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숙의 문학서재




오늘:
33
어제:
46
전체:
458,438


조회 수 981 추천 수 15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홍인숙 시인의 시집

사랑이라 부르는 고운 이름 하나


                                  시집 머리에  / 황금찬 시인



홍인숙 시인이 첫 시집을 상재한다. 그 기쁜 일을 숨김없이 마음을 열고 축하한다.

한 시인이 등단하여 처음 갖는 즐거움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첫 시집을 상재하는 일이라

꼭 전설 같은 일이 현실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어느 나라 시인은 첫 시집을 상재하고

남긴 말에 “ 내게 이보다 더 사랑할 수 있는 대상이 이 세상에 또 있을까?” 했다는 것이다.

 

내게 가까이 있다 가신 어느 시인은 자기의 첫 시집을 들고 산에 가서 뻐꾹새를 부르며

“네 소리가 그렇게 우아하고 아름다워도 오늘 내가 들고 있는 이 시집만은 못하구나”

했다는 것이다. 시인이 첫 시집을 출간한다는 것은 참으로 기쁘고 행복한 일이다.

연인은 금이 갈 수도 있고 자식은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 할 때도 있다.

하지만 시집은 항상 자기를 기쁘게 해줄 뿐이다.

 

홍인숙 시인은 고향을 떠나 먼 이국 땅 (산호세) 하늘밑에 옷깃을 날리며 두고 온 고향을

정을 모아 비단 바구니에 담고 있다. 이것이 홍인숙 시인의 시다.

그래 그 시편들에선 고향의 향기가 가슴 속에 숨는다.

이름 모를 언덕에 피어난 이름도 없는 풀꽃들 그들의 생명과 그 향기가 홍인숙 시에 와 머문다.

 

시대의 영웅들은 음성이 크고 그 음성은 칼날 위에 서 있다.

계곡의 물소리는 시인의 음성을 닮아가고 시인의 사랑은 구름 속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제가 소녀시절 처음 시에 눈을 뜨게 되었을 때” 이 말은 홍인숙 시인의 편지의 한 구절이다.

여기서 눈을 뜨게 되었다는 말은 비로소 시의 세계를 인식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것으로 이 시인의 시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 시인에게 있어서 시적 환경은 마치 계절이 오듯이 그렇게 찾아주지는 않았던 것 같다.

고향을 떠나 미국 그곳에 찾아주는 사람도 없는 외로운 생활 그래 남들보다 좀 더 일찍이

등단할 수도 있는 기회를 오랫동안 놓치고 있었다.

하지만 시의 나무는 쉬지 않고 자라 이제 그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큰 고기는 늦게 물린다는 말이 있다.

홍인숙 시인의 첫 시집을 손에 들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하리라.

그리고 두 번째 시집과 그 다음의 시집도 기다려본다.

시를 쓰는 시간과 시를 읽는 시간은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2001년 7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홍인숙(Grace)의 인사 ★ 1 그레이스 2004.08.20 1605
109 가을비 홍인숙 2002.12.09 375
108 빈 벤치 홍인숙 (Grace) 2010.01.30 372
107 겨울밤 홍인숙 2002.12.09 368
106 아버지의 아침 홍인숙 2003.02.13 367
105 나목(裸木)의 외침 홍인숙 2002.11.26 366
104 홍인숙 (Grace) 2010.01.30 364
103 시인 세계 재미 현역시인 101선 등재, 시선집 [한미문학전집] 대표작 5편 수록 홍인숙(Grace) 2016.11.01 361
102 가을 그림자 홍인숙 2002.11.26 356
101 가을 엽서 홍인숙 2002.11.26 351
100 눈부신 봄날 8 홍인숙(Grace) 2018.04.02 348
99 기다림이 있다는 것은 홍인숙 2002.12.02 335
98 연등(燃燈)이 있는 거리 홍인숙 2002.12.09 328
97 길 (2) 홍인숙 (Grace) 2010.01.30 328
96 수필 진정한 문학을 위하여 1 홍인숙(Grace) 2016.11.10 327
95 시인 세계 <중앙일보><주간모닝> 홍인숙 시인 ‘내 안의 바다’ 북 사인회 홍인숙(Grace) 2016.11.01 322
94 수필 행복은 멀리 있지 않다   3 홍인숙(Grace) 2017.01.12 321
93 나와 화해하다 8 홍인숙(Grace) 2017.02.04 309
92 비상(飛翔)의 꿈 홍인숙 2002.12.02 293
91 높이 뜨는 별 홍인숙 (Grace) 2010.01.30 291
90 수필 바다에서 꿈꾸는 자여   2 홍인숙(Grace) 2016.11.26 26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Next
/ 17