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기 문화

2012.05.19 03:09

김학천 조회 수:448 추천:99

  어렸을 때는 무조건 보름달이 좋았다. 둥글고 밝으니 보기에도 좋고 풍요함을 느껴서 그랬는지도 모른다. 허나 지금은 초승달이 더 예쁘고 좋다. 아름다운 여인의 눈썹을 닮아 보는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구태여 또 다른 이유를 붙이자면 보름달은 이제부터 기울기 시작하는 반면 초승달은 점점 커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마침보다는 시작이 좋아서다. 또한 늘어가서 생기는 넉넉함은 받아들이는 열림이 되기도 때문이다.
  오래 살다보니 지금은 익숙하나 처음 이 나라에 발을 디뎌놓았을 때 아주 낯설었던 것 중 하나가 이들의 계산법 관습이었다. 처음 이민 오자마자 식품점에 가서 당장에 필요한 이것저것을 골라 담았더니 계산기엔 52불 34전이 찍혀 나왔다. 나는 얼른 100불 짜리 한 장을 내 밀었다. 이는 내가 돈이 많아서가 아니라 거기를 빨리 빠져 나오고 싶어서였다.
  왜냐하면 소심한 내게 있어서 10불이나 5불, 1불 짜리 혹은 동전 등을 지갑에서 빨리 구별하여 찾아내느라 시간 끄는 것도 내 뒷사람들에게 미안한 것 같기도 해 얼른 지폐 한 장을 불쑥 내민 것이다. 그런 내게 계산원은 10불 짜리 넉 장을 들고 천천히 52불 34전 에서부터 셈하기 시작하여 페니까지 주며 100불을 맞추는 게 아닌가. 좀 당황하면서 가게를 나와 거스름돈을 맞추어 보니 받을 금액을 틀림없이 다 받은 것이다.
  내가 잠시 헷갈린 것은 나는 100에서 빼기 52.34를 해서 돌려 받을 것이 47.66으로 생각한 것이고 저쪽에서는 내가 산값에서부터 더하기 해나가 내가 내민 돈 끝을 맞춘 계산이었다. 이는 거스름의 사전적 의미가 ‘큰돈에서 받을 액수를 덜어내고 남는 것을 내어주는 돈’이라는 해석처럼 어렸을 때부터 거스름의 뺄셈이 다라고 여기고 살아온 내가 받은 첫 번째 충격이었다.
  차츰 살다보니 더하기로 자란 사람과 빼기에 더 머리가 굳은 이들의 사고의 출발점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컨대 유리컵에 물이 반이 들어있을 때 더하기로 생각하는 사람은 ‘반만 더 넣으면 하나 가득 되는구나’ 라고 한다면 빼기로 생각하는 이는 ‘이제 반마저 없어지면 바닥이 나는구나’ 와 같다고 할까.
  더 재미있는 것은 물건을 사다 물건값을 잔돈까지 꼭 맞게 내면 영수증을 주면서 “퍼펙”하며 응수를 던지는 경우를 흔히 만난다. 이럴 때면 사는 이나 계산원이 함께 웃으며 “댕큐”라고 화답하기 일쑤다. ‘고맙습니다’나 ‘천만에요’가 그저 형식적인 언어라도 들어서 나쁘지 않다.
  이런 말씨가 보편화 된 사회는 내가 소중한 만큼 남도 존중하고 있다는 의식이 바탕에 깔려 있기에 가능한 게 아닌가 싶어져 나도 두 단어를 씀에 인색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아마도 이런 사회적 혹은 문화적 분위기는 이 나라의 독특한 이름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긴다.
  아메리카 합중국이 의미하듯이 다민족들이 모여 이룬 나라로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거의가 이민자의 자손이다. 한 사람 두 사람 모여들어 힘을 합(더하기)해 최대 강국으로 자리 매김한 것이기에 이들의 사고는 늘 받아드림에 열려 있는 문화이기도 하다.
  더하기는 자꾸만 늘어나기에 넉넉하다. 그 넉넉한 것을 여기저기 이런 저런 뜻으로 나눠줌으로 더 풍요한 나라로 커온 게 현재의 미국의 힘이 아닐까 싶다. 이제 나도 더하기 문화에 많이 익숙해 져 카드나 체크를 쓰지 않고 현금을 내야 할 때라도 처음처럼 급하게 큰돈을 선뜻 내는 일은 거의 없다. 지갑엔 링컨 얼굴이 새겨진 페니도 가지고 있으니까.  (미주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이브여 그대는.. 김학천 2012.05.26 451
86 아리랑 김학천 2012.06.20 425
85 안경 김학천 2012.06.22 591
84 다윗과 조나단 김학천 2012.08.01 747
83 이 땅에 사는 우리 김학천 2012.08.01 371
82 영곤이 이야기 김학천 2012.08.08 549
81 다르다와 틀리다 김학천 2012.08.08 477
80 우아하게 여행하는 법 김학천 2012.08.11 401
79 커피 김학천 2012.09.26 439
78 천사들의 도시 김학천 2012.09.26 429
77 생전의 장례식 김학천 2013.02.22 347
76 삶과 박자 김학천 2013.05.03 321
75 눈동자 김학천 2013.05.25 320
74 버킷리스트 김학천 2013.07.05 270
73 무명과 유명 김학천 2013.07.26 341
72 어느 라디오 앵커맨의 사모곡 김학천 2013.08.30 304
71 Liberty와 Freedom의 차이 김학천 2013.10.04 1339
70 죄수아버지의 여름캠프 김학천 2013.10.28 287
69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자의 죽음 김학천 2013.12.17 419
68 생존을 넘는 삶 김학천 2014.03.11 320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3
전체:
54,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