마다 물을 주어 길렀어요.'라고 하지 않았던가. 산돌을 주워 와서 물을 주어 길렀듯이 이 시에서도 미당은 '고은 눈썹'을 생장시키는 재기를 보여준다.

미당의 시에는 유계(幽界)가 있다. 그는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라며 황홀을 노래했지만 그는 우주의 생명을 수류(水流)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흘러가되 윤회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운행에서 그는 목숨 받은 이들의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노래했다. 목숨 없는 것에는 목숨의 숨결을 불어 넣었다. 미당의 시의 최심(最深)은 삶 너머의 이승 이전의 유계를 돌보는 시심에 있다. 이 광대한 요량으로 그는 현대시사에수많은 활구(活句)를 낳았다.[문태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 모음' 박영숙영 2020.01.10 85
공지 님들께 감사합니다 박영숙영 2014.02.14 190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13.02.22 247
133 When You are Old 그대 늙었을 때/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1819
132 비스와바쉼보르카 / 두번은 없다 박영숙영 2019.03.24 1303
131 [스크랩] 꽃잎 인연/도종환 박영숙영 2011.04.27 1209
130 The Road Not Taken /robert frost – 번역:피천득 박영숙영 2012.01.21 866
129 들길에 서서 - 신석정 박영숙 2009.07.10 857
128 그날이 오면/심훈 박영숙영 2012.03.12 809
127 행복/유치환 박영숙영 2011.02.21 798
126 동지 팥죽의 유래 박영숙 2009.12.23 779
125 길 잃은 날의 지혜/박노혜 박영숙 2009.11.18 773
124 When death comes 죽음이 오면 / 메어리 올리버 박영숙영 2014.02.05 767
123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박영숙 2009.07.10 764
122 초 혼 (招魂)- 김소월 - 박영숙 2009.07.10 753
121 Drinking Song 술 노래 /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734
120 님의친묵/한용운 박영숙 2009.01.14 717
119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박영숙영 2012.03.12 704
118 푸쉬킨(Alexandr Sergeevitch Pushkin) (1799.6.6~1837.2.10) 박영숙영 2011.04.27 700
117 울긋불긋 단풍을 꿈꾸다 박영규 2009.10.25 695
116 사슴/노천명 박영숙영 2012.03.12 660
115 겨울바다/김남조 박영숙 2009.01.14 652
114 서릿발/ 최삼용(바브) 박영숙영 2011.02.07 631
113 "시" '아네스의 노래'/영화 <시 詩>가 각본상을 박영숙영 2011.02.28 616
112 산문(山門)에 기대어/송수권 박영숙 2009.01.14 612
111 박노해/ "나 거기 서 있다" 박영숙 2009.11.13 609
110 새벽 /설램과 희망을 줍는 기다림 박영숙 2009.08.13 608
109 봄은 간다- 김 억 - 박영숙 2009.07.10 597
108 나의 침실로 - 이상화 - 박영숙 2009.07.10 588
107 마음 /김광섭 박영숙영 2012.03.12 581
106 직지사역/ 박해수 박영숙 2009.12.16 576
105 우리가 물이 되어/강은교 박영숙 2009.01.14 569
104 I have a rendezvous with Death 나는 죽음과 밀회한다 박영숙영 2014.02.05 564
103 그 날이 오면 - 심 훈 - 박영숙 2009.07.10 546
102 꽃/박두진 박영숙영 2012.03.12 542
101 바위 /유치환 박영숙영 2012.03.12 539
100 [스크랩]ㅡ목단 꽃 그리움/이상례 박영숙영 2011.04.24 534
99 어머니의 손맛 박영숙 2009.12.23 532
98 잘익은사과/김혜순 박영숙 2009.01.14 532
97 Had I the heaven's embroidered cloths 하늘의 천 박영숙영 2013.02.22 527
96 낙 엽 송/황 동 규 박영숙 2009.11.03 527
95 청춘/ 사무엘 울만(Samuel Ullman) 박영숙영 2014.10.12 523
94 간(肝)/ 윤동주 박영숙영 2011.03.24 518
93 대설주의보/최승호 박영숙 2009.01.14 517
92 가을비/- 도종환 - 박영숙 2009.07.10 516
91 푸른곰팡이 산책시 /이문재 박영숙 2009.01.14 514
90 봄은 간다 / 김억 박영숙영 2012.03.12 510
89 어떤 생일 축하/법정 박영숙 2010.08.31 509
88 붙잡아 둘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 도종환 박영숙영 2011.02.28 507
87 우리가 어느 별에서 /정호승 박영숙영 2010.11.30 504
86 하늘의 천/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박영숙영 2011.09.29 498
85 [스크랩]즐거운 편지 /황동규 박영숙영 2010.11.30 487
84 시와 언어와 민중 의식 (한국문학(韓國文學) 소사 에서) 박영숙 2009.08.20 483
83 [스크랩]삶속에 빈 공간을 만들어 놓아라 박영숙 2009.09.28 481
82 Dust In The Wind(먼지 같은 인생) -Kansas(캔사스) 박영숙영 2014.02.07 477
81 하루의 길 위에서 /이해인l 박영숙영 2011.07.06 475
80 산정묘지/조정권 박영숙 2009.01.14 473
79 청 산 도(靑山道)- 박두진 - 박영숙 2009.07.10 456
78 The Moon / 신규호 박영숙영 2013.12.19 455
77 스크랩] 어느 봄날의 기억 박영숙 2009.04.23 451
76 한 해를 보내며/이해인 박영숙영 2010.12.28 449
75 [스크랩] 안부 박영숙 2009.11.13 445
74 [스크랩/인생은 자전거타기 박영숙 2009.12.09 444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24
어제:
112
전체:
888,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