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낭거미

2007.05.25 08:51

양미경 조회 수:735 추천:33

                            
      염낭거미    

                    양 미 경
                    
  하늘을 보던 내 눈은 허공의 한 점에서 머물고 말았다. 태양에 반짝 반사되어 천천히 바람을 타고 날고 있는 그것이 내 시선 위를 스쳐갈 때 비로소 거미라는 것을 알았다. 순간 거미는 징그럽다는 고정관념은 사라지고 참 아름답고 자유롭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거미는 은빛 실을 길게 뿜은 뒤  바람을 타고 이동한다고 한다. 바람에 저렇듯 훌훌 날아가는 거미의 삶, 그 뒤에 숨은 이야기는 가슴 저리기까지 하다.

  거미는 모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염낭거미 암컷은 번식기가 되면 나뭇잎을 말아 작은 주머니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그 속에 들어간다고 한다. 천적으로부터 존속 보호를 위하여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공간에서 알을 낳는 것이다. 어미거미는 애거미가 부화하면 기꺼이 자신의 몸을 내어준다. 그 희생적 사랑은 어미만이 베풀 수 있는 위대함이다. 어미의 몸을 먹고 독립할 정도로 자란 애거미들은 둥지를 뚫고 나와 바람 따라 제 길 찾아 흩어져 간다.

생각해보면 인간이라고 다를 바 없다. 요즘 시골에 가 보면 눈에 뜨이는 사람은 노인네들이 대부분이다. 대청마루에 멀거니 앉아 앙상한 몸으로 담 너머를 바라보는 노인들의 모습은 무표정에 가깝다. 도시로 유학 간 자식들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새벽 일찍 일어나 쇠죽 쑤고 논밭에 나가 뙤약볕에 허리가 휘어지도록 이 평생을 살았건만 남은 것은 가랑잎처럼 마른 육신뿐이다.

  도시의 풍경도 마찬가지다. 자식이 잘 될 수만 있다면 부모는 무엇이든 마다않는다. 살만한 집은 학교로 학원으로 새벽부터 밤까지 아이들 태워 나르고, 형편이 어려운 집은 자식들 학원비 마련하느라 파출부로 청소부로 부업 전선에 날밤을 새우는 것이 이 시대 어머니들의 모습이다.
      
  염낭거미는 우리 어머니들의 자화상일지도 모른다. 끝을 알 수 없는 사랑과 희생으로 자식을 감싸 안고, 설사 섭섭한 마음이 있더라도 탓하지 않는다. 그리곤 마지막에는 그들의 행복을 자신의 행복으로 치환하며 조용히 사라져 가는 어머니들의 모습은 끔찍이도 염낭거미를 닮았다.
  
  눈앞을 스쳐간 그 거미도, 어딘가에 둥지를 틀고 계절이 바뀌면 짝을 만나 알을 낳고 그 알이 부화하면 제 어미가 그랬던 것처럼 제 몸을 애거미에게 주고, 하늘 저편으로 사라질 것이다. 오늘 내가 본 반사광은 염낭거미의 영혼이었을까? 아니면 한줌의 미련 없이 당신의 육신을 주고, 애증도 욕망도 버리고 피안(彼岸)의 저편으로 간 내 어머니의 영혼이었을까?

  오늘따라 어머니가 그립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아름다운 소리들 손광성 2007.02.11 283
38 돌절구 손광성 2007.02.11 245
37 장작 패기 손광성 2007.02.11 407
36 바다 손광성 2007.02.11 166
35 돼지고기 반근 정성화 2007.02.12 384
34 씨암탉과 장모 김학 2007.02.17 209
33 바람, 바람, 바람 최민자 2007.02.21 210
32 살구 최민자 2007.02.21 440
31 꼬리를 꿈꾸다 최민자 2007.02.21 394
30 푸른 손 정목일 2007.02.22 151
29 꽃밭에 앉아서 강숙련 2007.03.16 341
28 얼추왔재 강숙련 2007.03.16 228
27 노을벽 정목일 2007.04.08 229
26 산타바바라의 파도 정목일 2007.04.26 217
25 5월 편지 정목일 2007.04.27 150
24 何日 斷想 최민자 2007.05.09 297
23 나비 꿈 최민자 2007.05.09 526
22 문향 그윽하신 그대여 글방 사람 2007.05.10 633
21 영혼 피리 정목일 2007.05.24 304
» 염낭거미 양미경 2007.05.25 735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3
전체:
21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